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세기 산악회 제264차 6월 정기산행 안내
산행지 : 정선 취적봉(728.3m), 덕산기 계곡 오지 트레킹
산행일 : 2018년 6월 9일(둘째 토요일)
산행코스 :
A코스:덕우삼거리-하돌목교-사모바위-갈림길-취적봉-강릉유씨묘-덕산기계곡-덕산3교
-덕산2교 -덕산1교 (약 9km)5시간30분
B코스:덕산기계곡 자유 트레킹(원점회귀, 약 7km)
버스출발시간: 송탄 최네집(06:00)~등기소(06:02)~장당육교(06:07)~세교 동사무소(06:25)~
통복시장(06:27)~역전 동양고속 입구(06:30)~여중사거리 레드페이스앞(06:35)~문예회관(06:40)~참이슬 A(06:42)~평택대 앞(06:47)~진사리 삼성A(06:50)로 진행합니다
앞산과 뒷산 사이에 빨래줄을 맬 수 있는 강원도 정선은 아라리다.
물도 산도 바람과 구름도 아라리, 먹거리와 노래, 사람도 아라리다.
그러한 정선땅 덕우리와 석곡리에 아라리 칠갑한 채로 싱싱하게 존립한 산이 있다.
취적봉(吹笛峰·728.3m)이다.
백두대간 금대봉(1,418.1m)에서 발원한 물이 어천~동대천 명함으로 조양강에 어우르기에 앞서 석곡리와
덕우리를 빠져나가며 취적봉을 얼싸안고 왈츠 스텝을 밟게 되는 바로 거기 버드내 석벽 뼝대 아래
연산군 네 세자가 유배되어 살았었다. 초근목피로 겨우 목숨을 부지하며 취적(吹笛)으로 그 날 그 날
한을 삭이고 있던 중 조선 11대 중종이 내린 사약을 받고 짧은 생을 마감하게 된다. 그 후 사람들은
어린 왕자들의 죽엄을 지켜본 바위 뼝대를 취적대라 불러주었다.
취적대 주위에는 빼어난 경치가 있는데 덕우8경이 그것이다. 낙모암은 덕우1반 백평 마을
삼합수 강변에 모자 모양의 기암절벽, 제월대는 덕우1반 백평 마을 강변에 U자형 암봉이다.
그 사이에 달이 뜨면 이쪽저쪽 봉우리로 달이 건너다닌다. 제3경은 덕우1반 대촌 마을 강변에
아홉 폭 병풍을 세워놓은 구운병이며,
옥순봉은 대촌 마을 강변에 마고할멈이 신틀을 매고 신을 삼아 신었다는 전설이 있는
상투를 틀어 올린 듯한 석봉이다
반선정은 대촌 마을 강변의 경치를 즐기던 정자. 약 127년 전 일제 때 일본헌병 이해남이 정자터가
탐이 나 반성정을 헐고 그 자리에 자기 조상의 묘를 이장하니 대촌 사람들은 그의 서슬에 눌려
이의를 제기하지 못하였다. 그 후 마을에는 변괴가 일어났다. 마을 개들이 밤마다 반선정 터를
바라보며 짖어대고, 마을의 기와집 9동이 원인 모를 화재로 잿더미가 되었다. 이해남 일가도
패가망신하였다고 한다.
운금장은 덕우2반 유천 마을 남향에 솟은 산으로 구름이 피어오르는 모습이 황홀하다.
백오담은 덕우리 유천 마을 중앙의 연못이 있던 자리로, 옛날 연못에 흰 까마귀가 서식하였다고 한다.
어떤 욕심 많은 사람이 명당이라 탐욕하여 연못을 메우고 그 터에 집을 지은 후 가세가 기울었고,
그 후 지금까지도 그 집으로 이사 가는 사람은 집안이 망조가 들어 폐가로 있다.
제8경은 유천 마을 강변의 석벽 아래에 연산군 네 세자가 귀양와 피리를 불던 취적대가 그것이다.
덕우 삼거리에서 산행 시작
산행 들머리는 424번 지방도와 59번 국도가 만나는 덕우 삼거리다.
화암8경을 알리는 푯말들이 많이 있건만 덕우8경 홍보푯말은 눈을 씻고 보아도 어디에도 없다.
동대천에 걸친 하들목교를 건너 제방을 따라 동대천을 거슬러 올라가다가 왼편에 보이는
농가 마당을 지나 집 뒤 소나무숲으로 들며 본격적인 산행의 시작이다.
정상에서 남쪽으로 길게 뻗은 낙맥을 따라 오른다. 멋쟁이 소나무 위로는 두루미가 날고
양지쪽 등성이에는 묘들이 많다.
모두 동대천 건너편 음부처럼 생긴 석곡을 바라보고 묘를 썼다.
묘를 뒤로하고 소나무숲을 벗어나 잠시 오르자 교통호처럼 땅이 길게 파져있다.
이곳 명당에 인재가 날 것이 두려워 일제가 바위를 깨고 산줄기를 끊은 만행의 흔적이다.
건너편 서운산 음지켠에는 아직도 희끗희끗 잔설이 있건만 이곳 양지에는 아지랑이가 핀다.
봄바람도 훈훈 따사롭다. 신갈나무, 굴참나무 아래에는 정선 바닥쇠들이 동박나무라 부르는
생강나무들이 줄줄이 노오란 병아리 같은 꽃을 피웠다.
‘아우라지 지장구 아저씨 배 좀 건네주게. 싸리골 올동박이 다 떨어진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 고개로 나를 넘겨주게.’
목청 돋구어 아라리 한 곡조 뽑아 보지만 여엉 신통치 않다. 오르면 오를수록 사행하는
동대천이 아슬아슬 뒤를 따른다.
덕우리 마을에서 올려다보면 모자처럼 생겼다는 사모바우가 버텨 발을 잡는다.
또 다른 이름이 있다.
오전까지는 이 바위에 햇볕이 들지 않다가 정각 12시가 되어야 햇살이 든다 하여 시계가
귀했던 시절에는 이 바위가 점심때를 알려주어 시계바우라 부르기도 한다.
사모바우, 일명 시계바우 벽을 끼고 오른쪽으로 조심하여 나아가니 다시 석벽이 막아선다.
석벽을 끼고 오른편 사면을 따르다 바위턱이나 관목을 잡고 심한 된비알을 숨을 몰아 올라치자
사방이 절벽인 정상이다. 아직까지 이름이 없어 취적봉(吹笛峰)이라 부르기로 하였다.
걸림돌 없는 아찔한 발치의 조망, 서쪽은 정선읍내 건물들이 살짝 보이는 위로 가리왕산은 물론이고
조양산, 물비리산, 박달봉이 건너편에 있다. 동과 남쪽은 서운산 아래 석곡리 들목 마을이 그림 같다.
소가 걸어가며 소똥을 뚝뚝 흘렸다는 와우형국 마을.
동대천변 이곳저곳 둥싯둥싯한 작은 오름 옆에 조개껍질 같은 집들이 띄엄띄엄 앉았다.








운전석 | | | | 출입문 |
1.딸기맘/문예 | 2.딸기맘/문예 | | 3.회장/ | 4.대장/세교동사무소
|
5. 해피맨/진사리 | 6. 해피맨/진사리 | | 7. 멋쟁이 | 8. 긍정/문예 |
9.스노우/진사리 | 10.스노우/진사리 | | 11.류시장/장당 | 12. 류시장/장당 |
13. 같이가세/진사리 | 14. 같이가세/진사리 | | 15. 개여울/진사리 | 16. 같이가세 |
17. 같이가세/진사리 | 18. 같이가세/진사리 | | 19. 조미순/문예 | 20. 조미순/문예 |
21.지금/진사리 | 22. 지금/진사리 | | 23.델타/참이슬 | 24. 목소리/진사리 |
25. 설까치/문예 | 26. 설까치/문예 | | 27. 하모니카/세교동 | 28. 하모니카/여중 레드 |
29.로사리아/참이슬 | 30.로사리아/진사리 | | 31. 소쿠리/세교동 | 32. |
33. | 34. 블랙가이/여중 레드 | | 35. 설까치/문예 | 36. |
37. 비스타/동양고속 | 38. 써니/진사리 | | 39.시티보이/문예 | 40.정도화/동양 |
41. 최우철/문예 | 42. |
| 43총무/동양
| 44황토방/문에
|
첫댓글 같이가세님, 조미순님,델타님,비스타님, 하모니카님, 신청 감사합니다 에약 되었습니다.
델타님 좌석 먼저 예약 한 분 있어서 다른곳으로 옮겼습니다 괜찮으시죠?
산행합니다 40번
감사합니다 산행때 뵙겠습니다
41번 신청합니다
네~ 감사합니다 산행때 봐요
산행신청합니다 세교동사무소입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좌석31번 예약해드리겠습니다 산행때 뵙겠습니다
25.26번
설까치.불타는청춘 신규신청입니다 문예회관탑승입니다
설까치01022813248입니다
감사합니다 21세기 첫 산행 축하드리며 산행때 뵙겠습니다
환영합니다~~
함께 즐산 할수 있어 기쁨니다~~~^♡^
목소리 진사리탑승입니다
처음신청이구요42번요
전번010-2716-2774
환영합니다~~~^^
함께 즐산 했으면 좋겠습니다~~^♡^
오셨군요 환영합니다 산행때 뵙겠습니다
스노우 3,4입니다. 29, 30 참이슬, 진사리탑승입니다. 즐겁고 행복한 산행기대됩니당 ~~
네~~감사합니다 산행때 뵈요~^^
44번 신청합니다
문예회관 탑승~~~
감사합니다 오랜만입니다 산행때 뵙겠습니다
좌석 정리 빨리하겠습니다
8번좌석 찜합니다~~
긍정님~~ 문예탑승요~~~^♡^
네 총무님
29번 설까치신청입니다
네 감사합니다
이성현 010-2371-5626 신청합니다(여중 레드 승차)
네~~감사합니다~^^
원하시는 좌석 번호가 있으시면
말씀 해 주세요~~
@백설 앞좌석 있으시면 감사합니다
@불랙가이 네~~~알겠습니다~
산행날 뵙겠습니다~~^^
지인 진사리승차 21번예약해주세요.
네~~예약 되셨습니다~^♡^
29번좌석이신청이 안되었네요 문예회관요
신청 감사합니다 먼저 예약 한분있었서 35번으로 예약해드리겠습니다 괜찮으시죠?
딸기맘 두명 신청합니다 멀리로 앞좌석 부탁합니다
회장님 좌석 주세요~~
총무뒤로 갈께요~~~^^
총무 43번좌석 찜~~임다
@백설 총무님 자리?
@오대감1 넵~~앞자리 양보 합니다~~
33번 박정재 신청합니다 [문예회관 승차]
감사합니다 산행때 뵙겠습니다
죄송합니다 한사람 문화회관이 아니고
여중사거리 레드스페이 앞에서 승차한담니다
네 ~ 알겠습니다
33번 박정재씨 오늘
목요산행중 다리을다쳐 취소합니다
네~ 빠른쾌유를 빕니다 다음에 뵙겠습니다
산행신청합니다. 39번 좌석 문예회관 탑승입니다.
감사합니다 산행때 뵙겠습니다
한경석님 와1명 탑승합니다~~
평택대 탑승 합니다~~
네~~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