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13장은 은사와 사랑에 대한 내용입니다. 13장은
12:31절부터 시작이 됩니다. ‘가장 좋은 길’은 다른 차원의 길입니다.
성령의 나타나심의 은사와 존재로 임하신 사랑의 차이를 말합니다.
그래서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고 결론을 맺습니다(고전13:13)
사랑은 신앙의 결과요 목적입니다. 완성되고 성취되어야 합니다.
고린도교회는 은사는 있어도 이 사랑의 법이 적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고린도교회의 입장에서 보면 사랑은 장차 되어 질 미래적인 사건으로만 봅니다.
그래서 바울은 그들을 향해 ‘사랑을 추구하라’(고전14:1)고 당부하는 겁니다.
장차에 될 일로 미루지 말고 당장 착수하라는 말입니다. 지금 우리도 그래야죠,
고전13장을 분류하면 1-3절 그리고 4-7절, 8-13절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실 성령의 나타나심의 은사와 사랑은 별개입니다. 그래서 사랑이 오면 부분적인
은사는 끝이 납니다(8-10절) 예수님은 성령의 나타나심도 가지시고 사랑도 가지셨습니다.
그리스도를 모신 바울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이 시대는 은사도 물론 필요하지만
그 은사보다 사랑 곧 그리스도를 모시고 그 분을 나타내야 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1절 "내가 사람의 방언과 천사의 말을 할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소리 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가 되고"
만약 말 속에 핵심인 그리스도의 생명이 없으면 소리 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가 됩니다. 요6:63절의 말씀처럼 말이 ‘영이요 생명’이 되어야 합니다.
설교자의 말을 들어보고 성령의 변성이 된 사람인가 아닌가를 봐야 합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말에 있지 아니하고 능력에 있습니다(고전4:20절)
계시록은 말싸움이라고 보면 됩니다. 선거 유세하는 것과 같습니다.
안 될 것 같으면 거짓말을 하고 중상 비방합니다. 정치판의 말싸움을 자세히 보세요.
2절 "내가 예언하는 능력이 있어 모든 비밀과 모든 지식을 알고
또 산을 옮길 만한 모든 믿음이 있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가 아무 것도 아니요"
‘내가 아무것도 아니요’하는 말씀은 그리스도의 사람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마7:21절과 같이 은사만 있다면 무슨 유익이 있겠는가? 따라서 은사의 사람과
그리스도의 사람은 서로 다를 수가 있습니다. 의료행위를 한다고 다 의사가 아니죠.
그러나 의사의 정신은 오직 의사만 갖습니다. 돌팔이는 병만 나으면 된다는 생각을 갖습니다.
3절 "내가 내게 있는 모든 것으로 구제하고 또 내 몸을
불사르게 내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게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
사랑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 자기 몸을 불사르게 내어주더라도 아무 유익이 없습니다.
이런 것들은 인간의 의지로도 가능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노동계의 전 아무개는
그를 추종하는 사람들이 노동계의 예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 사람의 희생을
비하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 없이도 자신의 몸을 내 던질 수도 있다는 말을 하는 겁니다.
1절의 내용은 은사냐 생명이냐? 하는 말씀이며,
2절은 존재 곧 목사나 집사냐? 그리스도냐? 하는 이야깁니다.
3절은 결과적인 유익이 뭐냐 남은 것이 뭐냐 구원이냐 돈벌이냐? 하는 거죠.
사실 사랑은 다른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본인 자신을 위한 것입니다.
신앙은 자신이 있어야 남이 있는 것입니다. 인간적인 사랑은 배신으로 인한
증오로 끝이 납니다. 그렇지만 영원한 사랑에는 반드시 동반자가 있습니다.
4-7절 ‘사랑은 오래 참고, 온유하며, 투기(시기)하는 자가 되지 아니하며,
자랑하지 아니하며 교만하지 아니하며 무례히 행치 아니하며 자기의 유익을
구치 아니하며 성내지 아니하며 악한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며 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하고 모든 것을 참으며 믿으며 바라며 견디느니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나타나는 행위들인가 아니면 어떤 상태들인가?
‘사랑은 오래 참는 것인데 왜 못 참아’ 이런 식으로 나오지 말아야 합니다.
오래 참는 다는 것은 사람의 성미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예수님은
사랑이 하나도 없는 분이라고 봅니다. 노끈으로 채찍을 만들어 성전의 상을
둘러엎고 유대인들에게 마귀나 독사의 자식들이라는 말을 퍼부었으니 말입니다.
4-7절의 내용은 ‘사랑’의 속성이지 인간의 속성이 아닙니다.
사랑으로 인해 되기도 하는 곧 긍정적인 내용입니다. 또 사랑으로 인해
안 되기도 하는 곧 부정적인 내용입니다. 하기 싫은 것은 근본적으로 싫어집니다.
투기 곧 시기나 자랑 같은 것이 싫어집니다. 안 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저절로 그렇게 되어야 합니다. 그게 바로 사랑인 겁니다. 어떤 행함이 있는 긍정의
요소도 그 사람의 노력이 아니라 ‘그 사랑’으로 인해 본질적으로 그렇게 됩니다.
7절의 모든 것은 바로 ‘그 무엇’입니다. 의미 있는 다수, 여러 가지입니다.
참고 믿고 바라고 견디는 것은 어떤 목적 때문인데 사랑도 목적이 있습니다.
미래가 있다는 말입니다. 사랑의 사람으로 태어난 것이 바로 중생입니다.
사랑이신 하나님의 자녀로 태어났으니 그 사랑을 상속 받는게 당연합니다.
사랑 밖에 없는 사랑의 집 안의 자식이니 남에게 줄 게 사랑 뿐인 겁니다.
하나님의 자녀는 사랑의 사람으로 자라갑니다. 하나님의 책망과 격려와
생명과 양식, 위로, 채찍 그리고 징계를 동원해서 그렇게 양육해 가십니다.
첫댓글 아멘!
할렐루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