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FIPA EXPO관련 임원회열려
2013.7.11 발효산업진흥회 서부사업소에서 2015FIPA EXPO개최관련 임원간담회가 있었다.
이자리에서 이의영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발효산업의 중요성과 국책사업으로의 정책을 강조했다.
인사말을 들어본다.
선조로부터 이어온 우리전통
장독대 문화가 발효산업을 탄생 시켰습니다.
또한 발효산업은 흔히들 발효식품에만 한정 되 게 해석하는 잘못된 경우가 대부분인데, 발효산업은 식품, 에너지, 의약, 정밀화학, 전통식품, 유기용제 공업용발효 등을 망라하는 국가의 기간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4계절 기후변화가 뚜렷한 천혜의 환경 탓으로 오랜 발효의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바이오 산업 중 선진국 대비 90% 이상의 경쟁력을 갖춘 분야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확실한 발효산업을 기반으로 Biotechnology 산업의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 국가나 지방 자치단체 차원에서도 매우 효과적이라고 사료됩니다.
일본의 경우, 전통 된장 낫토에서 발견한 균주시장 하나가 일본의 자동차산업과 맞먹는 거대한 Biotechnology시장으로 성장한 사례는 좋은 본보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발효산업이 제각기 영세규모로 전국에 산재해 있어 산업으로서의 발전이 어렵고, 소비자입장에
서도 집약된 One-Stop Market으로서의 발효제품 유통센터가 요구되는 실정이기도 합니다.
•우리민족의 전통 식문화를 바탕으로 한 발효산업은 하루빨리 제도화하여 국책사업으로 발전 되어야만 한다고 강조 했다.
이어서 그동안 경과보고와 임원회 소집관련 회의를 이어같다.
중요 안건은 2015발효산업엑스포 개최건 인데 2012년9월 2014년 UN식물다양성협약국제대회 행사유치 측으로 제의해 왔든 공동주최건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이자리에서 제의측의 배병호사무처장이 배경설명을 하였고 임원회는 이사회에서 더 검토하여 결정지을 것을 위임 하였다. 2014년 UN식물다양성협약국제대회는 200여 국가가 참여하여 전국에서 약1개월간 개최되는 행사다.
이어서 개최시기와 추진위원회결성 및 임원구성건에 대하여 공동개최가 결정되면 구체적인 의견을 나눠가기로 하고 폐회하였다. ntnews@hanmail.net 이준영기자/발효산업정보
회의후 다과회에서 회원사인 발효의 진실이 담긴 순박하고도 투박한 한과 명인 최봉석(식품명인23호*강원 강능시)이
소개되었다.
한과분야에서 첫 번째로 명인에 지정된 최봉식명인은 강능의 명물인 갈골한과마을에 500년동안 자리잡고 살고있는 토박이 집안의 16대 손이기도 하다.... http://www.galgo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