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두질한 가죽 곽(鞹)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성곽 곽(郭)자를 했습니다. 성곽 곽(郭)자는 의부(義符)로 읍 읍(邑,⻏)자에 성부(聲符)로 누릴 향(享)자를 했습니다. 누릴 향(亯)자는 지붕이나 뚜껑을 뜻하는 돼지해 밑 두(亠)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하고 날 일(日)자를 했습니다. 누릴 향(享)자에서 아들 자(子)자가 있는 부분에 날 일(日)자가 있습니다. 누릴 향(享)자는 제물(祭物)을 많이 차려놓은 그림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따라서 누릴 향(亯)자도 제물을 많이 차려놓은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여기서 날 일(日)자냐? 아들 자(子)자냐? 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성곽 곽(郭), 산 이름 곽(崞), 덧널 곽(椁)자들은 누릴 향(享)자가 들어 있어서 ‘곽’으로 읽습니다. 곽혁(鞹革) 청곽(靑鞹) 자곽(紫鞹) 초곽(草鞹) 곽질(鞹質) 호표지곽(虎豹之鞹)
둘레 곽(廓)자는 의부(義符)로 집 엄(广)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성곽 곽(郭)자를 했습니다. 성곽 곽(郭)자는 사람이 많이 모여 사는 곳을 지킬 목적으로 성곽을 쌓아 놓은 모양입니다. 외곽(外廓) 유곽(遊廓) 윤곽(輪廓) 산촌수곽(山村水廓) 확정(廓正) 확연(廓然)
덧널 곽(槨)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성곽 곽(郭)자를 했습니다. 성곽 곽(郭)자는 누릴 향(享)자에 읍 읍(邑,⻏)자를 했습니다. 사람이 꽤 모여 사는 곳이 읍(邑,⻏)입니다. 누릴 향(享)자는 형통할 형(亨)자나 정자 정(亭)자처럼 높은 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전곽(塼槨) 비곽(碑槨) 전곽(磚槨) 석곽(石槨) 외곽(外槨) 목곽(木槨) 목탄곽(木炭槨)
콩잎 곽(藿)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빠를 곽(霍)자를 했습니다. 빠를 곽(霍)자는 비 우(雨)자 아래에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비가 오면 새가 비를 피하려고 더 빨리 날아가는 것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곽암(藿巖) 곽우록(藿憂錄) 곽탕(藿湯) 곽물(藿物) 곽전(藿田) 곽세(藿稅) 곽이(藿耳) 곽약(藿藥) 곽향(藿香)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
첫댓글 가죽곽 획수도 많고 상형자도 복잡하네요.
ㅎㅎㅎ 더 획수가 많은 글자도 많이 있지요...
오랜만에 뵙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