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제약사 사우디 시장 주도 -
- 사우디 비전 2030 일환, 현지 의약품 제조업 육성 적극 추진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 의약품(HS Code : 3002, 3003, 3004)
□ 시장규모
o 시장조사 전문기관 Fitch Solutions에 따르면 2019년 사우디 의약품 시장 규모는 약 83억 달러, 연평균 5%의 성장을 기록
- 2016-17년 성장세가 주춤하긴 했으나 2015년 이후 연평균 5% 이상의 고속 성장 기록 중
- 달고 짠 식습관으로 인해, 심장병, 당뇨 등의 질병 환자 매년 증가
- 친척 등 근친결혼이 널리 퍼져있어 이에 따른 각종 질병도 지속 증가 중
o GCC 6개국 중 가장 큰 의약품 시장 보유
- 3,400만 인구로 GCC 국가 중 가장 큰 단일시장 보유
- 인구의 50%가 30세 이하로 향후 10년 동안 의약품 시장 규모 대폭 증가 전망
2017 – 22년 사우디 의약품 시장 규모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 2017 | 2018 | 2019e | 2020e | 2021f | 2022f |
금액 | 7,519 | 7,897 | 8,293 | 8,711 | 9,185 | 9,704 |
증가율 | 0.99 | 5.03 | 5.01 | 5.01 | 5.04 | 5.07 |
주: 2019-20년 추정치, 2021-22년 전망치
자료: Fitch Solutions
□ 수입동향
o 2018년 사우디 의약품 수입액은 총 52억 8,334만 달러이며, 독일이 전체의 16.7%로 수입비중 1위 기록
- 독일에 이어 미국(15.3%), 프랑스(11.8%), 스위스(8.0%), 아일랜드(6.9%), 덴마크(5.1%) 등이 주요 수출국
2018 사우디 의약품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가 | 금액 | 점유율 |
1 | 독일 | 883.9 | 16.73 |
2 | 미국 | 808.2 | 15.30 |
3 | 프랑스 | 620.9 | 11.75 |
4 | 스위스 | 421.8 | 7.98 |
5 | 아일랜드 | 368.3 | 6.97 |
6 | 덴마크 | 267.4 | 5.06 |
7 | 이탈리아 | 234.6 | 4.44 |
8 | 영국 | 224.8 | 4.25 |
9 | 스웨덴 | 189.2 | 3.58 |
10 | 기타 | 1,264.3 | 23.94 |
합계 | 5,283.4 | 100 |
주: HS Code 3002, 3003, 3004
자료: ITC Trade Map
o 2018년 기준 최근 5년간 사우디의 한국 의약품 수입은 약 400% 증가
- HS Code 3002, 3003, 3004 기준 2018년 사우디의 한국 의약품 수입은 1,374만 달러 기록
- 수입액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나 사우디 의약품 수입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0.3%로 크지 않음
2014-18년 사우디의 한국 의약품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HS Code | 품목명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3002 | 치료용, 예방용, 진단용으로 조제한 피, 면역혈청, 혈액분획물과 면역물품 | 2,351 | 3,046 | 4,838 | 10,888 | 3,427 |
3003 | 일정한 투여량이 정해지지 않은 혼합 의약품 | 441 | 0 | 0 | 27 | 177 |
3004 | 일정한 투여량이 정해진 의약품 | 652 | 1,287 | 2,608 | 3,933 | 10,141 |
합계 | 3,444 | 4,333 | 7,446 | 14,848 | 13,745 |
자료: ITC Trade Map
□ 시장 트렌드
o 고온건조한 기후로 인한 운동부족, 달고 짜게 먹는 식습관으로 인해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환자가 많음
- 고혈압 치료제, 혈당조정제 등 의약품 수요 지속 증가
o 사우디 비전 2030 일환, 현지 의약품 제조업 육성 추진
- 보건의료 현지 육성을 위한 글로벌 빅파마(Big Pharma)와 현지 JV설립 추진
- 기술 제휴 등을 통해 제네릭 의약품 현지생산을 추진하고 있으며, 2019년 4월 서울에서 개최된 한-사우디 비전 2030 경제공동위원회 이후 일부 한국 기업과 JV 설립 추진 중
* Pangen 바이오테크, Genius 등 사우디 진출 검토 중
o 열악한 의료인프라 개선을 위해 사우디 전역 22개의 국립병원 건설 계획
- 2018년 기준 사우디 종합병원은 총 483개이며, 인구 1,000명 당 병상수는 2.27개로 의료인프라 열악
- 사우디 비전 2030 달성을 위한 2020 국가 개혁 프로그램(National Transformation Program) 진행 중이며, 향후 5년 내 22개 국립병원 건설 목표
건설 예정 주요 국립병원 리스트
병원명 | 병상수 |
Ranyah Hospital in Makkah | 200 |
Al-Khurmah Hospital in Makkah | 200 |
Al-Qunfudah Hospital in Makkah | 500 |
Maternity and Children Hospital in Al Madinah | 400 |
A hospital in Badr Province, Madinah | 200 |
A hospital in Almajmaáh | 300 |
A hospital in Sharourah | 300 |
Al Qitaá Al Jabaly Hospital in Jazan | 300 |
Maternity and Children Hospital in Mahayel Asir | 200 |
Al Qatif Hospital | 500 |
A hospital in Al Ahsa Province | 500 |
A hospital in west Dammam | 500 |
Medical Complex in Riyadh | 1.000 |
Medical Complex in Jeddah | 1.000 |
Al Qahmah and Al Barak Hospital in Asir | 300 |
Turobah Hospital in Makkah | 100 |
Al Mahd Hospital in Madinah | 200 |
Khamis Mushait Hosptal in Asir | 500 |
East Asir Hospital | 200 |
자료: 사우디 보건부(Ministry of Health)
□ 경쟁 동향
o 미국, EU 제약회사들이 사우디 의약품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전체 수입의 80% 이상 차지
- 주요 기업은 Johnson & Johnson, Pfizer(미국), GlaxoSmithKline(영국) Novartis(스위스), Sanifi(프랑스) 등
- 상기 글로벌 제약사 현지 유통기업이 사우디의 대표적인 의약품 대기업임
- 사우디 주요 기업으로는 Al-Naghi, SPIMACO, Cigalah Group, Saudi Pharmaceutical Distribution Co, Tabuk Pharmaceutical Co 등이 있음
2019 사우디 의약품 시장 주요 기업
(단위: %)
순위 | 기업명 | 점유율 |
1 | GSK Consumer Healthcare | 15.6 |
2 | SPIMACO | 9.6 |
3 | Cigalah Group | 9.2 |
4 | Saudi International Trading Co(SITCO) | 5.7 |
5 | Tamer Group | 4.1 |
6 | Tabuk Pharmaceutical Co | 3.7 |
7 | Jamjoom Pharma | 3.3 |
8 | Manayer Najd Medical Co | 2.8 |
9 | Riyadh Pharma Medical & Cosmetic | 2.1 |
10 | Al-Kamal Import Office | 1.6 |
기타 | 42.3 |
합계 | 100 |
자료: 유로모니터
□ 유통구조
o 사우디 의약품 수입업체 및 유통업체들은 도매업체 또는 직접적으로 약국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 외국 제약사의 사우디 내 의약품 유통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음
- 따라서 모든 제약사는 사우디 내 현지 에이전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에이전트는 제품 수입부터 공급까지 수행
-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의약품을 수입한 사우디 에이전트는 전문도매업체 통하거나 자체적으로 약국에 의약품을 유통하고 있음
ㅇ 유로모니터에 의하면 의약품 소비자 판매는 전체의 99.3%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 지며, 이 중 전문의약품 판매점이 86.3% 차지
□ 수입규제 및 인증, 관세율
o 사우디에 의약품을 수출하고자 하는 모든 제약회사는 사우디 식약청(SFDA)에 등록해야 함
- SFDA 등록 과정은 등록 신청 -> 담당자 미팅 -> 서류 및 샘플 발송 -> 확인 -> 평가 -> 테스트 -> 제조공장 시찰 -> 가격 책정 -> 제품 유통 허가 순
- 사우디 식약청(SFDA) 등록을 위해서는 SFDA의 의약품 분류 기준에 따라 자사의 제품을 분류한 다음 등록을 진행해야 함
* 사우디 식약청(SFDA) 의약품 등록 절차 및 유의사항은 첨부기사 참조 요망
o HS Code 3002, 3003, 3004 기준 사우디 관세율은 0%
□ 현지기업 인터뷰
o A사
- 정부의 사우디 비전 2030 정책에 따라 사우디 시장진출을 위해서는 JV 설립 등 현지 진출이 필수
- 2019년 4월 서울에서 개최된 한-사우디 비전 2030에서도 다수의 한국 제약기업이 사우디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논의하였으며, 당사도 제네릭 의약품 현지생산을 위한 파트너기업 물색을 위해 노력 중임
ㅇ B사
- 사우디 식약청(SFDA) 등록과정은 최소 12개월 이상 소요되기 때문에 철저한 사전준비 필수
- 사우디 정부는 외국기업 단독 의약품 유통을 금지하고 있어, 미국, 유럽 등의 글로벌 제약사 유통 경험이 풍부한 에이전트와의 협력이 매우 중요
□ 시사점
o 고온건조한 날씨로 인한 운동부족, 고지방 위주의 식습관으로 인한 비만 등으로 성인 질환 의약품 수요 높음
- 인구의 50%가 30세 미만으로 향후 10년 내 성인 질환 환자 급증 전망
o 높은 진입장벽으로 철저한 사전준비 필요
- 미국 등 선진국 시판 제품 경험 보유 등 사우디 식약청(SFDA) 등록 조건은 매우 까다로운 편으로 모든 조건이 충족되더라도 최소 12개월 소요
- 식약청 등록 이후 출시가격을 승인받아야 하는데, 가격을 승인 받더라도 출시 이후 가격 인상이 통제되거나 오히려 인하되는 경우도 다수 발생
o 사우디 비전 2030 활용한 현지 직접 진출 검토 필요
- 사우디 정부는 보건의료 제조업 육성을 통한 외국 제약사 자국 유치 노력 중이며, 외국기업의 현지 JV 설립 확대를 위한 부동산 지원, 보조금 지급 등의 혜택 계획 중
- 국산제품 우대 정책으로 현지 제조공장 설립 시 보건부 입찰 참가 인센티브 제공
o 글로벌 제약사 에이전트를 통한 시장 진출
- 사우디 의약품 대기업은 미국, 유럽 등의 글로벌 제약사 현지 에이전트임
- 상기 기업들은 보건부, 국립 병원 등 주요 의약품 수요처에 수 십년 동안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 따라서, 에이전트 발굴에 다소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중소형 에이전트 보다는 대형 에이전트 발굴을 통한 진출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방법임
자료: Fitch Solutions, 유로모니터, ITC Trade Map, 사우디 보건부(Ministry of Health) 사우디 식약청(SFDA), 사우디 관세청(Saudi Customs), Arab News,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