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옥녀봉(412m).함박봉(403m)왕복.성터봉(355m).매화산(320m)왕복.정토산(370m)/충남 논산
산행일자;2022년 4월7일(목). 날씨;맑음. 산행거리;8.7km. 산행시간;2시간35분.
교통편;안내산악회 (강송산악회 시산제 산행)
비용;35,000(하산후 현지식당 식사제공 비용 포함)
산행코스;말목재(전북 완주군 화산면 운곡리) -교회-우측능선-옥녀봉(△411.7) -범허리재 -삼거리봉-함박봉(403.1)왕복 -삼거리봉-251.4봉 -지내기재-222.2봉 -성터봉(355.0) -매화산(320.3)왕복-성터봉(355.0) -정토산(△370.4) -157.8봉- 안부 우측계곡-도로-왕암원앙공원(충남 논산시 가야곡면 왕암리)
■함박봉( 咸朴峰403)은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암리와 벌곡면 한삼천리에 걸쳐 있는 산. 함박봉 북쪽 능선에는 황령재가 있는데, 이곳에 함박산성 또는 황령산성이라 불리는 토성이 있다. 백제 때 구축한 산성으로 주위가 약 300m에 이른다. 백제군의 중요한 산성이었으며, 삼국시대 말기 신라와 백제 간의 전투가 있었던 곳이기도 하다. 산의 모양이 함지박처럼 생겼다 하여 유래하였다.
함박봉은 북으로 천마산, 천양봉과 남으로는 깃대봉, 국사봉(國司峯)과 이어지는 남북 방향의 산릉의 가운데 위치한다. 기반암은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로 주로 흑운모편마암이며, 이에 편마암, 흑운모편암, 석회규산염암이 약간 협재되어 있다. 이렇게 볼 때, 함박봉의 서부에서 직선으로 남류하다가 연산면 연산리 한림정 부근에서 서류하는 연산천의 유로는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의 기반암과 이를 관입한 심성암류와의 접촉 경계부를 따라서 발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함박봉을 중심으로 주변 지형경관을 보면, 동쪽으로는 산간유로를 따라 지형이 변형되는 비교적 험준한 장년기 지형경관을 보이는 반면, 서쪽으로는 논산시 양촌면 거사리 분지가 발달하여 논산저수지로 이어지면서 평지와 구릉이 어우러진 파랑상의 광활한 지형경관을 나타내고 있다. 함박봉은 거사리 분지의 배후산지로서 서부사면을 통해 다량의 퇴적물을 공급하고, 따라서, 신암리와 신양리 일대 거사리 분지의 완사면 지형은 두꺼운 퇴적층으로 피복되어 있다. 완사면의 상부에서는 하천의 두부침식에 의한 곡지가 깊숙이 확대되는 반면, 말단부로 오면서 점차 개석곡지가 확장되면서 도처에 70~80m 되는 봉고동일형의 도상구릉이 산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함박봉은 논산시 시가지로부터 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연산면과 벌곡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산의 서쪽의 거사리 분지에는 신암리를 비롯한 크고 작은 마을들이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 밭농사가 행해지고 있다. 함박봉의 북쪽 능선 황령재를 통해 기타 도로가 연산면과 벌곡면을 이어주고 있으며, 서쪽에는 지방도 697호선이 남북 방향으로 지나가고 있다.
■ 매화산(320m)은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양지리에 소재한 산이다. 매화산에는 매화산성이 있다.
■매화산성은 백제시대 산성으로 매화산성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마야산고성(摩耶山古城)으로 나온다. 성의 둘레는 5,710척이고, 성 안에는 우물이 2개소 있으며, 조선 전기에는 이미 폐성(廢城)된 것으로 보인다논산에서 국도 1호선을 타고 약 8㎞ 정도 남쪽으로 내려가면 육군훈련소로 유명한 연무읍(鍊武邑)에 이른다. 여기서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 방면으로 통하는 소로를 타고 동남쪽으로 약 4㎞ 정도 가면 양지리 당산말에 닿게 된다. 매화산성은 당산말의 동쪽에 있는 해발 355m의 매화산 정상부에서 중턱에 걸쳐 위치한다. 양지리 남쪽에 이웃해 있는 소룡리의 차독배기에서 능선을 타고 올라가도 매화산성의 남벽에 닿게 된다.매화산성은 북쪽에 있는 해발 370m의 정토산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린 능선과 거기서 서쪽으로 갈라져나간 두 개의 가지능선을 에워싸면서 축조된 삼태기식, 즉 사모봉형(紗帽峰形) 산성이다. 북벽과 동벽은 능선의 정상부를 지나는 반면에 서벽은 경사면의 중턱을 지나면서 두 가지능선 사이의 계곡부를 지난다. 북쪽과 동쪽이 높고 서남쪽이 낮은 지형이다.
산성은 자연지형을 적절히 활용하면서 축조되었기 때문에 능선의 정상부를 지나는 북벽과 동벽은 물론이고, 산의 중턱을 지나는 서벽쪽도 접근이 쉽지 않다. 다만, 성벽은 이미 완전히 붕괴되어 통과선만을 겨우 알 수 있는 정도이며, 축성법을 확인할 수 있는 구간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성벽은 남아 있는 구간에서 보면 자연할석을 이용하여 축성한 것도 있으나 장방형으로 다듬은 성돌을 이용하여 바른층쌓기 방식으로 축성한 것도 있다.
성과 관련된 부대시설로는 성문과 건물지가 있다. 성문은 동벽과 서벽에 각각 1개소가 확인되었으며, 계곡부를 지나는 서남쪽 구간에도 수구(水口)를 겸한 성문이 더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동문지는 산성에서는 좀처럼 보기 어려운 어긋문 형태로 되어 있어 주목된다. 건물지는 성 안 곳곳에 남아 있다. 그 가운데 왕궁지로 전해오는 건물지는 실제로 면적도 가장 넓고 성 안에서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것으로 보아 가장 중요한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의 규모에 비해 관련된 유물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지표 조사만으로는 경질 토기편 몇 점을 수습할 수 있는 정도였다. 매화산성은 전라북도 운주에서 논산과 부여로 통하는 길목에 위치한다. 또한 백제 5방성 가운데 하나인 동방성(東方城)이 자리했던 은진면(恩津面) 가까이에 자리한다. 이곳과 가까운 곳에는 은화관식(銀花冠飾)이 출토된 육곡리(六谷里) 고분군도 있다. 산성의 둘레도『한원(翰苑)』에서 말하는 백제 동방성의 둘레와 거의 비슷하다. 매화산성은 이러한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해볼 때 백제의 동방성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방성(方城)의 성격을 감안해볼 때 신라를 방비하기 위해 축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빠른 시일 내에 정밀 조사가 이루어져 지금까지의 추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고고학적 자료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정토산 (淨土山370m)은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왕암리, 연무읍 양지리에 소재한 산이다. 정토산에는 정토사라는 절이 있으며, 이를 따 정토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정토산은 증토산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건설부 산하 국립지리원에서 1987년 발행된 「지형도(1:50,000)」에는 증토산으로 표기되어 있었으나, 국토지리정보원에서 2007년 발행한 「지형도(1:50,000)」와 각종 도로지도 등에서 정토산으로 표기하고 있다. 정토산의 기반암은 고생대 오도비스기에서 캄브리아기 사이에 형성된 옥천층군문주리층에 해당하며, 주로 흑운모편암과 견운모편암으로 이루어진 산이다. 정토산은 능선의 끝에 해당하며 남쪽으로 매화산, 함박봉, 옥녀봉으로 능선이 이어지고 있다. 논산시의 지형은 대체로 동고서저의 지형인데, 정토산은 동쪽 높은 산지의 시작에 해당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산의 북쪽은 평지와 구릉지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에는 곡저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정토산은 논산시 시가지로부터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가야곡면 소재지로부터 남쪽에 위치해 있다. 산의 주변은 평지나 구릉지로 둘러싸여 있어서 논, 밭, 과수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야곡면 삼전리, 왕암리, 연무읍 양지리 등이 자리 잡고 있다. 정토산의 동쪽에는 왕암저수지가 있으며, 저수지가 형성되어 있는 골짜기를 따라 남북으로 지방도 643호선이 달리고 있다. 북쪽에는 국가지원지방도 68호선과 호남고속도로가 북동-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다.
2022년 4월2일(목)(06;23) 가양역에서 9호선 급행으로 (07;01) 석촌역에 도착합니다. 석촌역에서 시간 보내다가 (07;10) 5번출구로 나와 잠시 기다려 (07;15)강송산악회버스에 탑승합니다. 강송산악회 28주년 시산제 날이 되다보니 모처럼 만차 가깝게 성원됩니다. 중간 탄천 휴게소에서 약 10분 간 (09;35~09;45) 휴게 시간 갖고 (10;00)산행날머리인 왕암원앙공원(충남 논산시 가야곡면 왕암리)에 도착 제물 차리고 홍기설 회장님 축문 낭독을 시작으로 한해동안 무사산행를 기원하는 강송산악회 제28주년 시산제를 약20분(10;00~10;20) 진행합니다. 시산제 후 간단한 음복 후 산행들머리인 말목재(전북 완주군 화산면 운곡리) 로 이동 (10;28) 바로 산행 시작합니다.
0km 0분[말목재](10;28)
도로교통표지판(운곡로605-1)과 군경계표시 조형물(안녕히 가십시요/완주군) 서있는 야트막한 말목재다. 마을길 따라 들어가 (10;29) 석천교회 마당에서 우측으로 들어 우측에 있는 능선에 오른다. 초입능선길은 잡목의 저항이 있어 거칠지만 이내 확실한 등로가 연결된다. (10;33) 능선에서 잠시 조망 즐기고 다시 꾸준한 오름길 올라 (10;45) 조망을 즐긴다.
(10;55)옥녀봉인가 하고 오르니 도움이 안되는 이정표(상전리방향1.08km)서있는 공터봉에서 아무런 표시없는 직진 내림 능선길을 내려선후 급경사 오름길을 극복하여 오르니 옥녀봉이다.[1.2km][34분]
1.2km 34분[옥녀봉](11;02)
금강기맥 종주자들의 표지기와 옥녀봉 정상표지판이 걸려 있고 삼각점(논산465/1980 재설)이 있다. 표지기걸고 셀카 인증하고 내림길 내려선다. 좌측 멀리로 성태봉과 함박봉으로 이어지는 금강기맥 마루금이 조망 된다. 잘 관리된 "연안이씨" 묘역를 지나면서 한바탕 잡목들의 저항을 온몸으로 부딪치며 내려선다. (11;10)밤허리재 4거리다. 범허리재는 ㅓ자 안부이며 63번 송전 철탑이 서있다. 금남기맥 옥녀봉과 함박봉 사이 고개다. 완만하게 고도를 높이다가 등고선상 350m 정도의 y자능선에 이른 금남기맥 논산단맥 분기점이다. 함박봉을 찍고 다시Back 할 지점이기에 표지기 한장 걸어둔다. 논산시 연무읍, 가야곡면, 완주군 화산면의 삼경지점이다. 금남기맥 따라 함박산을 왕복한다. 금남기맥은 좌측 서쪽으로 오르고 정토분맥(정토봉 매화산 성터산)은 우측 북동쪽으로 연무읍과 가야곡면의 경계를 따라 내려간다.
길은 그런대로 성긴길이 이어진다. (11;16)군부대 경고판이 나타난다. 우측으로 낡은 철조망이 등로 따르고 이내 함박봉 정상이다.[1.6km][20분]
2.8km 54분 [함박봉](403m) (11;22~11;23)[1분]
군부대 경고판과 벤치가 하나 놓인 함박봉 정상이다. 많은 선답자님들의 표지기와 함께 산뜻한 정상표지판도 부착이 되어있다. 능선상으로는 작은 경고판이 부착된 철조망이 한동안 계속해서 따라오고 말라 죽어 부러진 소나무들이 어지럽게 널린 능선길도 잠시 지나면 함박봉 정상에서 10 여분만에, (11;33)옥녀봉.함박봉,정토산 갈림 능선이 분기해 나가는 분기봉으로 되올라와 좌측 능선을 따라 내려서며 매화산, 정토산으로 향한다. 한차례 내려서면 군부대서 설치한듯한 화살표지판과 이어서 또하나의 대형 경고판이 나오더니 (11;35)능선상에 넓게 자리잡은 "파평윤씨" 가족묘역 상단부 전면이 탁트이며 능선상에 넓게 자리잡은 "파평윤씨" 가족묘역 상단부를 지난다. 잠시 더 진행하노라니 지도상의 지내기재인 잘록이 사거리다. 지내기재 삽자안부에서 살짝 오른뒤 한동안 완만한 능선길에 이어 한차례 고도를 높이면 울창한 소나무숲 능선길로 이어진다. 잠시 우측으로 꺾여 오르노라니 능선 우측 가파른 사면으로 성터흔적인 돌축대가 일부 보이는데, 문헌에 의하면 이곳 매화산 주변에 백제시대때 신라의 침공에 대비해 쌓았다는 산성인 매화산성터 인듯 하다. 몇발짝 더오르니 (13;06)어떻게 생성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꽤나 깊어보이는 수직굴 한곳을 지나고, 잠시 더 오르니 (12;08)국립지리원 지도상 매화산, 오록스 맵상 성터봉 정상이다.[3.2km][47분]
6.0km 102분 [성터봉](355m)(12;10)
국립지리원 지도상 매화산, 오록스 맵상 성터봉 정상이다. 정상아래는 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다.이곳에서 좌측으로 내리막길 내려서 오록스맵상의 매화산 정상을 왕복한다. 하산길 같은 길을 내려 조금 오르니 오록스맵상 매화산 정상이다.[0.3km][4분]
6.3km 106분 [매화산](320m)(12;14)
표지기 달고 인증샷을 한뒤 Back 국립지리원 지도상 매화산, 오록스 맵상 성터봉으로 돌아온다.[0.3km][6분]
6.6km 112분[성터봉](355m)(12;20)
좌측으로 높은 정토산을 바라보며 바로 아래 운동기구들이 있는 곳으로 내려간다. 안부를 지나 잠시나마 바위지대도 지나고 봉분이 훼손된 전주최씨 묘역도 지나 울창한 소나무 능선길을 한차례 더 치고 오르니 펑퍼짐해서 도대체 어디가 정상인지 가늠이 안되는 능선을 따르다가 삼각점이 설치되어있는 별 특징없는 정토산(370.4m)정상에 선다.[0.5km][10분]
7.1km 122분 [정토산](370m)(12;30~12;32)[2분]
삼각점( 논산24 /1984복구)과 삼각점 안내판에 높이371m로 되어있다. 표지기 달고 인증 사진 남기고 직진으로 가파른 능선을 따라 내려서며 본격적인 하산길로 접어든다. 직진으로 내려가다가 살짝 오른 둔덕에서 Y자능선이다. 군부대 경고판이 있다. 좋은 길 따라 우측 능선으로 내려가다보니 우측으로 왕암저수지가 내려다보이고 좌측으로는 능선길이 좋다.
우측아래 묘지로 내려서는 것이 편하지만 아침에 보아두었던 능선 안부에서 우측 계곡으로 하산 도로따라 좌측으로 이동 왕암공원에서 산행종료 한다.[1.6km][33분]
8.7km 155분 [왕암원앙공원](13;05)
(13;05)왕암원앙공원에서 대기하고 있는 산악회 버스에서 산행 종료 합니다. 아침에 시산제 지낸 곳입니다. 저수지둑 옆에 조성된 왕암원앙공원에는 사각정자와 팔각정자 쉼터 그리고 간이화장실과 음수대 시설까지 되어 있습니다. (13;05~13;30/약25분)기다리는 차안에서 베낭 대충 정리하고 옷보따리 꺼내 조금 떨어져 있는 8각정자에서 수건에 물 묻혀 머리부터 몸통 닦아 내고 새옷 갈아입습니다.
(13;30~14;00/30분)시산제 지낸 머리고기와 산악회에서 준비해 온 미나리 홍어회 안주로 산우님들과 막걸리 건배 이어 갑니다. (14;00)대충 후미들 도착되고 다른 산 갔다 온 한분도 도착되어 몇번 들린 가나다 식당 뷔페로 자리 옮겨 (14;10~15;00/50분) 강송산악회 제공 식사와 술 건배 식사 합니다.
(15;00)식사 끝난 가나다 식당 주차장을 출발 (15;40) 신탄진 휴게소에서 약10분간(15:40~15;50) 휴게 시간 갖고 (18;10) 석촌역 도착 (18;16) 석촌역을 출발하는 9호선 급행으로 (18;54) 가양역 도착 (17;05) 귀가 합니다.
10;00~10;20[약20분] 강송산악회 28준년 시산제 모습입니다. 연장이신 심용보님 배례하고 제주 홍기설 회장님 축문입니다.
10;00~10;20[20분] 시산제 제주 홍기설 회장님의 초헌입니다. 홍기설 회장님 1,000,000원 포함 37명의 대원님들의 시산제 축의금이 5,150,000이나 모였답니다. 강송산악회 무궁한 발전을 기원하는 대원 들의 마음입니다.그리고 2022.4.8 현재 잔액이 6,347,000으로 공지 됩니다.
10;28 말목재 도로교통이정표(운곡로605-1) 입니다.
10;28 군경계 표시 조형물(안녕히 가십시요/완주군) 입니다.
10;28 마을길로 들어섭니다.
10;29 석천교회 앞마당길을 통해 우측능선에 오릅니다.
10;33 능선에서 조망
10;45 능선에서 조망입니다.
10;55 옥녀봉인가 하고 오르니 도움이 안되는 이정표(상전리방향1.08km)서있는 공터봉에서 아무런 표시없는 직진 내림 능선길입니다.
11;00 조망입니다.
11;02 옥녀봉 정상 표지판입니다.
11;02 옥녀봉 정상 삼각점(논산465/1980 재설) 입니다.
11;02 옥녀봉 정상 삼각점 설명판입니다.
11;02 옥녀봉 셀카 인증사진입니다.
(11;10)밤허리재 4거리ㅓ자안부 63번 송전 철탑입니다.
(11;16)군부대 경고판입니다.
(11;22~11;23)[1분] 함박봉 정상은 많은 선답자님들의 표지기와 함께 산뜻한 정상표지판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11;22~11;23)[1분] 함박봉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1;35)능선상에 넓게 자리잡은 "파평윤씨" 가족묘역 상단부를 지납니다.
(11;35)능선상에 넓게 자리잡은 "파평윤씨" 가족묘역 상단부 전면이 탁트입니다
(11;45)지도상의 지내기재인 잘록이 사거리를 지나 오릅니다.
(13;06)어떻게 생성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꽤나 깊어보이는 수직굴 입니다.
12;14 매화산 정상입니다.
12;14 매화산 정상 조망입니다.
12;20 성터봉 (국립지리원 지도상 매화산)정상으로 돌아 옵니다.
12;27 능선상 케년입니다.
(12;30~12;32)[2분][정토산](370m) 정상 삼각점( 논산24 /1984복구) 입니다.
12;30~12;32[2분][정토산](370m)정상 삼각점 설명판입니다.
(12;30~12;32)[2분][정토산](370m) 선답자님들의 표지기입니다.
(12;30~12;32)[2분][정토산](370m) 선답자님들의 표지기 162지맥을 완주하고 분맥을 진행중인 분들 입니다.
(12;30~12;32)[2분][정토산](370m)정상에서 조망입니다.
(12;30~12;32)[2분][정토산](370m)정상에서 조망2입니다.
12;27 육산에서 처음으로 만난 바위입니다.
12;40 조망1
12;40 조망2
12;51 맷돼지 덫 설치 울타리 가림막입니다
13;04 왕암원앙공원에 산악회버스가 대기중입니다.
13;04 왕암원앙공원 모습입니다. 산행종료 합니다.
산행지도
오록스맵 트랙지도
산행기록표
e-동아 트랙지도
산행기록표
실트랙입니다.
첫댓글 수고하셨습니다 ♡
비슬님
감사합니다 ~^^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불금되세요😄😄
찡이삼촌님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감사합니다 ^^
울 동네 왔다 가셨네요~ 수고하셨습니다.
달무리님
좋은 동네사십니다.
산하가 아름다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다녀오신 함박봉과 설명하신 함박봉은 다른곳 입니다.
그린비1님
지적 감사합니다.
같은 벌곡면의 산이라
금남정맥의 함박봉(404m)의설명이라생각하면서도 높이가 금강기맥의 함박봉과 같게 나와 금강기맥 함박봉의설명으로 윈용한 잘못을 범했습니다.
전국의 함박산.함박봉은 많기도 하더이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