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nee joint
bone
(1)대퇴골
대퇴골 femur은 인체에서 가장 긴 뼈로서 상단, 골체, 하단으로 구분한다.
상단 upper end에는 거의 구형에 가까운 대퇴골두 head가 있어 관골구와 결합하여 고관절 hip joint을 이룬다. 대퇴골두의 관절면은 매끈하나 골두 중앙에는 거친 작은 홈이 있다. 이것을 대퇴골두와 fovea of head of femur라 하며 대퇴골두 인대가 부착된다.
대퇴골두 바로 아래에는 잘록한 대퇴골경 neck이 골체축과 약 120~130°의 각(경체각)을 이루며 대퇴골체에 연속된다. 대퇴골경은 골절이 빈발하는 부위이다.
대퇴골체 body 외측 상단부에는 대전자 greater trochanter가, 내측 후방에는 소전자 lesser trochanter가 돌출되어 있고 이들은 전면에서 전자간선 intertrochanteric line에 의하여, 후면에서는 전자간능 intertrochanteric crest에 의해 연결되어진다. 대전자 내측의 깊은 홈은 전자와 trochanteric fossa 이며 근육이 부착된다.
대퇴골체의 전면은 전체적으로 매끈하지만 후면 중간부에는 세로로 길게 돌출된 거친 선이 있는데 이것을 조선 linea aspera 이라 하며 내전근이 부착한다. 조선은 내측순 medial lip과 외측순 lateral lip, 두 줄로 되어 있다. 내측순은 위쪽으로 전자간선에 연결되며 여기에 장골근iliacus muscle이 부착한다. 외측순은 위쪽으로 둔근조면 gluteal tuberosity으로 대전자까지 이어지며 대둔근이 부착한다. 조선의 아랫부분은 내·외측과까지 연결되어 슬와면 popliteal surface을 형성한다.
하단 lower end은 내측과 medial condyle와 외측과 lateral condyle를 이루어 경골과 관절하고, 이들 상부에는 내측상과와 외측상과 medial N lateral epicondyles가 돌출되어 있어서 근육과 인대들이 부착된다. 하단 전면에는 슬개골이 위치하는 슬개면 patellar surface이 있고, 후면에는 깊게 파인 과간와 intercondylar fossa가 있다.
(2)슬개골
슬개골 patella은 무릎 전면에 있는 인체에서 가장 큰 종자골 sesamoid bone이다.
대퇴사두근 건 속에 위치하며 밤 모양의 편평골이다. 슬개골의 전면은 다소 볼록하고 거칠며, 후면은 매끄러운 관절면이 있다. 뼈의 상단은 넓어 슬개골 저 base라 하고, 하단은 뽀족해서 슬개골 첨 apex이라 한다.
(3)경골
경골 tibia은 하퇴의 내측을 구성하는 뼈로서 상단, 골체, 하단으로 구분한다.
상단 upper end 은 두껍고 크며, 양쪽으로 볼록 융기된 내측과 medial condyle와 외측과 lateral condyle 가 있다. 이들의 상면은 넓은 관절면을 이루어 대퇴골과 관절하여 슬관절 knee joint을 이룬다. 양 관절면 사이에 상방으로 돌출한 과간융기 intercondylar eminence가 있고 이곳에 십자인대가 부착한다. 외측과의 후하방에 있는 타원형의 비골 관절면 fibular articular suface은 비골의 비골ㄷ와 관절한다.
골체 body는 3연·3면·으로 구성된 삼각주상으로 아래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태이다. 날카로운 전연 anterior border은 피부 위에서도 쉽게 만져지며 충돌 시 쉽게 타박상을 입는 부위이다. 경골체의 전면 상단에는 경골조면 tibial tuberosity 이 융기되어 슬개 인대가 부착한다. 경골의 외측은 골간연 interosseous border으로 비골의 골간연과 더불어 하퇴 골간막이 부착한다.
하단 lower end의 내측에는 복사뼈라 하는 내과 medial malleouls가 뭉퉁하게 돌출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비골하단과 관절하는 비골절흔 fibular notch 이 있다. 또 하단의 하면은 오목한 하관절면 inferior articular suface을 이루어 거골활차와 결합한다.
(4)비골
비골 fibula은 경골의 외측에 위치한 길고 가느다란 뼈이다.
상단 upper end에는 비골두 head가 팽대되어 있고 비골두의 내측에는 비골두와 face of head of fibula가 있어 경골과 관절하지만 대퇴골과는 관절하지 않아 비골은 체중의 부하를 받지 않는다.
골체 body는 매우 가늘고 3연·3면·1능으로 구성된다. 연은 전연·후연·골간연으로 나우어지고, 능은 내측능이 있다. 하단 lower end의 외측에는 외복사뼈라 불리우는 외과 lateral malleolus가 돌출되어 있고 하면에는 관절면이 있어 경골 하면과 함께 거골 활차와 관절한다.
□슬관절의 구조
슬관절은 대퇴골과 경골의 내측 및 외측과 (medial and latera condyle) 사이에 일어지는 과상관절(condyloid joint) 이다. 또한 슬개골(patella)은 대퇴골 슬개면에 관절을 이룬다.
관절의 양측에 측부인대가 있는데 내측부 인대(tibial collateral ligament)는 대퇴골 내측상과 (medial epicondyle)에서 경골 내측과에 연결되어 외측부 인대(fibullar collateral ligament)는 대퇴골 외측상과(lateral epicondyle)에서 비골두(fibula head)에 각각 부착되어 이싿.
경골의 관절면은 관절원판의 일종인 섬유연골의 내측 및 외측 반월이 있다. 내측 반원(medial meniscus)은 반달 모양으로 경골 내측과의 윗면을 덮고 양끝은 과간융기에 부착되어 있다.
슬관절의 관절강 안에는 전십자인대 (anterior cruciate ligament)와 후십자인대(posterior cruciate ligament)가 대퇴골과 경골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전십자 인대는 과간융기의 앞쪽에서 후외방을 가 대퇴골 외측과의 내면에 후십자 인대는 과간융기 뒤쪽에서 전상방으로가 대퇴골 내측과의 내면에 붙는다.
이외에서 경골 내측과 후면엣서 외상방으로 대퇴골 외측 상과에 이르는 사슬와 인대(oblique popliteal ligament)가 관절낭의 후면을 보강하고 있으며 슬개인대 (patellar ligament)는 슬개골 하단과 경골조면(tuberosity of tibia)간에 걸쳐있는 인대로서 대퇴사두근건 (quadriceps tendon)의 연장된 부분이다.
슬관절의 활액막은 후미진곳에 위치한 여러개의 부속물(recesses)들을 싸고 있다. 예를 들면 전하방에 위치한 infra patellar fat pad(슬개골 하 지방 받침)나 전상방에 위치한 quadriceps bursa가 있으며 후방에 있는 semitendinosus bursa(이곳에 관절 활액이 유출하면 Baker's cyst가 된다.)를 들 수 있다. 또한 슬개골을 덮고 있는 prepatellar bursa가 있는데 주부들이 오랫동안 무릎 꿇고 일하면 발생되는 Housemaid;s knee가 이곳에 염증반응으로 나타나는 질병이다.
□근육
Quadriceps
O:대퇴직근: 하전장골극
외측광근:대전자,대퇴골조선
내측광근:전자간선,대퇴골조선
중간관근: 대퇴골체 전면
I:되퇴사두근건이 되어 슬개골의 전면을 지나 슬개인대로 되어 경골 저면에 정지
A:knee extension
엉덩관절에서의 넙다리뼈 굽히기 보조
N:넙다리신경
Hamstring
Semimembranosus 반막양근
O: 좌골결절
I:경골과의 후내측면
A:고관절 신전, 슬관절 굴곡, 슬관절 굴곡상태에서의 내회전
N:좌골신경- 경골신경
Semitendinosus 반건양근
O:좌골결절
I:경골의 전상부
A:고관절 신전, 슬관절 굴곡, 슬관절 굴곡상태에서의 내회전
N:좌골신경- 경골신경
Biceps femoris
O: long head: 좌골결절
short head: 대퇴골조선
I:비골두
A:long head: 고관절 신전/ short head:슬관절굴곡
N:long head: 좌골신경- 경골신경/ short head:좌골신경-비골신경
Tensor fascia latae
O:엉덩뼈능선
I:엉덩정강근막띠
A:걸을 때 펴진 무릎이 쓰러지는 것을 막아줌. 엉덩관절에서 넙다리뼈 벌림, 안쪽돌림, 굽힘과 무릎의 폄 보조
N:위볼기신경
popliteus
O: Lateral condyle of femur 대퇴골외측과
I: Posterior proximal tibial shaft 경골의 후면 근위부
A:Extension된 무릎을 펴기위해서는 경골을 내회전 해야하는데,이때 관절의 굴곡을 시작하게 하는 작용
N:Tibial nerve
주동근
슬관절 굴곡근
hamstring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반막양근
슬관절 신전근
quadriceps
대퇴직근
외측광근
중간광근
내측광근
하퇴의 외회전근
대퇴이두근
하퇴의 내회전근
반건양근
반막양근
슬와근
흔한질환 (http://cafe.daum.net/panicbird/ORJ1/61)
점액낭염
상슬개점액낭,전슬개점액낭,슬개하점액낭,거위발점액낭
점액낭은 슬개하점액낭(천층) 외에는 근육과 뼈사이에 위치함.
점액낭의 역할 : 마찰열을 줄임
검사: 점액낭 부위를 압박해서 통증 확인, 부종확인, ROM 제한 확인
치료: ice pack, 사용제한, 염증제거치료
반월판손상
반월판은 외측 1/3부위까지는 혈관분포함.
손상빈도는 내측반월판>외측반월판
내측반월판은 MCL와 관절낭과 붙어있고,
외측반월판은 LCL와 떨어져 있다.
증상: 삼출, 통증, ROM 제한, 무릎 잠김현상
검사: Joint line촉진 압박, Mcmurray검사
해부학을 알고 있어야 진단이 용이함.
인대손상
인대는 Type Ⅰ 콜라겐 fiber - bone to bone 연결, 조식의 강성은 뼈의 50%에 달함.
무릎 주요 인대는 내측측부인대, 외측측부인대, 전-후십자인대.
반드시 외울것!
①전십자인대는 경골의 전면에 부착해서
대퇴골의 외측 후면에 붙는다.
②영상의학에서 비골두쪽이 lateral이 됨
검사: drawer test, Lachman test로 십자인대 손상을 감별함.
MCL, LCL은 stress test를 통해 인대 손상을 감별함.
골절
연령 및 골절양상에 따라 회복이 6주~20주 까지 다양.
필요 요소 - 콜라겐(GAG),포도당,비타민,미네랄,단백질 등이 blood supply를 통해 공급되어야함으로 적절하게 힘을 줬다 뺐다하는 동작이 매우 중요.
운동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연한가골이 형성되느냐, 강한 가골이 형성되느냐 결정.
슬개골 아탈구
①슬개골은 중심선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데 슬개골 아탈구는 항상 외측으로 나간다.
굴곡시 7~8cm 움직임
대퇴사두근 내측섬유 ☞ 강화 필요 (무릎의 안정화 근육은 대퇴사두근의 안쪽라인)
테이핑을 해서 잡아줌 (슬개골에서 내측인대부위로 연결)
감염성 질환
감염성 관절염은 50%가 무릎에서 발생. 포도상구균 등과 같은 병원균에 감염되어 화농되면 연골, 십자인대 다 녹아버림.
증상: 붓고, 열나는 경우 감염성 질환인지 R/O 필요함.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가장 흔한 무릎질환으로 다양한 원인
그 중 유리체도 원인이 된다.
X-ray 촬영 후 KL Grade로 판단하자.
증상: 통증(체중 부하시 심), ROM 제한 등
KL grade(Kellgren & Lawrence grade) : 엑스레이를 이용해 퇴행성 관절염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grade 0 - normal - 골관절염의 소견이 없음
grade 1 - doubtful - 골극이 의심됨
grade 2 - minimal - 골극이 확실히 보임
grade 3 - moderate - 관절강이 적당히 좁아졌음
grade 4 - severe - 관절강이 매우 좁아졌으며 subchondral bone에 경화가 있음
슬개골 연골연화증
무릎질활에 흔하게 동반됨. 보통은 과부화로 인함, 눌러서 통증 확인.
애매하게 아픈 무릎 전면부의 통증일 때 감별 필요함, 계단 오르내릴 때 통증.
유리체
골극이나 골절 조각, 연골 조각 등이 관절강내로 떨어져 나와 serum 안에서 커지기도 함.
buckling knee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ice pack으로 줄일 수 있다.
Osgood-Schlatter's disease
경골조면 융기부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부하, 부분적인 avulsion, shear force 받을 때 손상이 더 잘 됨
성장기 남성에게 흔함.
무릎꿇고 하는 동작시 통증 나타남.
X-ray로 확인 가능
activity modification
avoid aggravation : shear force 유발시키는 동작 피하기 (구부려 앉지말것, 찟겨져 통증 유발)
# Knee buckling
- 대퇴사두근의 지속적인 약화를 초래하는 관절기원성 근억제는 무릎손상후 재활을 방해하고, 무릎관절염을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근억제가 통증때문에 갑자기 나타나면서 무릎에 힘이 빠지는 것을 knee buckling이라고 한다.
- 관절기원성 근억제는 ice pack으로 방지 가능. 침치료로 대퇴사두근 활성화 유도.
운동을 하면 뭐가 좋아질까?
⓵ Coordination이 좋아져서 Rhythmical하게 움직일 수 있다.
⓶ 점탄성이 좋아진다.(관절?근육?관절강액? 어디의????)
⓷ 부종이 빠진다.
⓸ ROM이 증진된다.
⓹ 회복이 빨라진다. 근력과 근지구력이 회복된다.
⓺ 통증이 그자리에서 줄어든다.
⓻ Neurimuscular efficacy가 호전되고 Inhibited Muscle이 활성화된다.
⓼ 고유수용감각기능이 좋아지고, Sensory motor control이 좋아진다.
⓽ Muscle의 Balance가 좋아진다.
⓾ Reaction 반응시간이 좋아진다.
무릎의 치료만으로는 절반밖에 안된다. 여기에 발목 + 고관절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무릎+발목+고관절의 사슬 운동을 연결 하는 자연스러운 mobility 까지 이어질 수 있는치료가 되어야 한다.
첫댓글 와우 현도 짱 ㅎㅎㅎ
하하 감사합니다...!
현도샘! 강의까지 해줘서 더 감사 감사^^
으ㅎㅎㅎ 아닙니다 ㅋㅋ 잘 들어주셔서 제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