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잡기도 힘들고 기르기도 힘든 종
2. 개체수는 많으나 일부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종
3. 분포지역은 넓지만 출현빈도가 낮은 경우
이중에 하나라도 해당이 있는 종은 아래의 목록에 올렸다.
단, 우리가 만나보기 어려운 민물고기와 이미 법적인 보호를 받는
종은 이 목록에서 제외했다.
아래의 종들이 이 내용에 해당한다.
돌상어, 잉어과 Gobiobotia brevibarba (MORI, 1935)
한강, 임진강, 금강에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꾸구리, 잉어과 Gobiobotia macrocephala (MORI, 1935)
한강, 임진강, 금강에 제한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칠성장어, 칠성장어과 Lampetra japonica (von Martens)
주로 동부의 각 하천에 분포하고, 서부와 남부의 하천에서는 산출량이 적다.
북한,중국,일본,사할린 등지에도 분포한다.
가는돌고기, 잉어과 Pseudopungtungia tenuicorpa (JEON and CHOI, 1980)
한국고유종으로 한강과 임진강 중상류의 지류에 분포한다.
점몰개, 잉어과 Squalidus multimaculatus (HOSOYA and JEON, 1984)
한국고유종으로 동해 남부연안에 유입되는 형산강, 영덕오십천, 죽산천,
송천천과 경남 울주군의 회야강까지 분포한다.
배가사리, 잉어과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MORI, 1935)
한강, 임진강, 금강 및 대동강에 분포하는 한국고유종이다.
됭경모치, 잉어과 Microphysogobio jeoni (KIM and YANG, 1999)
낙동강, 금강 및 한강 등에서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여울마자, 잉어과 Microphysogobio rapidus (CHAE and YANG, 1999)
한국고유종으로 낙동강의 문경, 예천, 안동, 밀양에서 돌마자와 동서한다.
임실납자루, 잉어과 Acheilognathus somjinensis (KIM and KIM, 1991)
한국고유종으로 섬진강 수계의 전북 임실군 관촌면과 신평면의 수역에서만
서식이 확인되었다.
버들가지, 잉어과 Rhychnocypris semotilus (JORDAN and STARKS, 1905)
한국고유종으로 남부 지방에는 강원도 고성군 송현천, 고성 남강,
북부 지방에서는 금강산의 적벽강 상류 안변천에 서식한다. 한국 고유종이다.
동방종개, 미꾸리과 Iksookimia yongdokensis (KIM and PARK, 1997)
한국고유종으로 동해로 유입되는 형산강, 영덕 오십천, 축산천 및
송천천에 분포한다.
얼룩새코미꾸리, 미꾸리과 Koreocobitis naktongensis (Kim, Park and Nalbant,
2000)
한국고유종으로 우리 나라의 낙동강 수계에서만 드믈게 분포한다.
금강모치, 잉어과 Rhynchocypris kumgangensis (KIM, 1980)
한국고유종으로 한강의 최상류와 금강의 무주구천동 계곡에서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대동강과 압록강에서도 분포한다.
연준모치, 잉어과 Phoxinus phoxinus (Linneus)
강원도의 평창군, 정선군, 태백시 삼척군을 흐르는 일부하천에 분포한다.
북한 중국 러시아 유럽 대륙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가시고기, 큰가시고기과 Pungitius sinensis sinensis (Guichenot)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일부 및 제천의 의림지에 분포한다. 북한 중국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잔가시고기, 큰가시고기과 Pungitius sinensis kaiborga (Tanaka)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일부에 분포한다. 북한에도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절멸된 것으로 알려졌다.
둑중개, 둑중개과 Cottus poecilopterus (Haekel)
압록강, 청천강, 두만강, 한강, 금강, 만경강, 섬진강, 아무르강 에 분포한다.
한둑중개, 둑중개과 Cottus hangiongensis (MORI, 1930)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하류에 분포하나 그 서식밀도가 높지 않다.
좀구굴치, 동사리과 Micropercops swinholis (GUNTHER, 1873)
섬진강,만경강,중국에 분포한다.
왜꾹저구, 망둑어과 Chaenogobius macrognathus (BLEEKER, 1860)
동진강,만경강,금강하류,및 섬진강 하구에 출현하고 일본의 연안과 강하구에 분포한다.
황복, 참복과 Takifugu obscurus (ABE, 1949)
황해로 유입하는 하천과 기수역에 분포한다.동중국해 및 남중국해와 인접한 강 하류
에 분포한다.
수수미꾸리, 미꾸리과 Niwaella multifasciata (WAKIYA and MORI, 1929)
한국고유종으로 낙동강 수계에서만 분포한다.
눈불개, 잉어과 Squaliobarbus curriculus (RICHARDSON, 1846)
대동강, 금강, 한강 에 서식하며 국외에는 중국에 분포한다.최근에는 금강하류에서만 희소하게 분포한다.
한강납줄개, 잉어과 Rhodeus pseudosericeus (ARAI, JEON and UEDA)
한국고유종으로 남한강상류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종개, 종개과 Orthrias toni (DYBOWSKY, 1869)
강릉남대천 이북의 동해안으로 유입하는 하천에서만 서식한다. 일본 북해도
사할린 및 시베리아동부에 분포한다.
대륙종개, 종개과 Orthrias nudus (BLEEKER, 1865)
북방계어류로 한강, 낙동강 및 삼척마읍천에 서식하며, 몽고 및 중국내륙에도 분포한다.
북방종개, 미꾸리과 Cobitis pacifica (KIM, PARK and NALBANT. 1999)
한국고유종으로 강릉남대천 이북의 동해로 유입하는 하천에 분포한다.
자가사리, 퉁가리과 Liobagrus mediadiposalis (MORI, 1936)
한국고유종으로 분포지역은 넓으나 쉽게 볼 수 없는 종이다.
산천어, 연어과 Onchorthynchus masou masou (BREVOORT, 1856)
울진이북의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에 분포하며 용존산소량이 풍부한
강의 최상류에 서식한다.
꺽정이, 둑중개과 TRachidermus fasciatus (HECKEL, 1837)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의 하구에 분포하며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사라져 가면서도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는 종들이 늘어날지 없어질지는
우리의 노력여하에 달려있다.
|
첫댓글 얼룩새코미꾸리가 잡기도힘들고 기르는것도힘드나여 우리집에는 잘있는데............
잡기힘든점에~한 표
오우~ 보기 힘든 넘들은 다 수록하셨군요~
개인적으로 강주걱양태도 추가했으면... 같은지역 채집시 꺽정이에 비해 상당히 객체수가 적던데... 아니면 빨라서 잡기가 힘들지도...^^;;;
강주걱양태 추가요^^;;
여러 의견을 들어본 후 한꺼번에 수정해보죠^^
동방종개, 북방종개, 남방종개, 새미, 큰가시고기도 충분히 자격이 있을것 같아요. ^^
그리고 위의 종들뿐만 아니라 지금은 흔하더라도 10년 20년 후엔 위의 어종처럼 희귀해질지 모르니 모두 다 보호해야겠죠? ^^* 왜 그런 트롯트노래도 있잖아요. ♬있을때 잘해~ 후회하지 말고~!♬ ㅋㅋ -_-;;
부안종개, 미호종개, 백조어에 한표....
부안종개 미호종개는 이미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구요 위에 동방종개는 이미 있어요 나머지를 추가해 보도록 하죠... 이거야 원 추가할 종이 한 두종이 아니네요.. 좋은건지 나쁜건지.. 글 보는 분들께서 판단하세요--ㅁ-
좀구굴치.. 강주걱양태..
겅주걱양태 이미 나왔는데..
얼룩새코도 보호종 아닌가?
귀한지는 모르지만 무조건 보호종이라고 좋을까요?
수수미꾸리 자가사리는 비교적 넓은 분포를 가지는데
보호종인지 좋을까요?라고 의문제기 뿐만아니라 대안도 제시해주셨으면 합니다. 수수미꾸리 자가사리는 선정조건중에 3. 분포지역은 넓지만 출현빈도가 낮은 경우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또 자가사리의 경우 사육의 난이도도 있기 때문입니다.
보호종 제정만이 지금 현재로서는 능사이기 때문에 제정해보는 것이구요^^ 혹시 이보다 좋은 대책이 있다면 기꺼이 의견을 제시해주세요 가급적 꼬리말이 아닌 답글로 깔끔하게 써주셨으면 합니다.
얼룩새코미꾸리는 현재로서 보호종 제정이 안된걸로 알 고 있습니다. 혹시 바뀌었다면 알려주세요
버들가지 구경갔다가 지뢰밟고 으악~하는거 아닙니까?^^;;
아이구...왜꾹저구는 생소하네요^^;;;
전 좀수수치 보호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