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스님이 물었다.
"무슨 까닭에 경을 읽지 못하게 하면서 나그네의 말이라 하십니까?"
대사가 대답했다.
"마치 앵무새와 같아서 다만 사람의 말을 배울 뿐이요, 사람의 뜻은 얻지 못하기 때문이니라.
경은 부처님의 뜻을 전하는데 부처님의 뜻은 얻지 못하고 경만 읽으니, 이는 말을 배우는 사람이니라.
그러므로 허락치 않는다 하니라"
"문자와 언어를 떠나서 따로이 뜻이 있을 수 없습니까?"
"그대가 이렇게 말하는 것도 역시 말을 배우는 것이니라."
"똑 같이 말인데 어째서 치우쳐 반대하십니까?"
"그대는 지금 자세히 들으라. 경전에 분명한 글이 있노라. 내가 말한 것은 이치의 말이고 글이 아니요, 중생이 말한 것은 글의 말이고 이치의 말이 아니니라'
뜻을 얻은 이는 들뜬 말을 초월 하고, 이치를 깨달은 이는 문자를 초월 하는 것이니,
법은 언어와 문자를 지난 것이니 어찌 법수와 언구 속에서 구하랴.
그러므로 보리의 마음을 일으킨 이는 뜻을 얻고 말을 잊으며, 이치를 깨닫고는 교리를 버리느니,
흡사 고기를 얻고는 통발을 잊고, 토끼를 잡고는 그물을 버리는 것과 같으니라"
문)'문자와 언어를 떠나서 따로이 뜻이 있을 수 없습니까?' 하였는데
'그대가 이렇게 말하는 것도 역시 말을 배우는 것이니라' 한 도리를 일러보시오.
시나브로: 뜻을구하려는것 역시 어릿광대짖이라는것입니다.
장군죽비: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것인지오?
시나브로: 문자나 언어를 떠나서 또한 뜻을 전할 수 없는것입니다.
장군죽비: 그렇기는 하나 이렇게 묻는 것도 어째서 말을 배우는 것이라 한 것인지를 투득가셔야 하리다.
시나브로: 경의뜻은 구함이아니라 투득하는 것입니다.
장군죽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