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사제
사제의 특성중 "암흑" 최종단계인 "암흑의형상"을 찍은 사제를 칭하는말.
솔로잉 사냥은 팍월하나, 대규모, 소규모 파티에선 환영받지 못하는 특성
*드닥힐
[드]루는 [닥]치고 [힐]의 준말.
특성에 따라 플레이스타일이 달라지는 드루이드란 케릭을 비하하는 용어로,
드루이드의 최대의 이점인 "변신"을 무시한 언어로서,
주로 대규모, 소규모 파티에서 힐에만 전념해달라는
타 케릭터의 요구가 와전된 의미.
*닌자
파티원 및 공격대원이 합심하여 어렵게 잡은 몬스터에서 나온 아이템을 파티원과 한마디 상의도 없이
슬쩍 먹어가는 행위로, 닌자를 한 파렴치한 사람은 빠르게 소문이 퍼져, 케릭터 삭제나 아이언포지 및
오그리마 광장에서 무릎을 꿇고 용서를 비는것으로 사건을 해결한다고도함.
걔중엔 용서없이 게임을 하며 같은 일을 되풀이하는 사람도 종종 보인다고 함.
※아제로스 내에서 꼭 없어져야할 파렴치한 행위.
*발컨
발로 컨트롤 한다의 약자로 컨트롤이 떨어지는 경우를 뜻하는 말
*대장군
명예시스템에서 호드 최고계급을 뜻함
보통 전장을 2-3달간 꾸준히 해야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있어 많은 체력과 인내심을 요함
대장군이 되면 최상위 영웅 아이템 구입가능
*명계
명예 게이 의 줄임말로
명예 및 전장 노가다를 하는 사람들을 비꼬는 말
*레게
레이드게이의 줄임말
레이드 다니는 사람들을 비꼬아 표현하는 말..
*도닥붕
도적은 닥치고 붕대질이라는 말로
과거 어그로 관리를 못해 힐러의 엠을 힐로 다쓰게 만들었던 도적을 꼬집는 말로 생겨난 것으로 추측
하지만 어그로 관리 잘하는 도적은 파티 최고의 데미지딜러
*헬퍼
헬퍼(Helper)는 보통 어려운 퀘스트나 지리를 모르는
인스턴스 던전등을 안내해 주는 경험이 많은 유저를 말한다.
보통 저레벨 캐릭터를 도와주는 고레벨 캐릭터를 지칭한다.
*버스
버스(Bus)는 저레벨 캐릭터의 레벨업을 위해 고레벨 캐릭터가
도움을 주는 과정을 이야기하며 택시라도고 한다.
보통 난이도 높은 퀘스트나 빠른 레벨업을 위해 아는 사람들을 통해서 하는 경우가 많다.
*섭
섭은 서버(Server)의 줄인말로 게임을 하기 위해 설정된 게임 세계가 위치한 공간을 의미한다.
섭이라는 단어에서 연계되는 단어로는 섭다(서버 다운: Server Down)나
섭온(서버 온: Server On) 등이 있다.
*재접
재접은 재접속의 줄인말로 리스, 리스타트(Restart)와
같은 의미인데 다른 캐릭터로 접속하거나 게임이나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루팅
루팅(Looting)은 사냥을 통해 몬스터 또는 상자 안에서
획득하거나 땅에 있는 아이템을 줍는 행위를 말한다.
WoW몬스터를 죽여서 시체 안에서 아이템을 얻거나 상자를 열어 획득할 수 있다.
*차비
차비는 사냥을 하면서 소모되는 비용을 충당할 수 있도록 아이템을 구해가는 것을 말한다.
보통 던전 사냥의 경우 주사위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아무런 아이템도 획득해 가지 못하면
수리비나 소모된 물약, 붕대 값을 충당할 수 없기 때문에 그와 관련되서 생겨난 용어이다.
차비 관련 시스템이 예전에는 없었지만 1.패치에서 추가되었다.
*ㅊㅊㅊ
ㅊㅊㅊ는 '쳐쳐쳐'를 단시간에 타자로 치기위해 축약한 것이다.
보통 자신이 몬스터와 싸우다 위험에 직면할 때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달려가며 사용한다.
*접종
접종은 접속 종료의 줄인말로 로그아웃(Log Out)과 같은 말이다.
무슨 예방 접종이 절대 아니다. -_ -;
*젠타임
젠타임(Gen Time)은 몬스터를 죽이면 일정한 시간 뒤에
일정한 장소에 다시 나타나는 시간 간격을 말한다.
*지엠
지엠(GM)은 게임 마스터(Game Master)의 줄인말로
게임상에서 플레이어에게 일어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해 주는 사람을 말한다.
WoW에서는 플레이어의 문제점을 최대한 빨리 해결해 주기 위해 게임 자체 시스템에 'GM요청'이라는
시스템을 두고 있다.
*캠핑
캠핑(Camping) 또는 캠프(Camp)는 일정한 사냥터에 자리를 잡고 사냥을 장시간 지속적으로 하는 것
말하는데 보통 아이템 사냥을 위한 캠핑은 파밍(Farming)과 같은 말로 쓰이기도 한다.
*틱
틱(Tick)은 시계의 '똑딱'거리는 의성어에 어원을 두고 있는데 쉽게 게임 안에서
자연적으로 생명력 및 마나 등이 회복되는 정해진 시간 간격을 말한다.
예로 틱당 회복량이라는 말을 자주 쓰는데 WoW에서의 한 틱은 3초 정도의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PvP
PvP(Player vs. Player)는 플레이어 대 플레이어.
즉, 게임 상에서 플레이어끼리 전투를 하는 행위를 말한다.
PK(Player Killing)는 PvP와는 조금 다른 의미이지만 보통 같은 의미로 많이 쓴다.
*팝
팝(Pop)은 특정 조건을 만족시켜 몬스터를 나타나게 하는 것을 뜻한다.
쉽게 생각해서 팝업창을 생각하면 되는데 대표적인 팝 몬스터로 라그나로스를 들 수 있다.
*풀러
풀러(Puller)는 파티내에서 풀링을 담당하는 역할을 말한다.
WoW에서는 보통 탱커나 리더가 풀러를 담당하지만 때에 따라서 사냥꾼이나 마법사와 같은 원거리형
직업이 풀러를 담당하기도 한다.
즉, 모든 직업이 풀러를 맡을 수 있다.
*리딩
리딩(Leading)은 파티의 진행을 이끌어 가는 사람을 뜻하며 보통 탱커가 리딩을 담당하게 된다.
상황에 따라 탱커가 아닌 경험이 많은 사람이 리딩을 담당하기도 한다.
*디디
디디(DD)는 다이렉트데미지(Direct Damage)의 준말로
캐스팅이 끝남과 동시에 상대에게 즉시 입히는 대미지를 뜻한다.
반대의 개념으로는 볼트(Bolt)가 있는 캐스팅이 끝나면 무엇인가 날아가서 대미지를 입히는 캐스팅 후
대미지를 입히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대미지를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 마법사의 신비한폭발 등이 있다.
*로밍
로밍(Roaming)은 걸어다니다, 돌아다니다라는 뜻으로 일정한 지역을 돌아다니는 것을 말한다.
WoW에서는 보통 순찰하고 있는 몬스터를 의미한다.
*ㅌㅌㅌ
ㅌㅌㅌ는 튀어튀어튀어의 단시간에 타자로 칠 수 있도록 축약한 것이다.
자신이 위험 상황에 쳐해 있을 때 자주 사용하게 된다.
*인던
인던은 인스턴스던전(Instance dungeun)의 약자로 파티원들과 공유하는 독립된 던전을 말한다.
WoW에서는 얼라이언스의 죽음의 폐광, 호드의 통곡의 동굴이 대표적인 초반 인스턴스던전이다.
*엠탐
엠탐(MP Time)은 마법이나 스킬 등의 사용으로 소모된 마나를 회복하는 시간을 말한다.
*피탐
피탐(HP Time)은 소모된 체력을 회복하는 시간을 말한다.
보통 앉아서 음식류를 먹는 것을 칭한다.
*파밍
파밍(Farming)은 특정한 아이템을 구하기 위한 사냥을 하는 것을 칭한다.
*타운트
타운트(Taunt)는 탱커들이 몬스터를 자신에게 붙일 때 사용하는 기술로
어그로 수치를 비약적으로 증가 시켜서 전사보다 높은 데미지를 가진 데미지 딜러나 누커,
또는 힐러의 힐링 등의 어그로를 무시하고 몬스터가 지속적으로 자신을 볼 수 있게 한다.
대표적인 타운트 기술은 전사의 도발이 있다.
*탱킹
탱킹(Tanking)은 탱커가 파티원을 보호하기 위해서 몬스터와 맞서는 행위를 말한다.
이때 타운트 기술을 사용하면 안정된 탱킹을 할 수 있다.
*일점사
일점사(1.4)는 한 타겟에 여럿이 집중 공격을 하는 것을 말하는데 일명 다굴이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어시스트
어시스트(Assist)는 '돕다'라는 뜻으로 지정된 파티원과 같은 타겟을 공유한다.
이는 메인 탱커를 제외한 모든 파티원이 사용하게 되는데
어시스트가 잘 된 파티는 많은 몬스터와 렉이 있는 혼잡한 전장에서도 정확한 일점사를 할 수 있다.
*곰발바닥
곰발바닥은 발바닥 또는 발 등으로 줄여서 말하기도 하는데 드루이드의 스킬인
야생의징표를 뜻하는 것으로 야생의징표의 아이콘 모양이 곰의 발처럼 생겼기 때문에
유저들이 통상적으로 그렇게 부른다.
*버프
버프 (Buff)는 이로운 마법을 말한다.
주로 일정 시간 스탯이나 능력치가 증가 되는 것을 총칭한다.
사제의 인내의기원이나, 드루이드의 야생의징표 등이 있다
*방사
방사는 방송사고의 준말이다.
여러 채팅 채널을 사용하다가 사용 용도와 어긋난 채팅창을 사용했을 때
해당 채팅창을 사용하는 다른 유저에게 사과의 의미로 하는 단어이다.
*디버퍼
디버퍼(De - Buffer) - 적에게 디버프를 하는 역할을 말한다.
WoW에서는 흑마법사가 대표적인 디버퍼이다.
*도트
도트(Damage Of Time)는 DOT라고 하며 일정 시간 동안 지속 대미지를 주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흑마법사의 마법들이나 도적의 독, 전사의 분쇄 등이 있다.
*메즈
메즈(Mez)는 적을 잠재우거나 발을 묶어서이동 및 공격이 불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단, 한번 공격을 받게 되면 메즈에 걸린 대상은 메즈 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대표적으로 마법사의 변이가 있다.
*몹
몹(MOB)은 몬스터와 유사하게 쓰이는 말로 몬스터보다는 더 포괄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애드
애드(Add)는 진행 중에 몬스터가 추가되는 것을 말하는데 보통 전투와 상관이 없던 몬스터의 시야 내에
플레이어가 들어가면서 몬스터가 공격해 오는 경우를 말한다.
이동이나 사냥 중에 몬스터가 애드되면 채팅을 통해 상황을 바로 알려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메저
메저(Mezer)는 메즈 마법으로 적을 무력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WoW에서 마법사, 사제, 드루이드 등을 말한다.
*버퍼
버퍼(Buffer)는 파티원에게 버프를 하는 역할을 말한다.
WoW에서는 사제, 성기사, 주술사, 드루이드 등을 말한다.
*캐스터
캐스터(Caster)는 마법을 사용하는 직업을 총칭한다.
WoW에서는 마법사, 흑마법사, 사제 등이 있다.
*힐러
힐러(Healer)는 회복 계열 마법을 사용하여
파티 사냥에서 파티원들의 소모되는 체력을 회복시켜주는 역할을 말한다.
WoW에서는 사제, 성기사, 드루이드, 주술사 등이 수행할 수 있다
*누커
누커(Nuker)는 한 번에 큰 대미지를 줄 수 있는 직업이 파티에서 맡는 역할이다.
WoW에서는 마법사를 보통 누커라고 칭한다.
*대미지딜러
대미지딜러(Damage Dealer)는 다른 말로 댐딜이라고 더 짧게 표현하기도 한다.
몬스터에게 일정한 시간내에 지속적으로 빠르게 많은 대미지를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직업을 말한다.
WoW에서는 일반적으로 마법사와 흑마법사, 도적을 일컬으며
그외에 상황에 따라 다른 직업을 포함시키기도 하는데
마법사의 경우는 누커쪽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멀록(멀사마)
멀록(Muloc)
로데론에는 비교적 늦게 출현한 멀록들은 실제로는 아제로스에서도 늦게 발생한
고대의 종족 중에 하나라고 합니다.
멀록들은 꾸준히 육지와 자신의 해양 거주지를 왔다갔다 합니다.
또한 그들을 찾아보기 힘든 민물에서도 서식하기도 합니다.
그들이 사용하는 쉰 목소리의 언어는 해독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기에
그들의 지능 정도를 알아낼 수 없습니다만,
그들의 무기 사용과 초인적인 전투력으로 살펴볼 때 상당한 지능을 가진 종족이라고 추정됩니다.
-워3 매뉴얼 몬스터 도감에서 발췌-
와우를 하면 누구나 초반에 접할 수 있는 몬스터가 바로 멀록이다.
이 멀록들은 혼자서 공격하는 일이 많지 않다.
조금만 잘못해도 3마리 이상의 어그로를 몰아올 수 있으며 엄청난 끈기를 가지고 있어서
도망가는 유저를 끝까지 따라오곤 한다.
검은창부족의 족장이었던 센진은 멀록과의 싸움에서 전사하였으며,
사우스쇼어에서는 멀록때문에 며칠째 물고기를 먹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냥닥솔
냥꾼은 닥치고 솔로잉...-_-;;
개인적으로 제일 불쌍하다고 생각하는 단어..
사실 사냥꾼이 솔로잉에 강하긴 하지만 장비 잘 갖춘 냥꾼분들은 공대에서도
단일 레이드일 경우 마법사보다 높은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냥꾼이 워낙 착용하는 무기도 많고(둔기빼고 다 먹는다...)..
그러다보니.. 아무래도 파티의 필수 직업인 전사가 태클걸어서 제대로 파티도 못한다...
그래도 솔로잉은 제일 빠르더라.....-_-;;
*전닥돌
전사는 닥치고 돌진의 줄임말... 닥돌이라고 간략하게 부른다. 돌격이었나? ㅡ.ㅡ?
하여간 전사의 대표적인 전투 시작 스킬 돌진에 빗대어 앞뒤 가리지말고 일단 돌진부터 하고 보라는 뜻.
가끔 개념 마력추출해버린 분들은 같은 파티원에게 "전사님, 닥돌이요~"를 남발해 파탈당한다.
별로 좋은 뜻으로 출발한 건 아닌데..지금은 그냥 막 쓰인다..
막상 들으면 기분 나쁠 것 같다...
*성닥힐
성기사는 닥치고 힐...의 준말..-_-^
하이브리드인 성기사의 장점을 모두 개무시하고 오로지 힐만 하라는
블리자드의 1.9.0 패치에 열받은 나머지 성기사를 키우는 내가 쓰는 말..-_-
성기사는 하이브리드닷! 왜 근접전하면 안돼냐~~~~~~~~~~~~~~~
*성닥귀
성기사는 닥치고 귀환'의 준말
필드에서 싸우다가 불리하면 무적 쓰고 귀환하는 일부 성기사의 모습에 열받은 호드유저들이
지어낸 것으로 추측.
*부러진송곳니
현재 거의 유일하게 필드에서 만날 수 있는 공속 1.0의 희귀 몬스터이며, 종류는 살쾡이이다.
공방이 균형잡혀 있고 이동속도가 빠른 살쾡이의 특징에 공속 1.0이라는 장점이 합해져
유용성면에서 최고의 펫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지만
등장하는 황야의 땅 지역이 인구의 유동이 많은 곳이기 때문에 제대로 구경조차 어려운 몬스터...
빠른 공속과 살쾡이라는 특징을 원한다면 꼭 길들여야 하는 몬스터이며,
사냥꾼 게시판에서는 부러진송곳니를 길들였다는 자랑이 심심찮게 올라와
많은 냥꾼들의 부러움을 받는다.
*마그니브론즈비어드
와우의 세상에서 브론즈비어드 드워프 종족의 족장이자,
최대의 얼라이언스 인구가 모이는 아이언포지를 다스리는 국왕이다.
노스랜드에서 아서스와 함께 행동하다가, 프로스트모운을 들어버린 아서스에게 죽임을 당한
무라딘 브론즈비어드의 형.
*어그로
Aggressive, Aggro
공격우선 순위. 몬스터가 자신에게 가장 큰 적대적 행위를 한 캐릭터를 공격하는 것.
일반적인 공격 외에, 버프, 도발, 힐링, 공격 등이 모두 어그로의 범위 안에 포함되며,
몬스터는 항상 자신에게 가장 큰 적대적 행위를 한 캐릭터를 공격하게 된다.
위협수준 헤이트와 동일한 뜻.
*탱커
흔히 몸빵이라고 부르며,
높은 방어력으로 파티의 선두에서 적의 공격을 받아 파티를 안전하게 하는 역할을 뜻한다.
대부분 전사가 수행하게 되며, 공격력보다는 방어력과 도발 능력으로 파티를 위험에서 보호한다.
*레이드
Raid (공격대)
일반적인 파티의 구성원 5명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거대한 몹과의 대결, 혹은 퀘스트의 해결을 위해
최대 40명의 인원이 함께 파티를 구성하는 것, 혹은 공격대를 구성하여 컨텐츠를 즐기는 것.
와우에 존재하는 오닉시아, 라그나로스, 학카르 등 60레벨 이상의 보스몬스터들은 대부분
공격대를 이루어 도전해야 한다.
*초당공격력
DPS (Damage Per Second) 초당 데미지
초뎀, 초댐, 초당 데미지, 초당 공격력, 디피에스 모두 같은 말.
무기의 데미지를 공격속도로 나누어, 1초당 얼마의 데미지를 줄 수 있는지
환산한 숫자. 일반적으로 무기의 능력을 계산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한다.
*디버프
Debuff
데미지 마법외에 적에게 해로운 영향을 주는 마법.
주로 일정 시간동안 적의 능력치나 방어도, 체력과 공격속도 및 이동속도 등을
감소시키는 마법을 뜻한다.
대표적인 예로 흑마법사의 피로의 저주, 전사의 방어구가르기, 도적의 신경독 등이 있다.
첫댓글 흠... 글쿠낭... 글옮겨줘서 ㄳㄳ
ㅡ_ㅡ;; 시간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