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aver.me/FVbYHxl9
윤석열 정부의 핵심 ICT(정보통신기술) 정책인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로드맵이 공개됐다. 한 번의 로그인으로 모든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정부 전용 초거대 인공지능(AI)을 구축하는 게 골자다. 이를 위해서는 부처마다 따로 보관된 데이터를 활용 가능하게 만드는 게 필수. 정부는 데이터 활용 과정에서 개인정보 침해 사고가 없도록 기준을 명확히세우겠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26년까지 통합 플랫폼을 만들어 홈택스(국세)·위택스(지방세) 등 현재 분산돼있는 1500여 개의 서비스를 통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장 등은 이날 오전 윤 대통령 주재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에 참석해 세부 방안에 대해 브리핑했다. 윤 대통령은“부처별 칸막이를 없애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면, 이 정보가 융합될 때 엄청난 시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민간의 초거대AI 인프라에 내부행정시스템(온나라) 생성문서, 보도자료 등을 학습시켜 세계 최초로 ‘정부 전용 초거대AI’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은 “정부의 내부 정보로훈련 시킨 초거대AI는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하더라도 그 안에서 따로 분리시켜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의료, 법률 등 전문 분야를 포함한 한국형 초거대AI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올해만 3901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
디지털 플랫폼 시장이 커지면서 우리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부분도 커지고 있지만, 개개인의 정보가 포함된 방대한 데이터를 빼앗기지는 않을지 걱정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사람보다 정확할 AI가 정치적으로 좋은 시너지를 내기를 기대해본다.
첫댓글 어제 기사를 찾아보니 본문 내용에 더해 방대한 정보로 인해 국민들이 놓치기 쉬운 정부 지원 서비스를 인공지능이 개인 상황에 맞춰서 알려주는 '혜택 알리미' 서비스도 구현한다고 하더라고요
아무래도 편리성과 간편함에 초점을 두어 제대로 준비만 하여 성공적으로 시스템을 구축만 한다면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긴 한데, 말씀대로 개인정보 보안문제를 얼마나 잘 해결할 수 있을까가 관건인 것 같습니다. 현재도 해킹이나 도,감청 등 공공 정보나 기밀문서도 정보가 새어나갈 위험이 언제든 있는 상황에 통합한 데이터나 인공지능의 보안 문제를 잘 해결한 다음 진행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기사 덕분에 더 많은 기사를 찾아볼수있었습니다. 1. 아웃링크 서비스를 한가운데 모아 제공하고 2. 챗gpt 열풍에 대응하여 논리적 인과관계에 기술을 개발 3. 개인정보 보호화 활용 균형 등으로 정부용 챗지비티를 만든다는 것이 초거대 AI보유 4개국 주 하나, 세계 1위를 도전하는 모습에서는 우리나라 기술산업에 긍정적으로 봅니다. 그러나 요즘 미국 도/감청 사실 그리고 틱톡과 챗지피티의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이슈로 바이든 정부도 규제안을 마련 착수 할 정도로 말이 많은 상황에서 국민에게 불안감으로 다가갈 수 도 있다는 점도 우려가 있기에 확실하게 보호하는 방안도 제시하면 좋을 듯합니다
너무 서두르는 것보다는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으로 보완해 나가길 기대한단다.
현재 챗 GPT의 완벽하지 않은 서비스를 보완하여 최근 잘못된 정보 확산, 프라이버시 침해 등 생성형 AI 문제점을 보완하여 안심할 수 있는 AI를 기대하게 되네요.
AI 관련해 동의없는 개인 정보 수집이나 유출 사례가 많았습니다. 점점 보완되어 체계적인 AI시스템이 나오고 있지만 아직까지 신뢰도가 높은 것은 아닙니다.
과연 2026년에 만들어진 AI서비스에 제 개인정보를 믿고 제공할 수 있을 지 걱정이 됩니다. 정부가 새롭게 내민 통합 플랫폼 계획의 의도는 좋으나 실현하기에 이른감이 없지않아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