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반도체 새로운 수장 전영현 부회장... 핵심은 ‘분위기 쇄신·경쟁력 강화’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21일 삼성전자는
전영현 미래사업기획단장 부회장을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장에 위촉하고
미래사업기획단장 자리에는 3년 5개월간
삼성전자 반도체를 이끌어 온
경계현 DS부문장 회장을 위촉했다고 밝혔답니다.
또한 삼성전자는 사령탑을 교체하며
DS부문장을 사장에서 부회장으로 격상했는데요.
사장 조직에서 부회장 조직으로 격상돼
추후 추진하는 사업과 투자에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사는 불확실한 글로벌 경영 환경하에서
대내외 분위기를 일신해
반도체의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라고 설명하며
“전영현은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와
배터리 사업을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성장시킨 주역으로
그간 축적된 풍부한 경영노하우를 바탕으로
반도체 위기를 극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답니다.
신임 DS부문장에 위촉된 전영현 부회장은
2000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로 입사해
DRAM/Flash 개발, 전략 마케팅 업무를 거쳐
2014년부터 메모리 사업부장을 역임했고
2017년에는 SDI로 자리를 옮겨
5년 동안 SDI 대표이사 역할을 수행했으며
2024년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장으로 위촉돼
삼성전자/전자관계사의
미래먹거리 발굴 역할을 수행해 왔답니다.
경계현 사장은 2020년부터 삼성전기 대표이사를 맡아
MLCC 기술경쟁력을 끌어올렸고
2022년부터는 삼성전자 DS부문장으로 자리.
삼성전자 관계자는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면서 쌓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 먹거리 발굴을 주도할 예정이다”이라고
말했답니다.
이번 인사 배경으로는
지난해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전방 IT 수요 부진 등의 악재가 맞물려
15조 원에 가까운 적자를 기록하며
15년 만의 최악의 실적을 낸 만큼
삼성 반도체 부문에 새로운 활력이 필요하기에
단행한 인사라고 보입니다.
인공지능(AI) 반도체의 핵심으로 꼽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주도권을 경쟁사인 SK 하이닉스에 빼앗긴 점도
삼성전자의 부진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는데요.
삼성전자는 현재 세계 D램 시장에서는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D램 반도체 신기술인 HBM 시장에서는
주도권을 10년 전부터 HBM에
공격적인 투자를 한 SK하이닉스가 쥐고 있답니다.
앞서 삼성전자 DS부문은
올해 1분기 2조 원에 육박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앞선 4분기 연속 적자라는 끝이 보이지 않는
굴레에서 벗어나며 흑자로 전환했는데요.
반도체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흑자전환에 대해
AI 반도체의 핵심 부품인
HBM 수요 급증과 반도체 감산 효과 등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보고 있답니다.
하지만 대내외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반도체 기술 초격차라는 목표를 달성하고
경쟁력을 한층 더 높이기 위해서는
분위기 쇄신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주를 이뤘답니다.
부진을 벗어나기 위해
삼성전자 일부 부서에서만 하던
임원의 주 6일 근무 체제가 확대되기도 했답니다.
이번 사령탑 교체를 통해
전반적인 쇄신을 도모한 삼성전자는
전영현 부회장의 리더쉽과 능력을 앞세워
HBM 등 차세대 반도체 주도권을 탈환할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리는 상황입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