
내면을 울리는 아름다운 우리 한시(漢詩)
돌아가신 형을 그리며(燕巖憶先兄)
我兄顔髮曾誰似(아형안발증수사)-내 형의 외모는 누구를 닮았던가.
每憶先君看我兄(매억선군간아형)-선친 그리울 때마다 형을 보았지
今日思兄何處見(금일사형하처견)-이제 형이 그리운데 어디서 보랴
自將巾袂映溪行(자장건몌영계행)-의관을 갖추어 시냇물에 비추어 보네”
―박지원(朴趾源)의 연암집에-
다반사(茶飯事)는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일과 같은 일상을 말한다.
옛 사람에게 한시(漢詩)는 다반사였다.
희로애락을 시로 옮겼다.
조선의 몰락과 일제강점기를 겪으면서 쇠락해버린 한시.
한시는 이제 “구시대의 유물”처럼 취급받고 한자를 쓰는 사람은 마치 한물간 사람같이 보지만 고려청자가 그러하듯 선조들이 느낀 아름다움이 결코 퇴색되지는 않는다.
필자가 소개 하는 한시에 관한 이글 말미의 책은 한시 연구자이자 서울대 국문과 교수의 한시의 미학에 대한 저서이다.
중국에서 비롯돼 우리 문화로 발전한 한시에 담긴 선조들의 감수성을 작품들을 통해 보여준 좋은 내용이기에 소개 하는 바이다.
우리 문화로 발전한 한시에 대한 선조들의 감수성을 살펴, 저자(著者)는 우리 한시의 아름다움을 “시 속에 울려 퍼지는 노랫가락”에서 찾는다. 이중에서 동문선(東文選·1478년 성종 때 편찬한 시문선집)에 실린 정지상(鄭知常?∼1135)의 “임을 보내며(送人)”가 대표적이다.
雨歇長堤草色多(우헐장제초색다)-비 갠 긴 둑에 풀빛 짙어지는데
送君南浦動悲歌(송군남포동비가)-남포에서 임 보내니 슬픈 노래 일렁인다.
大同江水何時盡(대동강수하시진)-대동강 저 물은 언제나 다하랴
別淚年年添綠波(별루년년첨록파)-해마다 이별의 눈물이 푸른 물결 보태는 것을
정지상(鄭知常)
아 ! 얼마나 서정적(抒情的)인가
저자는 정지상(鄭知常)이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내며 부르는 노랫가락이 이 시속에 들어 있어 이 시가 절창으로 평가된다고 말한다.
조선 중기 최고의 방랑 시인으로 불리는 권필(權필·1569∼1612)이 스승 송강 정철(鄭澈·1536∼1593)의 무덤을 지나면서 읊은 “정송강의 묘를 지나면서 느낌이 있어(過鄭松江墓有感)”도 마찬가지다.
권필의 시에는 “한잔 먹세그려 또 한잔 먹세그려”로 시작하는 정철의 장진주사(將進酒辭) 구절이 축약(縮約)돼 울려 퍼지기 때문에 높이 평가받는다고 한다.
다음은 일대의 방랑시인 석주 권필(石洲權韠 1569~1612)이 한시대의 풍류 재상 송강 정철(松江鄭澈)의 무덤에 들러서 읊은, 진정으로 비량(悲凉)하고 감개(感慨)로운, “과송강묘유감(過松江墓有感)”이다.
(過松江墓有感)송강의 묘를 지나면서
空山木落雨蕭蕭(공산목락우소소)-빈산에 잎지고 비는 부슬부슬
相國風流此寂寥(상국풍류차적요)-정승의 옛 풍류도 이같이 쓸쓸하구려!
惆悵一杯難更進(추창일배난갱진)-슬프다 술잔에 술 되올 리기 어려워라
昔年歌曲卽今朝(석년가곡즉금조)-지난날 그 노래 오늘 아침 이름일세.
권필(權韠)
위의 시들은 누가 특별히 설명을 안 해주어도 읽는 사람이 무슨내용인지를 어느정도 감지한다. 피카소의 그림이나 추상시(抽象詩)들은 작자의 의도가 무엇인지를 꼭 설명을 들어야 아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한시에는 점철성금(點鐵成金)의 시학이 있다.
점철성금(點鐵成金)이란 “고철을 녹여서 금덩이를 만든다”는 표현이지만 비속(卑俗)한 단어를 사용해 새로움을 추구하는 방식이다.
고려의 시인 이색(李穡·1328∼1396)은 시에 속담(俗談)을 즐겨 넣었고 노수신(盧守愼·1515∼1590)은 조선의 지명(地名)을 시어로 사용했다.
허균(許筠·1569∼1618)이 점철성금의 예로 든 “신 씨의 정자에서 아우 무회를 그리워하며(愼氏亭懷無悔甫弟)”라는 노수신의 시를 보자.
“길은 평구역에서 끝나고 강은 판사정에 깊구나”로
시작되는 이 시에는 오늘날 광나루 동쪽에 있었던 평구역(平丘驛)과 근처 한강변 판사정(判事亭)의 명칭이 들어 있다.
아래에 소개한다.
江亭懷弟(愼氏亭懷無悔甫弟) 신씨네 강정에서 아우인 무회를 그리워하며
路盡平丘驛(로진평구역)-가는 길은 평구역서 다 끝이 났고
江深判事亭(강심판사정)-강물은 판사정 앞 와서 깊은데
登臨萬古豁(등림만고활)-올라보니 만고 두고 탁 트여 있어
枕席五更淸(침석오경청)-잠자리는 밤중 되자 더 맑아지고
露渚翻魚鳥(로저번어조)-이슬물가 물고기 새 푸득거리며
金波動月星(금파동월성)-가을 물결 별,달빛만 출렁거리니
南鄕雙淚盡(남향쌍루진)-남쪽 시골 두 줄 눈물 다 말랐어도
北闕寸心明(북궐촌심명)-북궐 향한 마음만은 뚜렷하구나.
허균(許筠)
현실 풍자와 비판은 고려시대 이후 특히 조선시대는 한시의 오랜 전통이었다.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 1794년 11월 정조의 명을 받아 암행어사로 경기 북부 민정을 살피다가 쓴 ‘왕명을 받들고 염찰사로 적성 시골 마을에 이르러 짓다(奉旨廉察到積城村舍作)“라는 이 시에는 기아(飢餓)에 허덕이는 백성의 처참한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렸다.
이시는 불과 175년전이기 때문에 우리들의 증조부(曾祖父)때의 일이다.
이런 처참한 생활이 불과 50년전이 5.16혁명 이전까지 우리의 삶이었다.
시(詩)가 좀 길지만 그당시에 백성들의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어려운 살림살이와 벼슬아치들이 백성을 들볶는 당시의 시대상을 조명해 보기 위해 소개한다.
봉지염찰도적성촌사작奉旨廉察到積城村舍作
臨溪破屋如瓷鉢(임계파옥여자발)-시냇가 찌그러진 집 뚝배기와 흡사한데
北風捲茅榱齾齾(북풍권모최알알)-북풍에 이엉 걷혀 서까래만 앙상하다
舊灰和雪竈口冷(구회화설조구냉)-묵은 재에 눈 덮여 부엌은 차디차고
壞壁透星篩眼豁(괴벽투성사안활)-체 눈처럼 뚫린 벽에 별빛이 비쳐드네
室中所有太蕭條(실중소유태소조)-집안에 있는 물건 쓸쓸하기 짝이 없어
變賣不抵錢七八(변매불저전칠팔)-모조리 다 팔아도 칠팔 푼이 안 된다오
尨尾三條山粟穎(방미삼조산속영)-개꼬리 같은 조 이삭 세 줄기 걸려 있고
鷄心一串番椒辣(계심일관번초랄)-닭 창자 같은 마른 고추 한 꿰미 놓여 있다
破甖布糊穿漏(파앵포호천루)-깨진 항아리 뚫린 곳 헝겊으로 발랐고
庋架索縛防墜脫(기가색박방추탈)-찌그러진 시렁대는 새끼줄로 얽매었네
銅匙舊遭里正攘(동시구조이정양)-놋수저는 지난날 이정에게 빼앗기고
鐵鍋新被隣豪奪(철과신피린호탈)-쇠냄비는 엊그제 옆집 부자 앗아갔지
靑錦敝衾只一領(청금폐금지일령)-닳아 해진 무명이불 오직 한 채뿐이라서
夫婦有別論非達(부부유별론비달)-부부유별 그 말은 가당치도 않구나.
兒稚穿襦露肩肘(아치천유로견주)-어린것들 입힌 적삼 어깨 팔뚝 나왔거니
生來不著袴與襪(생래불저고여말)-태어나서 바지 버선 한번 걸쳐보았겠나
大兒五歲騎兵簽(대아오세기병첨)-큰아이 다섯 살에 기병으로 등록되고
小兒三歲軍官括(소아삼세군관괄)-작은애도 세 살에 군적에 올라 있어
兩兒歲貢錢五百(양아세공전오백)-두 아들 세공으로 오백 푼을 물고 나니
願渠速死況衣褐(원거속사황의갈)-어서 죽길 원할 판에 옷이 다 무엇이랴
狗生三子兒共宿(구생삼자아공숙)-갓 난 강아지 세 마리 애들 함께 잠자는데
豹虎夜夜籬邊喝(표호야야리변갈)-호랑이는 밤마다 울 밖에서 으르렁거려
郞去山樵婦傭舂(랑거산초부용용)-남편은 산에 가 나무하고 아내는 방아품 팔러 가
白晝掩門氣慘怛(백주엄문기참달)-대낮에도 사립 닫혀 그 모습 참담하다
晝闕再食夜還炊(주궐재식야환취)-아침 점심 다 굶다가 밤에 와서 밥을 짓고
夏每一裘冬必葛(하매일구동필갈)-여름에는 솜 누더기 겨울에는 삼베 적삼
野薺苗沈待地融(야제묘심대지융)-들 냉이나 캐려 하나 땅이 아직 아니 녹아
村篘糟出須酒醱(촌추조출수주발)-이웃집 술 익어야만 찌끼라도 얻어먹지
餉米前春食五斗(향미전춘식오두)-지난봄에 꾸어 먹은 환자가 닷 말이라
此事今年定未活(차사금년정미활)-이로 인해 금년은 정말 살 길 막막하다
只怕邏卒到門扉(지파나졸도문비)-나졸 놈들 문밖에 들이닥칠까 겁날 뿐
不愁縣閣受笞撻(불수현각수태달)-관가 곤장 맞을 일 걱정일랑 하지 않네.
嗚呼此屋滿天地(오호차옥만천지)-어허 이런 집들이 온 천하에 가득한데
九重如海那盡察(구중여해나진찰)-구중궁궐 깊고 깊어 어찌 모두 살펴보랴
直指使者漢時官(직지사자한시관)-직지사자 그 벼슬은 한 나라 때 벼슬로서
吏二千石專黜殺(이이천석전출살)-이천석 지방관도 마음대로 처분했지
獘源亂本棼未正(폐원란본분미정)-어지럽고 못된 근원 하도 많아 손도 못대
龔黃復起難自拔(공황복기난자발)-공황 다시 일어나도 바로잡기 어려우리.
遠摹鄭俠流民圖(원모정협유민도)-아서라 옛날 정협 유민도를 본받아
聊寫新詩歸紫闥(료사신시귀자달)-이 시 한 편 그려내어 임에게나 바쳐볼까
정약용(丁若鏞)
조선 초기의 문인 성현(成俔1439∼1504)도 1483년 강원도 관찰사로 나가 있을 때 쓴 벌목행(伐木行)에서 한겨울에 헐벗고 나무를 베느라 손등이 터져나간 백성들의 참상을 그렸다.
벌목행(伐木行)
寒風慘慘陰雲凝(한풍참참음운응)-차가운 바람이 사납게 불고 음산한 구름이 몰려오고
千巖萬壑皆明氷(천암만학개명빙)-모든 바위와 골짜기에 얼음이 얼었네.
嚴冬積雪高於防(엄동적설고어방)-한겨울 쌓인 눈 둑보다 높아
飛鳥欲過愁難乘(비조욕과수난승)-나는 새도 넘기 어렵네
山間籬落蝸縮殼(산간리락와축각)-산간 울타리에 떨어진 달팽이는 껍질에서 오그라들고
山人生理何蕭索(산인생리하소색)-산에서 사는 인생의 쓸쓸함을 어찌하리.
行牽蘿蔓補牕牖(행견라만보창유)-담쟁이 끊어다 창문 가리고
飢拾橡栗當大嚼(기습상률당대작)-상수리 주워 주린배 겨우 채우네.
里胥驅出星火催(리서구출성화최)-아전들은 내 몰면서 불같은 재촉,
男扶女挽登崔嵬(남부녀만등최외)-남녀 서로 밀고 당기며 산으로 올라가네.
懸鶉百結不掩脛(현순백결부엄경)-남루한 누더기 정강이도 못 가린 채,
手龜指落顏如灰(수구지락안여회)-갈라진 손등 잘라진 손가락, 잿빛 몰골에도
爭求大材不中用(쟁구대재부중용)-다투어 나무를 찍어 내느라
丁丁聲振晴雷動(정정성진청뢰동)-땅땅 벌목 소리 맑은 하늘에 벼락 치듯 하며
鞭笞敲朴多督責(편태고박다독책)-채찍 둘러치며 독촉도 심하여라
呼爺袒楊丘山重(호야단양구산중)-어영차 깊은 산중에 요란도 하네.
牛疲馬斃人力勞(우피마폐인력로)-소와말도 지치고 사람도 지쳐
誰能秉耒耕春皐(수능병뢰경춘고)-누가 쟁기 잡고 봄밭을 갈겠는가?
我爲棠陰宣化者(아위당음선화자)-나는 선정(善政)을 펴야할 목민관으로
目不親睹心忉忉(목부친도심도도)-차마 눈 못 뜨고 가슴만 조이네
茫茫五雲隔楓宸(망망오운격풍신)-망망한 오색구름 궁궐을 가렸으니
豈知民物多艱辛(기지민물다간신)-우리 백성들의 고통을 어찌 알겠는가!
愧無巨筆編作圖(괴무거필편작도)-큰 붓으로 실정을 그려 보내지 못하니
永爲鄭俠之罪人(영위정협지죄인)-영원히 정협같이 못한 죄인 될까 부끄럽네
성현(成俔)
우리 한시(漢詩)에서는
감성(感性)을 중시하는 당(唐)나라 풍(風)과
이성(理性)을 강조하는 송(宋)나라 풍(風)이 번갈아 주류를 차지했는데,
조선 후기 한시에서는 그것을 바탕으로 해서 파격적인 새로운 구상으로 형상화한 시들이 나왔다.
제주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던 추사 김정희(金正喜1786∼1856)가 고향에 있는 부인이 죽었다는 부고를 받고 쓴 “유배지에서 처의 죽음을 슬퍼하면서(配所挽妻喪)”라는 시가 그런 경우다.
김정희는 이 시에서 혼인을 관장하는 신(神)인 월하노인(月下老人)을 저승에 데리고 가서 내세(來世)에는 아내와 처지가 바뀌도록 하겠다고 표현했다.
配所輓妻喪(배소만처상) 유배지에서 아내의 죽음을 당하다
那將月老訟冥司(나장월로송명사)-월하노인에게 저승에 하소연을 하여서라도
來世夫妻易地爲(내세부처역지위)-내세에서는 부부가 반대로 태어나서
我死君生千里外(아사군생천리외)-내가 죽고 그대는 천리 밖에서 살아있어
使君知我此心悲(사군지아차심비)-그대로 하여금 오늘 이 슬픈 마음을 알게하리라.
김정희(金正喜)
이 얼마나 가슴이 절절한 시인가.
조강지처 아내가 죽었건만 유배를 와 있어 천리 밖에 떨어져 있는 추사 김정희,
아내의 죽음도 지켜보지 못한 지아비의 심정은 얼마나 아팠을까.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고통은 그 당사자가 아니면 가히 짐작도 하지 못 하는 것이다.
그래서 김정희는 이러한 자신의 애타는 마음을 다음 세상에서
아내가 자신의 심정을 느껴보라고 시를 통하여 말하고 있다.
백년해로의 약속을 지키지 못한 아내에 대한 야속함과
그보다 더 큰 슬픔이 가슴을 도려내고 있다.
이것이 우리의 한시(漢詩)다.
저자는 중국 한시가 낭송할 때의 아름다운 울림을 따라가는 데 비해 한국 한시는 더 높은 정신세계를 추구하며 내면의 울림을 지향했다고 말한다.
우리 한시를 읽다-이종복 지음 15000원
☺농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