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영국에서 비틀스가 등장하여 한 창녀에 의해 내각이 휘청거린 이른바 프로퓨모 스캔들마저 싹 가라앉을 만큼 열풍을 몰고있던 그 시점, 국내에도 그에 버금가는 가수가 출현했다. 그의 이름은 이미자였다. 이미자의 판 '동백아가씨'는 당시로는 경이적인 10만장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지금으로 따진다면 200만장도 훨씬 넘어서는 폭발적 규모였다. KBS 라디오 '트로트 가요쇼'가 외부에 의뢰한 조사에서 이미자는 '한국을 대표하는 트로트 여가수'로 꼽혔다(남자는 나훈아).
비틀스가 20세기 서구대중음악 산업의 폭발을 가져온 존재라면 국내에서는 이미자가 음악산업화의 계기를 마련해준 인물이었다. 이미자는 나중 70년대 초반 치열한 라이벌전을 전개한 남진과 나훈아와 함께 텔레비전시대를 개척했으며 20세기의 국내 대중음악의 주류가 다른 무엇도 아닌 트로트였음을 입증해주었다.
일제시대인 1930년대 후반 트로트가 정립되었지만 그러나 전체 음악문화에선 여전히 민요와 판소리, 창극이 우세했다. 임방울의 음반은 어떤 트로트 앨범보다도 많이 팔려나갔으며 심지어 70년대까지도 국악은 TV에서 맹위를 떨치고 있었다. 그러나 트로트의 스타시스템과 음악산업에 의해 차츰 시장에서 힘을 잃었으며 남진 나훈아 라이벌시대에 이르러선 트로트에 완전 밀려났다.
트로트 입장에서 그렇다고 항상 독재 독주의 상태에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전통국악 외에도 미군정기에는 미국음악의 등장으로 시장과 정서의 분할이 이루어졌다. 미국의 선진문화를 선망하는 식자층은 보다 세련된 스윙재즈나 스탠더드 음악을 듣기 시작했다. 최희준, 패티김이 이 분야에서 활약했다.
다시 70년대 초반에는 청춘문화를 대변한 포크가 나와 젊은 수요자들은 서유석, 은희, 양희은, 트윈 폴리오 등의 음반으로 몰려갔다. 음악에 있어 세대차이가 처음 야기된 것도 이 때였다. 록음악도 시조 신중현에 의해 70년대부터 나름대로 지분을 차지하면서 그 기세는 산울림 그리고 대학가 캠퍼스 록밴드들로 이어졌다.
하지만 트로트는 언제나 우위를 지켰다. '국민음악' '국민가수'란 위치는 늘 트로트의 것이었다. 트로트의 위상은 조용필로 다시금 확실해졌다. 돌이켜보면 록음악을 했던 조용필이 1976년 트로트 곡 '돌아와요 부산항에'로 데뷔한 것은 20세기 한국음악계의 사건이라 할 만했다.
사실 조용필은 그다지 트로트를 많이 부르진 않았다. 이후 '일편단심 민들레야' '허공' 등 몇 곡에 불과하다. 그러나 무수한 히트곡을 남긴 조용필이지만 사람들은 그 하면 트로트 곡을 먼저 떠올린다.
지난해 11월 '월간조선'이 현역 작사가 작곡가 100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세기 한국 최고의 노래'로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선정되었다(2위 역시 트로트인 김정구의 '눈물 젖은 두만강'이 차지했으며 양희은의 포크 '아침이슬'과 서태지의 랩 '난 알아요'가 3·4위에 올랐다). 조용필은 이미자를 누르고 '20세기 한국 최고의 가수'의 영예도 차지했다. 사람들은 이처럼 조용필을 가리켜 댄스 발라드 록 그리고 트로트를 아우른, 그리하여 전 세대 음악수요자를 포괄한 '우리 시대의 가왕(歌王)'으로 일컫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이는 무엇을 말하는가. 그가 기염을 토하던 80년대에 딱히 성인음악이라고 규정할 것은 트로트밖에 없었다. 조용필은 다시 말해 성인음악으로 등식화된 트로트를 불러 노소(老小)를 불문한 진정한 국민가수로 비상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가 만약 트로트를 소화하지 않았더라면 아마도 최고의 위상은 흔들렸을지도 모른다.
트로트의 해묵은 뿌리논쟁을 할 생각은 조금도 없다. 다만 그 원류의 문제를 떠나 현재 위축의 늪에 빠진 트로트가 빨리 성인음악의 회복이란 의미에서 기세를 되찾아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하는 것이다.
누가 뭐래도 가요사에서 트로트는 수십년간 장르 그것도 주도적 장르로서 존재해왔다. 성인음악은 말할 것도 없고 일례로 영턱스의 '정'이 입증하듯 신세대 음악에도 큰 지분을 행사해왔다. 바로 이 점들을 감안해 이젠 발생 논쟁을 넘어 트로트에 존위(尊位)를 부여해주는 것이 필요하고 또 현명하다고 본다.
지금 요구되는 것은 원류논쟁이 아니라 위기에 처한 트로트의 새로운 발전이다. 90년대 서태지와 김건모의 랩과 흑인음악의 융기로 휘청거리면서 트로트 분야는 낙후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음반판매가 저조하다보니 어떤 음반사나 제작자도 선뜻 덤벼들지 않는다. 그들은 지금 10대 층으로 제한된 수요층을 맞춰가는 데 급급하다.
투자의 절대 부족 현실에서 음반의 질이 개선될 리 없다. 그 곡조가 그 곡조고 그 반주가 그 반주고 그 가사가 그 가사다. 이것은 스튜디오에서 이미 트로트가 젊은이들의 음악에 뒤쳐지고 있다는 말이다. 우선 사운드에서 게임이 되지 않는다. 얼마 전 한 트로트 인기가수는 "우리도 젊은 가수처럼 좋은 스튜디오에서 최신 기술과 과학적인 디렉팅으로 음반을 녹음하면 소비자반응은 둘째로 치고 느낌부터 달라질 것"이라고 푸념을 털어놓은 바 있다.
변화와 혁신이 없을 경우 요즘처럼 자기주장이 강한 신세대들이 어느 날 갑자기 전향하여 트로트에 귀를 맡길 턱이 없다. 노래방에서 간혹 트로트를 열창하는 젊은이가 눈에 띄지만 결코 많은 숫자도 아니며 그들이 반드시 트로트 음반을 구매하는 것도 아니다. 젊은이들은 포크도 안 듣지만 트로트도 듣지 않는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생각해야 할 시점이다.
여기서 현재 성인구매자의 성격을 따져보자. 어느덧 386세대가 기성세대로 대접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 보다 더 위 세대도 음악적으로는 포크의 세례를 받은 사람들이며 대체로 그런 사람들이 사회지도층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이 기꺼이 '용인'하는 음악으로는 포크 말고 '스탠더드 팝'이 있다.
발라드 형식인 이것과 트로트가 결합할 경우 시장에서 폭발력을 발휘하기도 한다. 김수희의 '애모', 김국환의 '타타타' 그리고 심수봉의 '백만송이 장미'등이 거기 해당될 것이다. 요즘 유행하는 말로 하자면 하나의 크로스오버인 셈이다. 트로트진영이 '변화하는 기성세대'를 전제하여 한 번 심각하게 논의해볼 만한 사안이다.
물론 반론을 펴는 사람들은 트로트의 정통 스타일을 지키는 것이 최선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부분적으로 일리가 있지만 트로트는 언제나 그 시대 서민의 애환과 한이라는 우리 고유의 정서토대 위에서 존재해왔다. 서민은 50년대에도 있고 90년대에도 있고 뉴 밀레니엄에도 있다. 하지만 서민정서는 세월에 따라 패턴을 달리한다. 수요자 성격의 분석은 음반 제작기획의 기본이다.
무엇보다 트로트가 어서 위력을 회복되기를 바란다. 음악 스타일의 다양성을 위해서라도, 세대의 균형을 위해서도 트로트에 힘이 실려야 한다. 새로운 천년을 맞아 개선과 활기를 향한 트로트음악과 그 종사자들의 분발을 기다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