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탈모방지제품 시장동향 | |||||||||||||||||||||||||||||||||||||||||||||||||||||||||||||||||||||||||||||||||||||||||||||||||||||||||||||||||||||||||||||||||||||||||||||||||||||||||||||||
게시일 | 2018-11-16 | 작성자 | 동흔 | ||||||||||||||||||||||||||||||||||||||||||||||||||||||||||||||||||||||||||||||||||||||||||||||||||||||||||||||||||||||||||||||||||||||||||||||||||||||||||||
---|---|---|---|---|---|---|---|---|---|---|---|---|---|---|---|---|---|---|---|---|---|---|---|---|---|---|---|---|---|---|---|---|---|---|---|---|---|---|---|---|---|---|---|---|---|---|---|---|---|---|---|---|---|---|---|---|---|---|---|---|---|---|---|---|---|---|---|---|---|---|---|---|---|---|---|---|---|---|---|---|---|---|---|---|---|---|---|---|---|---|---|---|---|---|---|---|---|---|---|---|---|---|---|---|---|---|---|---|---|---|---|---|---|---|---|---|---|---|---|---|---|---|---|---|---|---|---|---|---|---|---|---|---|---|---|---|---|---|---|---|---|---|---|---|---|---|---|---|---|---|---|---|---|---|---|---|---|---|---|
국가 | 중국 | ||||||||||||||||||||||||||||||||||||||||||||||||||||||||||||||||||||||||||||||||||||||||||||||||||||||||||||||||||||||||||||||||||||||||||||||||||||||||||||||
무역관 | 선양무역관 | ||||||||||||||||||||||||||||||||||||||||||||||||||||||||||||||||||||||||||||||||||||||||||||||||||||||||||||||||||||||||||||||||||||||||||||||||||||||||||||||
HSCODE | 330590 | ||||||||||||||||||||||||||||||||||||||||||||||||||||||||||||||||||||||||||||||||||||||||||||||||||||||||||||||||||||||||||||||||||||||||||||||||||||||||||||||
- 2억 4000만 탈모인 시대, 탈모시장의 지속적 확대 전망 - - 한방 성분을 내세운 고급화 마케팅 전략이 눈에 띄어 -
□ 상품명 및 HS Code
□ 선정사유
ㅇ 2017년 중국의 탈모인구는 약 2억 400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는 중국 전체 인구의 약 17%를 차지하는 수치임. - 중국의사협회가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항저우, 선전 등 5개 도시의 시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남성 4명 중 1명에게 탈모증상이 있다고 함. - 불규칙한 생활, 과도한 스트레스, 출산 후유증, 잦은 염색 등으로 인해 탈모를 겪는 여성들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중국 남녀 탈모환자의 비율 자료원: 중국의사협회
ㅇ 35세 이전에 탈모가 시작된 사람의 비율이 전체 탈모환자의 75.6%에 달함. 탈모 발생 연령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임.
탈모 발병 연령 현황 자료원: 중국의사협회
ㅇ 탈모 환자 중 '가족력의 영향을 받지 않은 환자'는 전체의 44%로, 유전적 요인 외에도 각종 스트레스, 환경오염, 잘못된 식습관, 야근, 잦은 파마와 염색, 잘못된 두피관리법 등 다양한 요인에 인해 탈모 인구가 증가하고 있음.
가족력 유무에 따른 탈모 비율 자료원: 중국의사협회
□ 시장 동향
ㅇ 중국의 탈모방지 제품 시장규모는 약 400억 위안으로 추정되며, 2008년 이후 연평균 20%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호감형 외모를 경쟁력으로 여기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외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탈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
중국 탈모방지제품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원: 康王发业 홍콩두피모발연구소
ㅇ 중국 탈모방지 용품 시장의 잠재력이 매우 큰 것으로 판단됨. -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탈모의 원인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탈모인구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임. - 중국인들의 헤어 케어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관련 시장인 탈모방지용품의 소비 또한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수입 동향
ㅇ 2017년 중국의 탈모방지 제품 수입 규모는 약 1억 5,734만 달러로 전년에 비해 46% 증가함.
중국의 탈모방지 제품 수입 규모 (HS Code 330590 기준) (단위: 천 달러)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ㅇ 중국 탈모방지 제품의 상위 수입국 현황을 살펴보면 일본, 한국, 프랑스, 미국, 태국의 순이며, 특히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전체 수입의 약 48%를 차지하고 있음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330590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경쟁 동향
ㅇ 탈모이거나 현재 탈모가 진행 중인 중국인들은 병원 치료나 상담을 받기보다는 혼자서 해결하려는 성향이 큰 것으로 보임. 자가 치료를 위한 제품인 샴푸, 린스 등 기능성 모발관리 제품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중국의사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전체 탈모환자의 60%가 전문적 치료를 받기보다는 샴푸, 린스 등의 시판 상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9.5%만이 미용실 혹은 병원에서 치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중국 탈모환자의 탈모관리 현황 자료원: 중국의사협회
ㅇ 현재 많은 탈모 방지 제품의 브랜드가 중국 시장에 진출해 있으며, 중국 브랜드로는 빠왕(霸王), 장광101(章光101), 수입 브랜드로는 폴텐, 케라스타즈가 대표적임. - 중국 브랜드는 주로 중저가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전통 한약재(中药材)를 주요 성분으로 하고 있음. - 수입 브랜드는 100위안 이상의 고가제품이 대부분이며 성별, 탈모 진행 정도 등에 따라 제품의 기능이 세분화돼 있음.
ㅇ 한국 제품의 경우 려(吕), 케라시스, 리엔 등의 브랜드가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중국 내 주요 브랜드
*자료원: 天猫商城 등 인터넷쇼핑몰 기준, 선양무역관 작성
□ 유통구조
ㅇ 중국 탈모방지 제품의 주요 판매경로에는 대형마트, 백화점, 전문판매점, 약국, 편의점 등이 있음.
ㅇ 인터넷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온라인 쇼핑몰이 탈모방지 제품의 새로운 유통 플랫폼으로 떠오름. - 인터넷 시장의 급속한 발전은 화장품 소매업의 시장 구조를 완전히 바꿔 놓았으며 오프라인, 특히 백화점 유통에 치명타와 숙제를 동시에 안겨주고 있음.
□ 수입인증과 관세율
ㅇ 탈모 장비제품의 HS코드는 330590이며 한국으로부터 수입 시 3%의 수입관세(2018년 기준)와 16%의 증치세가 부과됨.
ㅇ 중국 내 화장품 판매 및 유통을 위해서는 반드시 위생허가를 보유해야 함. - 중국의 화장품은 크게 비특수용도 화장품과 특수용도 화장품으로 구분되며, 탈모방지제품은 특수용도 화장품으로 분류되는 품목으로 <특수용도화장품 위생허가서>를 취득해야만 중국에서 판매할 수 있음. - 외국 회사는 중국에서 단독으로 위생허가를 취득할 수 없으며 반드시 재중 책임회사를 선임해야 함. 재중 책임회사는 외국 회사의 위생허가 진행과 관련하여 민/형사상의 책임을 지게 됨.
중국 수입 특수용도 화장품 등록절차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시사점
ㅇ 환경오염, 스트레스 등과 같이 현대 사회에 잠재되어 있는 다양한 탈모의 원인에 따라 탈모인구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며 중국 탈모 방지용품 시장 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임. - 최근 들어 20, 30대 연령층 역시 탈모로 고생하고 있으며, 탈모 연령층이 현저하게 낮아지고 있는 추세임. 게다가 외모 관리에 대한 관심 많아지면서 탈모 예방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층이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중국 소비자들은 한방 중약재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높기 때문에 한방 제품의 중국 현지 진출이 유리함. - 려, 댕기머리 등의 브랜드들이 중국 소비자들의 환영을 받고 있으며 이들은 ‘한방제품'이라는 중국에 친근한 이미지를 내세워 중국 시장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음. - 건강한 한방 재료를 주성분으로 내세우며 우수한 품질을 강조하는 고급화 전략을 수립해야 함.
자료원: 중국의사협회, 康王发业 홍콩두피모발연구소, 한국무역협회, KOTRA 선양무역관 자료종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