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혈관 질환 (한화, 그린)
i60 거미막하 출혈
i61 뇌내 출혈
i62 기타 비외상성 두개뇌 출혈
i63 뇌경색(증)
i64 출혈 또는 경객으로 명시되지 않은 졸증
i65 대 뇌경객(증)을 유발하지 않는 뇌전 동맥의 폐색 및 협착
i66 대 뇌경색(증)을 유발하지 않는 대 뇌동맥의 폐색 및 협착
i67 가타 대 뇌혈관 질환
i68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대 내혈관 장애
i69 대 내혈관 질환의 휴유증
뇌졸중[뇌경색+뇌출혈](i60 ~ i63, i65 ~ i66) : 동부, LIG, 메리츠, 현대 등
뇌줄혈(i60 ~ i62) : 삼성화재[유일하게 보장이 낮은 상품입니다], 생명 사
뇌경색(i63, i65 ~ i66)
뇌경색(뇌혈전증)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에 의하여 뇌동맥이나 경동맥에 동맥경화증이 초래되어 동맥의 벽이 두꺼워지거나 딱딱해지게 된다.
그 결과로 혈관은 좁아지며 혈관의 내벽이 상처 받기 쉬워지고 매끄럽지 못해 피가 엉겨
붙으면서 결국 막히게 되어 혈액의 공급이 현저히 줄거나 혹은 중단된다.
혈액의 공급이 중단되거나 현저히 줄어들면 뇌세포로 가는 산소 및 영양공급이 부족해져 뇌기능장애가 초래되는 것으로 이는 마치 수도관이 오래되면 관 내부에 녹이 슬거나 찌꺼기가 많이 엉겨 붙는 것에 비유될 수 있을 것이다.
뇌경색(뇌색전증)은 심장판막증 또는 심방세동 등의 질환에 의하여 심장 내의 피의 흐름에 이상이 생겨 혈액의 일부가 심장 내에 부분적으로 정체해 있게 되고 따라서 응고되어 피 찌꺼기가 생기게 되며, 이것이 떨어져나가 뇌혈관을 막게 되어 뇌경색이 발생하게 된다.
경화로 인한 협착이나 폐색으로, 심근경색의 대부분에서 볼 수 있다.
심근경색증 중에 급뇌출혈의 경우에는 고혈압으로 인해 뇌혈관 내의 압력도 높아지기
때문에 작은 혈관의 벽이 견디지 못하고 터지는 원발성 뇌출혈과, 혈관 벽의 일부가 약해서 그 약한 부분 벽이 늘어나 꽈리 모양으로 불거져 나온 상태인 뇌동맥류가 어떤 계기에 의해 터져서 발생하는 지주막하 출혈, 뇌동정맥 기형이 선천적으로 존재해 동맥의 높은 압력이 정맥으로 직접 전달되어 발생하는 뇌출혈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이외에 혈액응고의 장애로 출혈 소인을 가진 경우나 모야모야병이라는 선천성 질환시에도 발생하게 된다.
뇌출혈은 겨울철 기온 차가 심할 때나 심한 운동이나 배변 또는 싸우거나 화를 낼 때 많이 발생하게 된다.
* 허열성 심장질환 (한화, 그린)
i20 협심증
i21 급성 심근 경색증
i22 속발성 심근 경색증
i23 속발성에 심근 경색증에 의한 특정 현제 합병증
i24 기타 급성 허열성 심장질환
i25 만성 허열성 심장질환
급성 심근경색증(I21 ~ I23) : 삼성, 현대, 동부, 메리츠, LIG, 생명 사
급성심근경색: 심장이 굳어지는 것
심근경색증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을 날라다주는 관상동맥의 일부가 막혀, 혈류가 중단됨으로써 그 부분의 심장의 벽, 즉 심근이 썩는 병이다.
원인으로 제일 중요한 것은 관상동맥의 성심근경색은 급격히 심장의 일부가 썩는 것을
말하며 30% 이상의 환자가 사망하는 대단히 중증인 병이다.
M-ICU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환자이며 입원기간도 짧은 편이지만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환자에게 다시 회복하기 힘든 손상이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집중적인 간호가 필요한 환자이기 때문에 공부를 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했다.
간경화: 간염-간경화-간암
간경화(간경변)는 간의 염증이 오래 지속된 결과 간의 표면이 우둘 우둘 해지는 것을 말합니다. 간경변증은 있으나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고 임상적으로 괜찮은 전자(前者)와 같은 상태를 대상성(代償性) 간경변증이라 하고, 각종 합병증을 동반하는 후자(後者)와 같은 진행된 상태의 간경변증을 비대상성(非代償性) 간경변증이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