幸州奇門(행주기문) 만전(晩全) 奇自獻(기자헌)
奇自獻(기자헌):(1562~1624)-(光海君에게 義理를 지킨 政丞)
宣祖(선조)의 죽음과 함께 權力(권력)의 끈이 풀어져 버린 柳永慶(유영경)을, 틈을 주질 않고 腰切(요절)내 버린 光海君(광해군)은, 萬百姓(만백성)들이 우러러 보던 李元翼(이원익)·李德馨(이덕형)等(등) 名臣(명신)들을 차례로 다시 起用(기용)하여, 새로운 政治氣風(정치기풍)을 振作(진작)하려 마음을 썼다.
그러나 곧 光海君(광해군)을 둘러싼 서투른 패거리들의 弄奸(농간)으로 永昌大君(영창대군) 蒸殺(증살), 仁穆大妃(인목대비) 廢庶人(폐서인)等(등) 一連(일연)의 極惡無道(극악무도)한 事態(사태)가 빚어지니, 李元翼(이원익)·李德馨(이덕형)같은 賢人(현인)들은 魔鬼(마귀)들의 놀이터 같은 政治板(정치판)에 견딜 수가 없었다.
이런 板局(판국)에 領議政(영의정)에 오른 人物(인물)은, 柳永慶(유영경)의 永昌大君(영창대군) 擁立(옹립) 陰謀(음모)를 뭉개버리는데 큰 役割(역할)을 했던 奇自獻(기자헌)이었다.
奇自獻(기자헌)은 本貫(본관)이 幸州(행주), 明宗(명종)17年 司諫(사간) 奇應世(기응세)의 아들로 서울에서 태어났는데, 할아버지 奇大恒(기대항)은 오늘날의 서울特別市長格(특별시장격)인 漢城府尹(한성부윤)이었고, 曾祖父(증조부)는 己卯名賢(기묘명현)의 한사람으로 名聲(명성)이 높았던 奇遵(기준), 그의 家門(가문)은 高麗(고려)때 元(원)나라‘奇皇后(기황후)’의 그늘 아래 한때 나라를 쥐고 흔들었다가 恭愍王(공민왕)때 滅門(멸문)의 禍(화)를 當(당)했었다.
그러나 朝鮮朝(조선조)에 들어 世宗(세종)때 傑出(걸출)한 人物(인물)奇虔(기건)이 頭角(두각)을 나타내 家門(가문)을 다시 일으켰다.
淸白吏(청백리)로 大司憲(대사헌)을 거쳐 判中樞府事(판중추부사)에 오른 奇虔(기건)은 곧 奇遵(기준)의 曾祖父(증조부)였다.
奇自憲(기자헌)은 宣祖(선조) 23年(1590) 29歲(29세)나이로 文科(문과)에 及弟(급제), 賜暇讀書(사가독서)에 뽑혀 學文(학문)에 專念(전념)한 뒤 檢閱(검열)이 되고, 이어 將來(장래)가 蜀望(촉망)되는 淸要職을 두루 거쳐 戶曺參判(호조참판)에 올라 國家財政(국가재정)을 管掌(관장)한 뒤, 30代(30대) 後半(후반)의 젊은 나이에 江原道觀察使(강원도관찰사)로 나가 善政(선정)을 베풀었다.
이듬해 內職(내직)으로 들어와 副提學(부제학)을 거쳐 大司憲(대사헌)에 올랐을 때는, 鄭汝立謀叛事件(정여립모반사건)에 휘말려 誣告(무고)하게 목숨을 잃은 晉州(진주)의 선비 崔永慶(최영경)의 허물을 벗겨 주고, 崔永慶(최영경)을 죽음으로 몰아간 前(전) 左議政(좌의정) 鄭澈(정철)等(등)西人(서인)一派(일파)를 失脚(실각시켜 政界(정계)의 注目(주목)을 받았다.
이어 右副賓客(우부빈객)으로 世子(세자)를 訓育(훈육)하는 職位(직위)를 맡아 光海君(광해군)에게 孟子(맹자)를 講議(강의)하였고, 곧 工曺判書(공조판서)에 起用(기용)되어 兵曺(병조)·吏曺(이조)·禮曺(예조)의 判書(판서)를 歷任(역임)한 뒤 두 番(번)째 大司憲(대사헌)이 되었다.
宣祖(선조) 37年(1604)5月 右議政(우의정)에 올라 그해 12月 左議政(좌의정)이 된 奇自憲(기자헌)은, 그 무렵 宣祖(선조)가 世子(세자)光海君(광해군)을 버리고 갓 태어난 永昌大君(영창대군)을 새로 世子(세자)로 삼으려는 慇懃(은근)한 속내를 비추니 이를 極口(극구)反對(반대)하고 나섰다. 宣祖(선조)39年 그는 官職(관직)에서 물러나고자 무려 12次例(12차례)나 辭職上疏(사직상소)를 올린 끝에 判中樞府使(판중추부사)라는 實權(실권)없는 자리에 머물게 되었다.
뒤에 宣祖(선조)가 숨을 모우는 過程(과정)에서 빚어진 柳永慶(유영경)의 永昌大君(영창대군) 擁立(옹립) 陰謀(음모)를 挫折(좌절)시키고 光海君(광해군) 登極(등극)에 크게 힘을 보탠 奇自憲(기자헌)은 左議政(좌의정)에 復職(복직)한 뒤, 光海君(광해군)을 둘러싼 또 다른 側近(측근)들의 專橫(전횡)을 막는데 힘을 쏟았다.
光海君(광해군) 6年(1614) 1月 奇自憲(기자헌)은 53歲(53세) 나이로 領議政(영의정)에 올라 光海君(광해군)이 바른 政治(정치)를 하도록 힘써 輔弼(보필)하는데, 1617年 光海君(공해군)側近(측근)들이 仁穆大妃(인목대비) 廢妃論(폐비론)을 들고 나오자 이를 强度(강도)높게 反對(반대)하였다.
이 일로 謀陷(모함)을 받은 奇自憲(기자헌)은 끝내 멀리 咸鏡道(함경도) 吉州(길주)까지 내 쫓겨 流配生活(유배생활)을 하다가 江陵(강릉)에 隱居(은거)하였다.
1620年 光海君(광해군)이 特別(특별)히 그를 德平府院君(덕평부원군)에 封(봉)하고 領中樞府事(영중추부사)에 任命(임명)하여 朝廷에 나오도록 하였으나, 永昌大君 죽음과 仁穆大妃 廢出에 抗拒하는 뜻으로 끝내(조정)나오질 않았다.
1623年 마침내 金瑠(김류)·李貴(이귀)等(등)이 仁祖反正(인조반정)을 劃策(획책)하고 光海君(광해군) 退出(퇴출)에 함께 參與(참여)하기를 勸(권)하니, 奇自獻(기자헌)은 “臣下(신하)로써 王(왕)을 廢(폐)할 수없다”며 拒絶(거절),받들었던 王(왕)에 對(대)한 義理(의리)를 지켰다.
反正(반정)이 成功(성공)하여 仁祖(인조)가 登極(등극)하던 날 뭇 臣下(신하)들이 모두 새 임금 앞에 머리를 조아렸으나 奇自獻(기자헌)은 꼿꼿이 목에 힘을 주고 고개를 숙이질 않았다.
이런 奇自獻(기자헌)을 새 임금 仁祖(인조)가 嘉尙(가상)하게 여겨 官職(관직)을 내려 새 朝廷(조정)에 나오라 하였으나 決(결)코 나가지 않았다.
이일로 그는 政敵(정적)들로부터 逆謀(역모)의 뜻을 품고있다는 誤解(오해)를 받고 말았다.
反正(반정)이듬해‘李适(이괄)의 亂(란)’이 일어나자 監獄(감옥)에 갇힌 犯法者(범법자)들을 內應(내응)할 憂慮(우려)가 있다하여 모두 끌어내 목을 베어 버리는데, 이때 奇自獻(기자헌)도 疑心(의심)의 눈초리를 避(피)하지 못해 西小門(서소문)밖 自身(자신)의 집에서 自決(자결)하라는 王命(왕명)을 받아 스스로 목숨을 끊고 말았다.
1624年 1月 25日이었으니 그의 나이 63歲(63세)였다. 奇自獻(기자헌)의 아들 俊格(준격)은 兵曺左郞(병조좌랑)이었는데, 一家族(일가족)이 모두 몰죽음을 當(당)할 때 함께 죽으니 나이 31歲(31세)였다.
奇自獻(기자헌)의 아버지 應世(응세)는 일찍이 孝行(효행)이높아 宣祖(선조)때 旌閭(정려)가 세워지고 三綱錄(삼강록)에 冊祿(책록)되었다.
特(특)히 京畿道(경기도)高陽(고양)에 文化財(문화재)로 指定(지정)된 그의 墓碑(묘비)는, 앞面(면)이 明(명)나라 名筆(명필)朱之蕃(주지반)의 글씨였고, 뒷面(면)은 朝鮮(조선)의 名筆(명필) 韓護(한호) 石峰(석봉)의 글씨로 有名(유명)하다.
奇自獻(기자헌)의 墓所(묘소)는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다가 最近(최근)에 京畿道(경기도) 高陽(고양) 幸州奇氏(행주기씨) 墓域(묘역)어느 곳에 묻힌 것으로 斟酌(짐작)은 하나 正確(정확)한 位置(위치)는 確認(확인)되지 않았다.
奇自獻(기자헌)의 生前(생전)業積(업적)은 한참 뒤 左議政(좌의정) 許穆(허목)이 記錄(기록)으로 엮어 남겼고, 最近(최근)에 세워진 墓碑銘(묘비명)은 邊時淵(변시연)이 썼다.
[출처] 歷史와 人物
[출처] 幸州奇門(행주기문) 만전(晩全) 奇自獻(기자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