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제역사
장애인을 위한 골프는 국제적으로 검토하면 최근 10년 활동하게 되는 짧은 역사를 갖고 있다. 미국에서는 병원을 중심으로 20개주의 골프전문가와 의사의 전문 운동처방으로 장애인이 골프를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과 협회(Physically Challenged Golf Association)가 있다. 그리고, 일본에서도 세계오픈대회(6개국 가입)와 일본 국내대회를 중심으로 경기 위주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일본장애인골프협회가 있다. |
|
한편, 생활체육으로는 미국 지역 정신지체장애인을 위한 Special Olympic 종목으로 마라톤 골프란 종목으로 일반 골프를 하루 종일 진행하는 유형이 있다. 한편, 극소수 장애인이 부분장애를 극복하고 프로골퍼로서 일부 두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나, 휠체어 장애인을 포함한 대부분 장애인이 일반 골프를 접한다는 것은 요원한 일로 치부되어 왔다.
본 협회에서 진행하고자 하는 사업계획의 하나로서 장애인의 골프 종목으로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전문 골프인과 생활체육으로서 종목을 개발하고자 한다. 세계 최초의 장애인골프 종목을 개발하여 APC 경기종목와 IPC의 Paralympic 경기종목에 등록하고자 한다.
2. 국내역사
국내에서의 장애인골프 역사를 소개하자면 최근에 부분 장애인들이 세미프로로 활동하고 있으며, 일부 장애인들이 생활체육으로 즐겨 오고 있다. 한편, 2004년 파크골프가 국내에 소개 되면서 휠체어 장애인을 포함한 지체장애인들이 파크골프를 접하면서 장애인들의 골프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2004년부터 휠체어 지체장애인이 주축이 되어 장애인파크골프동호회를 결성하여 가족과 친지들과 함께 활동하면서 장애인골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가고 있었다. 매년 정기대회를 치르면서 장애인의 생활체육으로서 파크골프가 대중화가 되면서 일반 골프에 대한 욕구가 요청되었고,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2006년 상반기 대한장애인골프협회가 탄생하게 되었다.
장애 유형과 Universal Design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생활체육으로서 장애인파크골프와 장애인골프를 보급하고, 전문 경기체육으로 연구개발하여 장애인전국체전 종목으로 정착하는데 노력하고자 한다.
1) 장애인골프: 일반 골프장에서 진행 2) 장애인파크골프: 파크골프장에서 진행 3) 휠체어골프: 휠체어장애인 전문 골프 4) 기타 골프: 그라운드 골프, 미니골프, 스크린골프
1), 2), 4)번의 종목은 기존 경기 방법과 규칙을 따른다. 단지, 장애인을 고려한 경기용품과 이송기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경기장 시설은 장애인과 노약자를 고려한 유니버셜 설계(Universal Design)가 요구된다. 장애인을 위한 티샷장소(Tee Box)와 Green을 비치할 필요가 있다. 이 부분은 기존 골프장에서 이미 여성을 위한 Lady Tee Box와 Green 보호를 위해 항상 2개의 Green을 관리하는 것을 생각하면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배려를 생각하면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안다.
3)번의 경우, 휠체어 테니스나 농구를 생각하면 경기장을 규격화 할 필요가 있다. 규격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일반 골프장의 각 홀에서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전용 Tee Box와 Green을 조성하는 방안이다. 휠체어 장애인이 일반 수동휠체어에서 골프를 하는데 많은 제약조건이 따른다. 필요하면, 골프 전용 휠체어나 카트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필요하면 일반골프와 파크골프를 세분화 하여 경기방법과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일반 정규 골프와 파크골프의 세부 경기방법과 규칙은 별도 부록에 붙인다.
장애인골프의 국제장애인체육기구는 현존하지 않은 상태이다. 현재까지 조사한 바로는 국제적으로 장애인골프와 관련한 기구는 본 협회와 더불어 미국과 일본의 장애인골프협회가 존재하고 있다.
한편, 일반 골프 자체가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장애인체육종목에는 올림픽 종목이 아닌 것이 패럴림픽 종목으로 선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보치아, 론볼, 장애인럭비 등을 생각 할 수 있다.
골프는 역사가 오래 되어 국제체육기구(PGA, LPGA)가 발족되어 있어 그 권위는 국제적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다. 특히, LPGA의 경우, 우수한 선수가 배출되어 활동 중에 있고, PGA의 경우도 일부 선수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 들 중 청각장애인 선수가 활동하고 있으면, 부분 상지장애인이 세미프로로 활동 중에 있다.
그러나 장애인골프에 대한 국제체육기구는 아직 결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경기규칙을 제정하여 세계로 보급하면 장애인골프국제기구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한 최초의 장애인체육 종목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대한장애인체육회가 발족 되면서 장애인들의 골프에 대한 욕구를 담아 둘 수 있는 엘리트 체육과 생활체육 종목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생활체육 저변을 확대하기 위한 연구와 전국체전의 종목으로 채택하기 위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국내 활동과 함께 본 협회와 대한장애인체육회는 국제기구 창설을 준비하기 위한 전문가 그룹 결성을 추진하여야 하고, 이를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함께 하여야 할 것이다.
장애인골프를 장애인의 생활체육과 엘리트체육으로서 국내 및 국제 경기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 및 기술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자 한다.
2006년 10월 24일
대한장애인골프협회 기술고문단
장애인복지 및 정책분과: 대구대학교 직업재활학과 이달엽 교수 경기규칙 및 운영분과: 국제대학 생활체육학과 심창섭 교수 용인대학교 스포츠미디어학과 성낙훈 교수 스포츠레저 및 운동치료분과: 대구대학교 골프산업학과 김훈 교수 대구대학교 운동치료학과 신학수 교수 장애인골프 경기시설분과: 한국파크골프협회 전영창 전무이사 장애인복지기기분과: 노동부 산재의료관리원 재활공학연구소 류제청 박사 대구대학교 자동차산업기계공학부 교수 겸 교통약자복지기기연구소 이수철 소장
작성자: 대한장애인골프협회 기술고문 이수철 작성일자: 2006년 10월 24일
취지: 장애인골프를 장애인의 생활체육과 엘리트체육으로서 국내 및 국제 경기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 및 기술 연구개발 사업을 제안하고자 한다.
목표 : 생활체육 종목, 전국체전 경기 종목, 국제경기 종목으로 개발 장애인골프 국제체육기구(DPGA) 발족 및 Paralympic 경기 종목 채택
I. 정책분야 1. 국가 정책 활성화 방안 1) 홍보: 언론, 학술대회 2) 정책추진협의체 구성 3) 정책 반영: 대한장애인체육회와 대한장애인골프협회 공동 추진 2. 추진협의체 구성 대상 기관 1) 대한장애인체육회 2) 대한장애인골프협회 3) 한국파크골프협회 4) 대한골프협회 5) H2O 6) 정부기관(문광부, 보건복지부, 건교부, 행자부,......) 7) 기타
II. 기술연구개발분야 1. 관련분야: 사회복지, 체육, 특수교육, 재활과학, 재활의학, 공학, 조경학 2. 장애인골프연구회 결성: 연구회준비단 3. 분야별 연구개발 착수: 연구기금조성 4. 정기 세미나 또는 컨퍼런스 개최 5. 연구회 대상 기관 1) 협회: 대한장애인골프협회, 한국파크골프협회, 대한골프협회 2) 관: - 문광부: 대한장애인체육회, 대한체육회 - 노동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보조공학센터, 산재의료관리원 재활공학연구센터, -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3) 산업체: 골프용품 제조업체, 조경업체 4) 대학: 대구대학교, 용인대학교, 국제대학 5) 연구소: 정부출연연구소, 협회 연구소, 기업연구소, 자율연구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