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불교 정토회관을 소개합니다.
여인 천하! 부인들만 모여서 법회를 보는 곳이 있답니다. 남편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요? 그분들은 원불교 전무출신으로 전국에 흩어져 있는 원불교 교당에서 교도님들과 법회를 보고, 익산에 거주하며 기관에 근무하시는 전무출신들은 총부에서 법회를 보기 때문에 정토회관에서는 전무출신 권장부(사회에서는 부인이라고 하는데 이곳에서는 권장을 잘해야만 전무출신의 소임을 다 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선지 권장부라고 부른답니다) 즉 정토회원들이 법회를 본답니다. 그러니 여인천하이지요.
그런데 정토회원이라는 명칭은 언제 어떻게 사용하게 되었을까요? 대종사님 당대에는 정토회원을 출가 교역자와 다름없이 관리해 주셨는데 수가 늘고 대종사님께서 열반하시게 되자 일괄적으로 관리하거나 챙겨주는 곳이 없고, 소속이 불분명하여서 애매하던 중 원기 40년(1955년) 6월 2일 정산 종사님으로부터 전무출신 권장부들의 모임을 정토회(正土會)라 명명 받고 회원들의 신앙과 수행을 공고히 하여 불보살의 인격을 도야하고, 회원 상호 간의 화합단결로써 친목을 도모하며, 상부상조로써 정신과 경제의 자립을 확립하여 전무출신의 권장에 힘쓰는 동시에 불보살을 낳고 길러서 공도 사업에 헌신 봉공토록 육성하여 거진 출신의 모범이 되어 교단 발전의 밑거름이 되겠다는 목적으로 정토회가 창립되었답니다.(정토회관 홈페이지에서 인용) 지금은 600여 명의 정토회원들과 함타원 이춘숙회장이, 매월 정토 선원 문을 낭독하며 랑타원 이명수 교무, 박진도 교무, 김인덕 교무, 선타원 양명선 덕무, 황현진 간사 와 함께 정토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정토의 삶이란 어떤 삶을 말하는 것인지 알아 보기 위하여 정토 선언문을 올린다.
랑타원 이명수교감님 단계별 훈련
* 정토 선원문 *
우리는 숙세의 서원으로 일원 대도를 세계만방에 전하여 도덕으로 천하를 구제하는 전무출신의 권장부가 되었음을 자부하겠나이다. 우리는 어떠한 역경 난경을 당할지라도 삼학으로 마음을 잘 쓰고, 사은 보은으로 감사생활을 하여 당하는 곳마다 선법화(禪法化)하고 대하는 일마다 불은화(佛恩化)하겠나이다. 우리는 영겁을 이 공부와 사업을 떠나지 아니하고 스스로 대지(大地)가 되고, 연꽃이 되어서 이 회상과 전 생령을 위하여 무명성자(無名聖者)로 뒤를 따르겠나이다. 우리는 불보살을 모시고, 불보살을 기르며, 스스로 천하 살림을 하여가는 불보살이라는 신념과 사명감을 가지고 일반대중과 교도의 모범이 되겠나이다. 거룩하신 법신불 사은과 대종사님 성령과 삼세 제불제성께서는 저희들의 이 서원을 증명하시고 큰 위력과 은혜를 항상 내려주시기를 간절히 기원하옵나이다. (원기 60년 대산 종사 법문)
원친회 출신 예비 교역자(원광대학교와 대학원 원불교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
원불교의 자랑이며 숨은 일꾼이자 못자리판인 정토회관! 요즘 정토회관에서 원불교적인 삶 정토의 삶을 살기 위한 노력만큼이나 환경을 보호 보존해야한다는 사명감으로 EM을 만들어 보급하는 일에 열중이랍니다. EM을 만들어 환경 운동에 앞장 선 정토회관!! 다음 호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 대종사(大宗師): 원불교를 창건한 교조(敎祖)를 ‘소태산(小太山) 대종사’라 호칭한다. 소태산의 성은 박(朴)씨요. 어릴 적 이름은 진섭(鎭燮)이며 결혼 후 자(字)를 처화(處化)라 하였다. 1916년 깨달음을 얻은 후 스스로 이름을 중빈(重彬)이라 썼으며 소태산은 스스로 쓴 호(自號)이다. * 정산종사(鼎山宗師): 본명 도균, 법명 송 규,, 소태산 대종사의 수제자로 법통을 이은 2대 종법사. * 전무출신(專務出身 : 출가 교도로 심신을 오로지 교단의 발전을 위해 헌신 봉공하는 사람 * 거진출진(居塵出塵): 재가 교도로서 공부와 사업에 노력하여 원불교 교단의 발전에 공헌한 사람. 진흙 속의 연꽃처럼 세간 속의 불보살처럼 몸은 항상 청정법계에 자제하고 생활은 비록 한 가정에 있으나 늘 공도 사업에 앞장서는 원불교 교도. * 정토회원: 결혼한 남자 전무출신의 부인, ‘권장부’라고도 함 * 삼학(三學): 일원의 진리에 바탕하여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수양력, 연구력, 취사력의 삼대력을 얻어가는 공부 길 사은(四恩): 일원상의 진리를 구체적으로 현실화한 은(恩)에 입각한 네 가지 존재분류. 원불교의 긍정적 세계관. 이 세상과 나와의 관계를 은혜로 파악한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세계관으로서 천지은(天地恩), 부모은(父母恩), 동포은(同胞恩), 법률은(法律恩)을 말한다.
|
sim135799@hanmail.net < 웹진 情원ⓒ 김광심기자 >
입력 : 2012-04-11 19:59:44.0
기사 정보 | |
기사코드 | 1084 |
기사요약 | 여인 천하! 부인들만 모여서 법회를 보는 곳이 있답니다. 남편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요? 그 분들은 원불교 전무출신으로 전국에 흩어져 있는 원불교 교당에서 교도님들과 법회를 보고, 익산에 거주하시며 기관에 근무하시는 전무출신들은 총부에서는 법회를 보고, 정토회관에서는 전무출신 권장부(사회에서는 부인이라고 하는데 이곳에서는 권장을 잘해야만 전무출신의 소임을 다 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선지 권장부라고 부른답니다) 즉 정토회원들이 법회를 본답니다. 그러니 여자들만 법회를 보는 것이지요. |
기사종류 | 사진기사 |
읽기권한 | 일반회원 |
상태 | 승인 |
조회수 | 6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