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란, 2012년부터 인구 고령화 대비 출산장려정책 적극 시행
- 7가지 육아용품을 준비하는 이란의 출생의식 시스무니, 관련 시장에 활기 더해 -
□ 이란 출산육아용품 시장 개요
ㅇ 이란 국가인구등록기구(National Organization for Civil Registration)에 의하면 2018년 등록된 이란 출생인구는 136만 명으로, 한국의 2018년 출생인구 32만 대비 4배 규모
ㅇ BMI에 따르면, 이란의 0세부터 4세까지 영유아 인구는 2015년 694만 명에서 2020년 764만 명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이란 2,630만 가구의 평균 출산육아용품 지출규모는 1500달러 수준
이란 영유아 인구증가 추이(%)

자료원 : BMI(Iran Consumer and Retail Report 2019년 4분기)
ㅇ 이란-이라크 전쟁 직후 산아제한정책 시행으로 출산율을 억제해온 이란은 최근 고령화 현상 우려로 출산 장려 정책 시행
- 이란은 콘돔 무료 지원과 정관절제술 지원을 중단하고 출산장려운동과 다자녀 지원 정책을 시행함.
- 2019년 출산 휴가를 6개월에서 9개월로 연장하였으며 남성의 경우에도 2주간의 출산휴가를 제공하는 법안을 발의
이란 인구 증가율 및 정부 인구정책

자료원: 이란 주요 일간지 사이트(radiofarda.com_Iran-population-policy)
□ 이란 출산용품시장 특성
ㅇ 품질에 민감한 육아용품 소비자들, 고품질의 외국제품 선호
- 현지 업체 인터뷰를 통한 무역관 자체 조사에 따르면 이란 유아용품 소비시장의 대부분을 외국기업이 점유하고 있으며 전체 수입시장 점유율은 중국이 약 40%로 1위, 터키가 20%로 2위를 차지
ㅇ 태어날 아이를 위해 선물을 준비하는 이란의 출생의식 ‘시스무니’
- 이란은 전통적으로 조로아스터교의 영향을 받아 7을 행운의 숫자로 인식, 임신 7개월 무렵 태어날 아이를 위해 7가지 육아용품을 준비하는 전통이 있음.
- 성별에 따라 각기 다른 육아용품을 준비하는데 기본적으로 옷, 양말, 모자, 기저귀 등을 준비하며 여아의 경우 스카프, 턱받이 등을 선물
- 최근 시스무니에는 침대, 유모차 등 모든 육아용품이 포함되며, ‘아이를 맞이할 준비’의 의미로 해석
- 시스무니 세트를 파는 전문 온라인 몰도 있을 정도로 필수적이고 보편적인 문화이며 최근 정부의 출산 장려정책까지 더해져 이란 육아용품 시장의 상승세가 기대됨.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이란은 유아용 의약용품 및 위생용품, 유모차 및 보행기, 의료 및 장신구 순으로 수입하고 있으며, 이들 품목의 2018년 수입액은 547만 달러로 전년 1123만 달러 대비 51.2% 감소
- 이는 미국의 대이란 경제제재 영향으로 일시적인 수입대금 결제문제에 기인
ㅇ 육아용품 관련 이란 현지 업체 인터뷰에 따르면 이란에 수입되는 대부분의 육아 용품은 유럽, 터키, 중국으로부터 수입됨.
ㅇ 한국은 유아 의약용품 및 위생용품 품목내에서 10위 수입대상국으로 올라 있으나 점유율 0.07%로 매우 미미한 수준
- 이란의 육아용품 수입 트렌드는 품질과 브랜드 측면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며, 한국 제품의 경우 유럽에 비해 브랜드 인지도가 낮으나 고품질 인식이 자리 잡고 있어 진출 기회는 높은 편
이란의 유아 의약용품 및 위생용품 수입동향 (HS code : 401490)
국가 | 미국달러 | 점유율 | 증감률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2018/2017 |
전체 | 2,592,322 | 4,176,257 | 3,487,735 | 100.00 | 100.00 | 100.00 | -16.49 |
증국 | 1,221,901 | 2,236,778 | 1,942,518 | 47.14 | 53.86 | 55.70 | -13.16 |
UAE | 278,755 | 655,028 | 938,127 | 10.75 | 15.68 | 26.90 | 43.22 |
독일 | 258,521 | 426,040 | 322,986 | 9.97 | 10.20 | 9.26 | -24.19 |
터키 | 110,680 | 186,665 | 119,243 | 4.27 | 4.47 | 3.42 | -36.12 |
이탈리아 | 64,258 | 116,953 | 89,094 | 2.48 | 2.80 | 2.55 | -23.82 |
네덜란드 | 0 | 0 | 37,645 | 0.00 | 0.00 | 1.08 | 0.00 |
스페인 | 4,051 | 35,291 | 18,580 | 0.16 | 0.85 | 0.53 | -47.35 |
핀란드 | 0 | 0 | 12,379 | 0.00 | 0.00 | 0.35 | 0.00 |
대만 | 0 | 0 | 4,185 | 0.00 | 0.00 | 0.12 | 0.00 |
대한민국 | 11,322 | 15,434 | 2,557 | 0.44 | 0.37 | 0.07 | -84.43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HS code: 871500 아이 운반기(유모차 및 보행기 관련 제품)
국가 | 미국달러 | 점유율 | 증감률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2018/2017 |
전체 | 1,222,957 | 2,591,860 | 1,658,207 | 100.00 | 100.00 | 100.00 | -36.02 |
중국 | 745,645 | 1,908,307 | 1,190,709 | 60.97 | 73.63 | 71.81 | -37.60 |
UAE | 272,538 | 296,461 | 184,453 | 22.29 | 11.44 | 11.12 | -37.78 |
이탈리아 | 0 | 105,241 | 77,997 | 0.00 | 4.06 | 4.70 | -25.89 |
노르웨이 | 94,543 | 0 | 47,394 | 7.73 | 0.00 | 2.86 | 0.00 |
아일랜드 | 0 | 0 | 45,322 | 0.00 | 0.00 | 2.73 | 0.00 |
터키 | 20,267 | 18,175 | 44,723 | 1.66 | 0.70 | 2.70 | 146.07 |
폴란드 | 0 | 12,250 | 24,194 | 0.00 | 0.47 | 1.46 | 97.50 |
벨라루스 | 0 | 0 | 14,869 | 0.00 | 0.00 | 0.90 | 0.00 |
스페인 | 10,654 | 12,107 | 11,000 | 0.87 | 0.47 | 0.66 | -9.14 |
독일 | 0 | 0 | 9,216 | 0.00 | 0.00 | 0.56 | 0.00 |
HS code: 6209 아동 의류 및 장신구
국가 | 미국달러 | 점유율 | 증감율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2018/2017 |
전체 | 3,451,261 | 4,463,782 | 327,309 | 100.00 | 100.00 | 100.00 | -92.67 |
터키 | 429,091 | 2,627,016 | 173,706 | 12.43 | 25.85 | 53.07 | -93.39 |
독일 | 168,982 | 750,788 | 79,148 | 4.90 | 16.82 | 24.18 | -89.46 |
프랑스 | 47,038 | 351,852 | 47,318 | 1.36 | 7.88 | 14.46 | -86.55 |
이탈리아 | 6,364 | 0 | 15,362 | 0.18 | 0.00 | 4.69 | 0.00 |
UAE | 1,203,998 | 203,430 | 10,450 | 34.89 | 4.56 | 3.19 | -94.86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수입 규제 및 관세율
ㅇ 이란 내 육아용품 수입을 위해 다음 기관의 사전 승인 및 제품 등록 필요
- Ministry of Industry Mine and Trade(www.mimt.gov.ir)
- Institute of Standard and industrial Research of Iran(www.isiri.org)
- Iran code organization 내 수입업체 등록(www.irancode.ir)
ㅇ 최근 이란 관세청에 의해 발표된 수출입 규정에 따르면, 육아용품 관련 수입세액과 부가가치세는 아래와 같음.
HS code | 부가가치세(VAT) | 수입 관세 |
392410 | 9 | 55 |
401490 | 9 | 5 |
6209 | 9 | 55 |
950300 | 9 | 26 |
871500 | 9 | 40 |
□ 유통구조 및 특징
ㅇ 현지 수입업체 인터뷰 결과, 이란 육아용품 유통 구조는 아래와 같음.

자료원: 이란 현지 업체 인터뷰
ㅇ 문화적 특성(시스무니)에 기인한 이란의 육아용품 시장은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1962년에 생겨난 테헤란 바허르거리(bahar street)와 테헤란 좀후리거리(jomhori street) 지역 상업지역에 오프라인 매장이 밀집되어 있으며 총 유통규모의 70%를 차지
ㅇ 최근 이란 온라인 유통채널이 발달하면서 전문 출산육아용품 취급 온라인쇼핑몰이 등장, 직접 수입제품을 구매하기도 해 이들 온라인쇼핑몰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1) 머다란(Madarran)

- 2017년 설립된 육아용품 전문 온라인 상점으로 유럽, 중국, 터키에서 제품을 수입
- 유아 건강 관련 제품, 임산부 제품, 유아용 장난감, 유아 식품 등 다양한 제품군을 갖춤
2) 니니러젬(Nini Lazem)

- 2016년에 온라인 매장을 도입하였으며 중국, 유럽, 한국으로부터 제품을 수입하여 판매하는 업체임.
- 가장 큰 유아용품 온라인 매장 중 하나로서 30여 년간 수입을 해온 경험이 있음.
- 신생아부터 아동기에 이르는 연령대의 모든 제품을 판매함.
3) 시스무니(Sismony)

- 2018년 설립된 육아용품 전문 온라인 매장으로, 유아용품부터 산모를 위한 제품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
- 동사는 자체 유통시스템을 갖고 있으며 본 서비스는 이란 전역의 모든 대도시에서 운영됨.
□ 이란 현지업체 인터뷰
ㅇ 육아용품 제조, 유통 및 수입 업체 D사
- 1987년 설립된 회사로 이란에서 가장 큰 육아 제품 제조업체임
- 동사는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이라크 등 인접국에도 수출하며 시장점유율이 높음.
- 중국과 터키에서 원료를 수입하고 있음
- 한국기업과 합작투자로 진행할 의향이 있으며, 고품질의 한국 원자재 수입을 희망함.
- 한국제품이 타 중동지역에도 유통되어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고 합리적인 가격에 고품질 인식으로 시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
ㅇ 수입, 유통 도매업체 K사
- 동사는 이란 내 10대 도매 기업 중 하나로서 35년간 외국 기업 독점 대리인 경험이 있음.
- 외국 기업과의 협력에 긍정적이며 강력한 현지 유통망을 갖고 있음(중동 전역에 5개의 본사직영점과 60개의 유통대리점, 1000개의 소매점 소유)
- 동사는 430여개 브랜드의 현지유통파트너이며 한국과의 협력을 희망함.
□ 시사점
ㅇ 이란 정부의 최근 적극 추진 중인 출산장려정책과 안정성 높은 고품질 제품을 선호해 이란 육아용품 수입시장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
ㅇ 이란 주요 육아용품 바이어는 주변국 소비시장에서도 높은 시장점유율을 선점하고 있어 한국기업 진출 시 효율적인 판매망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ㅇ 한국 제품의 품질은 이미 이란시장 내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진출 기회는 충분히 존재
ㅇ 단, 미국의 대이란 경제제재로 인해 결제문제가 상존해 있어 유의해야 하며, 철저한 사전준비와 리스크 방지 장치는 필수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이란 관세청, UN, National Organization for Civil Registration, 이란 주요 일간지 사이트(radiofarda.com_Iran-population-policy), 현지 주요 온라인쇼핑몰 사이트, 현지기업 인터뷰 및 KOTRA 테헤란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