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라 산 (漢拏山)
한라산
위치 : 제주도 북제주군·남제주군 높이 : 1,950m 문화재 : 관음사
높이 1,950m이다.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제3기 말∼제4기 초에 분출한 휴화산이다.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줄기는 제주도 중앙에서 동서로 뻗는다.
남쪽은 경사가 심한 반면 북쪽은 완만하고, 동서쪽은 비교적 높으면서도
평탄하다.
예로부터 부악(釜岳)·원산(圓山)·진산(鎭山)·선산(仙山)·두무악(頭無岳)·영주산
(瀛州山)·부라산(浮羅山)·혈망봉(穴望峰)·여장군(女將軍) 등 많은 이름으로
불렸고, 민간 신앙에서는 금강산·지리산과 함께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로
치기도 한다.
정상에는 둘레 약 3㎞, 지름 500m의 화구호인 백록담(白鹿潭)이 있으며, 주위
사방에 흙붉은오름[土赤岳]·사라오름[砂羅岳]·성널오름[城板岳]·어승생오름
[御乘生岳] 등 360여 개의 측화산을 거느리고 있다.
또 해안지대에는 폭포와 주상절리 등 아름다운 화산지형이 펼쳐지고, 해발고도에
따라 아열대·온대·냉대 등 1,800여 종에 달하는 고산식물이 자생하여 식생의
변화가 뚜렷하다.
봄의 철쭉·진달래·유채, 가을의 단풍, 겨울의 설경과 운해가 절경이며, 곳곳에서
한라산의 상징인 노루를 볼 수 있다.
1002년(고려 목종 5)과 1007년에 분화하였다는 기록이 《동국여지승람
(東國輿地勝覽)》에 나오는데, 1455년(조선 세조 1)과 1670년(현종 11)에는
지진이 일어나 피해가 컸다는 기록도 있다.
1970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해마다 1월 마지막 주에는 어리목을 중심으로
눈꽃축제가 열린다.
동북쪽 기슭에 대한불교조계종 제23교구 본산인 관음사가 있다.
***** 명승 고적 *****
삼성혈
|
1964년 6월 10일 사적 제134호로 지정되었다.
제주도의 고(古)·양(梁)·부(夫)씨의 3시조 격인 고을나(高乙那)·양을나(良乙那·梁乙那)·부을나(夫乙那) 세 신인(神人)이 각각 솟아났다는 신화가 전하는 유적으로 모흥혈(毛興穴)이라고도 한다.
제주시 한 가운데에 있는 제주칼호텔과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사이 송림이 우거진 숲 한가운데에 세 개의 구멍이 각각 수m의 간격을 두고 품자(品字) 형을
이루고 있는데 그 깊이가 바다와 통한다는 위쪽 구멍은 둘레가 6자이고 아래의 두 구멍은 각기 3자이다.
3신인은 수렵생활을 하다가,
지금의 온평리 바닷가에 떠밀려온 나무궤짝 안에서 나온 벽랑국(碧浪國)의 세 공주를 각각 맞이하여 혼인하고, 세 공주가
가지고 온 오곡(五穀)의 씨앗,
송아지, 망아지를 가지고 농경생활을 시작하면서
오늘의 제주도를 이루었다고 전한다.
삼성혈이 성역화된 것은 1526년(중종 21) 제주목사 이수동(李壽童)이 혈(穴) 북쪽에
홍문(紅門)·혈비(穴碑)를 세우고 돌로 280여 자[尺]의 담을 쌓아 고·양\·부씨의 후손들에게 혈제(穴祭)를 지내게 하면서 시작되었다.
1698년(숙종 24) 혈 동쪽에 위패를 모시는 삼을나묘(三乙那廟:지금의 三聖殿)를, 1827년
(순조 27) 제향을 받드는 전사청(奠祀廳)을, 1849년(헌종 15) 숭보당(崇報堂)을 세웠다.
그밖에 석비(石碑)가 부근에 있다.
제례는 고·양·부 3성의 후손들이 매년 양력 4월 10일에 춘제(春祭), 10월 10일에
추제(秋祭)를 삼성전에서 지내는데 헌관은 3성이 돌아가며 맡고 있다.
12월 10일에는 제주도민이 건시제(乾始祭)로 혈단(穴壇)에서 지내는데 초헌관은 도지사,
아헌관과 종헌관은 기관장이나 유지 중에서 선임한다.
이 구멍 속에는 빗물이나 눈이 고이지 않는다고 하며, 주위에 수령 500여 년 이상의
노송들과 녹나무·조록나무 등 수십 종의 고목이 울창하게 서 있는데 나무들이 거의 이
구멍을 향하여 있어 신비로움을 더한다.
제주 고유의 건축물과 제사 모습 등이 남아 있는 유적지이며, 오랜 역사와 끊이지 않는 전통
문화를 지닌 자긍심을 간직하고 있는 성소(聖所)이다.
보호면적은 2만 9647㎡이다.
관련유적으로 벽랑국의 세 공주가 타고 온 나무상자가 발견된 해안 황루알, 3신인이
세 공주와 혼인한 혼인지(婚姻池:제주기념물 17), 이들이 혼인한 뒤 영역을 가리기 위하여
화살을 쏘았다는 삼사석(三射石:제주기념물 4) 등이 있다.
제주목관아
|
|
제주목관아지 |
| |
|
|
사적 제380호. 지정면적 1만 9,533 m2 .
제주대학 조사단이 1991년 10~12월과, 92년 5~12월의 2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탐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여러 문화층이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조선시대 제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동헌(東軒), 내아(內衙) 건물터 등의 위치와 규모가 확인됨으로써 이 곳이
고대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제주도의 정치 ·행정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한 중요한 유적지였음이 밝혀져, 이 곳 남서쪽에 있는 관덕정(觀德亭):보물 322)도 포함하여 사적지로
지정되었다.
1435년(세종 17) 고득종(高得宗)이 쓴 《홍화각기(弘化閣記)》에 따르면 제주목의 관아 시설들은 총 58동 206칸 규모였다.
또 현존의 관덕정은 정면 5칸
측면 4칸의 이익공(二翼工)
건물로서 처마가 긴 것이 특징인데, 48년(세종 30) 병사들의 훈련장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창건된 것이다.
관덕정
|
|
관덕정 |
| |
|
|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22호로 지정되었다.
정면 5칸, 옆면 4칸, 단층 팔작지붕 양식이다.
긴 대석으로 앉힌 기단 위에 세운 정자로 주위 4면이 모두
트여 있다.
기둥 윗몸에는 창방(昌枋)과 그 밑에 인방(引枋)을 짜 돌렸으나 평방(平枋) 없이 주두(柱頭)를 얹어 공포(뱀包)를 배치하고,
정형화된 이익공(二翼工)
형식으로 외목도리(外目道里)를 받쳤다.
기둥과기둥 사이의 창방 위에는 화반(花盤)을 3개씩 배치하여
건물의 옆면과 뒷면에서 보면
장화반(長花盤)의 형태이다.
또 화반 위에서 운공(雲工)이
뻗어나와 외목도리를 받게 하였으며 그 위에 서까래와 부연(附椽)을 걸었고, 서가래의 끝은
모두 처마의 선과 똑같게 잘라져 있는 것이 색다르다.
옥내에는 앞뒤 2줄로 4개의 큰 기둥을 세워 그 위에 대들보를 걸었다.
대들보 위에는 동자기둥[童子柱] 모양의 대공을 세워 종량(宗樑)을 받쳤고 천장은
연등천장이다.
큰 기둥들과 주위 기둥은 퇴량(退樑)으로 연결하였고, 옆면 중앙의 기둥에서 대들보에 걸쳐
충량(衝樑)이 가설되어 있다.
용두암
|
|
용두암 |
| |
|
|
용연 부근의 바닷가에 용머리의 형상을 하고 있는 이 바위의
높이는 약 10 m나 되며, 제주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명승지이다.
화산용암이 바닷가에 이르러
식어 해식(海蝕)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용이 승천하려다 뜻을 이루지 못했다는
전설을 담고 있다. |
|
절물자연휴양림
|
|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
| |
|
|
1995년 7월 23일에 개장했으며, 구역면적은 300만㎡, 1일 최대 수용인원으 1,000명이다.
제주시청에서 관리한다.
봉개동 화산 분화구 아래 산림청이 관리하는 국유림에 조성했으며, 울창한 수림의 대부분이
수령 30년 이상의 삼나무이다. 삼나무 외에 소나무, 산뽕나무가 분포하고 있고, 까마귀와 노루도 서식한다.
휴양림 가운데 자리잡은 절물오름은 해발 650m의 기생화산으로 등산로를 따라 정상에 오르면
말발굽형 분화구가 형성되어
있다.
분화구의 전망대에 오르면
제주시와 한라산이 보인다. 휴양림에는 전망대, 등산로,
순환로, 산책로, 야영장 등의
편의시설과 체력단련시설, 어린이놀이터, 민속놀이시설 및,
야외교실, 자연관찰원, 교육자료관, 임간수련장 등의 교육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잔디광장 중앙에 금붕어가 헤엄치는 연못이 있고, 제주시가 지정한 제1호 약수터가 있다.
주변에 용암동굴인 만장굴, 기생화산인 산굼부리와 고수목마, 비자림, 몽도암관광휴양목장,
성판암 등의 관광지가 있다.
도깨비도로
|
|
제주도깨비도로 | | |
|
|
제주시내에서 4㎞ 떨어진 제주시 노형동 제2횡단도로(1100번도로) 입구의 200~300m 구간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1981년 신혼부부가 택시에서 내려 사진을 찍다가 세워둔 차가 언덕 위로 올라가는 현상을 목격한 이후 세상에 알려지게 되어 관광명소가 되었다.
신비의 도로라고도 불리는 이곳은 지표측량에 의해 오르막길로 보이는 쪽이 경사 3도 가량의 내리막길이며 주변 지형 때문에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것이라는
사실이 지표측량 결과 밝혀졌다. 관광명소가 된 이래 교통 체증과 사고의 위험 때문에 도로 서쪽에 너비 15m, 길이 1.3㎞의 우회도로가 생겨났고 도로변 3만여㎡ 터에 주차장·산책로·휴게실
등을 갖춘 관광공원이 조성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5.16횡단도로(제1횡단도로)에서 산천단을 조금 지나 관음사로 빠지는 산록도로
(1117번도로) 초입에도 제2의 도깨비도로가 있다.
주변에 검은오름·한라수목원 등의 관광지가 있다.
목석원
| |
|
|
목석원 |
| |
|
|
1974년 4월 3일 제주도기념물 제25호로 지정되었다.
제주 시내에서 남쪽 4km 지점 제1횡단도로변에 있다.
이곳에는 제주도산 자연석과
고사목 뿌리들을 전시해놓았는데, 제주도기념물로 지정된
20점의 천연 형상목(形象木)을 포함하여 1,000여 점 의 예술적인 목물(木物)과 사람의 머리 형태를 한 500여 점의 석물, 100여 점의 수석들이 전시되어 있다.
기념물로 지정된 목물 중에는
달팽이부부처럼 구체적인
형상을 가진 것들과 창조혁명처럼 추상적인 의미를 부여한 것들 및 갑돌이의 일생처럼 줄거리를 가진 일련의 작품들도 있다.
이곳의 목물은 한라산의 난대림 지대에서 수백년 동안 땅 속에 묻혀 뿌리의 중심부분이 마치 조각품처럼 잘 다듬어져 있는 천연의 조록나무 뿌리들이다.
백록담
제주도 중앙부에 솟은 한라산(漢拏山:1,950m) 산정에 있는 화구호(火口湖). 그 이름은 옛날 선인들이 이곳에서 ‘백록(흰 사슴)’으로 담근 술을 마셨다는 전설에서 나왔다고 한다,
지름 약 500m, 주위 약 3km의 타원형을 이루며, 거의 사시사철 물이 괴어 있다.
동·서쪽 화구벽(火口壁)의 암질(岩質)이 서로 다른데, 동벽은 신기 분출의 현무암으로 되었고, 서벽은 구기의 백색 알칼리조명암이 심한 풍화작용을 받아, 주상절리(柱狀節理)가
발달되어 기암 절벽을 이룬다
등산코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