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woarang manual
안녕하세요~ DASH입니다...
메뉴얼이라고 하고 정식으로 쓰는건 처음이군요... 저는 서울 1ST팀 소속입니다... -_-;;;
일단 철권4에서 화랑은 기존 시스템과 약간의 다른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넓게 보면 기술상 약간 바뀌었을뿐 하는 요령은 비슷합니다. 그러니까 철권4에서 화랑을 하실 때 그냥 태그하던대로 하면서 약간의 패턴과 응용을 추가하면 된다는 뜻입니다. 너무 다르게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화랑은 철권4에서 더 강해졌다고 생각합니다.
화랑의 특징
일반적으로 스텝과 화려한 저글(공중콤보)을 생각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이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건 상대를 공격하는 방법입니다. 화랑이 좋은점은 공격패턴이 넓다는 것입니다. 화랑은 스티브나 폴처럼 원투는 빠르지는 않지만 빠른 단발 중단기들이 많이 있습니다. 중단으로 견제해주면서 한방을 노리는 것도 화랑의 특징입니다.
1. < 기본기술 >
a. 중단 견제기
(1) 왼어퍼(3 LP)
화랑 기술중 가장 빠르고 상대공격을 잘씹는 견제기입니다. 딜레이를 커버할때도 쓰입니다.
(2) 오른어퍼(3 RP)
철권4에 들어와서 태그보다는 성능이 떨어졌습니다. 원투가 빠르기 때문에 오른어퍼로 원투를 피하면서 카운터효과를 내는 것은 타이밍상 약간 어려워졌습니다.
(3) 미들백블로우(6 RP)
흠... 꽝펀치 입니다. 엄청난 사용빈도와 패턴중에도 많이 들어가는 최고의 견제기입니다. 중단이고 쓰신후 레버를 중립하시면 오른자세 레버를 밀고 있으면 왼자세로 됩니다.
(4) 보디블로우(3 LP+RP)
방어하다 끊을 때 쓰는 것 보다 공격(하면서 쓰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5) 보들컷(4 RP)
중단은 아니지만... 병따기라고 불리는 기술입니다. 백두산의 기술이었습니다. 이기술이 정말 유용하게 바뀌었습니다. 특히 기술을 쓰면서 횡이동하는 것 때문에 회피하면서 공격이 된다는 겁니다. 시계방향으로 횡이동 한번 하신다음 쓰는것도 상당한 효능이 있습니다. 공격후에는 철권4식의 무궁화콤보가 들어갑니다.
(6) 도끼찍기(일어서며 RK,RK)
이 기술은 화랑 기술중 최고의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빠른 발동속도와 상대공격을 씹는 효과. 상대의 상단을 회피하거나 하단을 막고 쓰는 기술입니다. 단지 도끼찍기로만 공격이 끝나는 것이아니라 히트시키면 우선권이 있기 때문에 2지선다를 걸수 있습니다.
(7) 사이드킥콤보(3 LK,RK)
원투보다 효과가 좋으며 2타에 딜레이를 걸어서 쓸수 있고 막혀도 딜레이가 없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왼자세에서 파생되는 가장 좋은 견제기입니다.
(8) 미들킥(3 RK)
사람들이 잘 안쓰는 기술이지만 딜레이 커버용으로는 최고입니다. 리치는 보디블로우랑 비슷합니다. 기술은 꽤 빠릅니다.
(9) 라이트사이드킥(오른자세 3 RK)
새로운 기술입니다. 오른자세중 몇 없는 중단기이며 추천기술입니다. 기술중에 레버를 앞으로나 뒤로 하고 있으면 플라자세로 됩니다.
b. 주 공격기
-왼자세
(1) 오른반월차기(4 RK)
째차기입니다. 사용빈도는 줄어들었습니다. 철권4에서도 형태는 바뀐게 없지만 카운터히트후 더 이상 추가타를 넣을수 없다는게 단점이 됬습니다. 추가타는 간단하게 1~2대정도 밖에 안들어가는걸로 보여집니다.
(2) 레프트 플라즈마블레이드(4 LK)
왼자세에서도 플라즈마가 나갑니다. 이기술은 오른플라즈마보다 발동이 빠르며 콤보 데미지도 많기 때문에 사용도는 높습니다. 하지만 막힌후 딜레이가 있기 때문에 원투나 초풍에 당하게 됩니다. 상대의 작은 딜레이를 캐치할 때 유용합니다.
(3) 회전 발뒤꿈치내려찍기(66 LK)
크레센트입니다. 기술을 가드시키거나 히트시킨후 우선권이 있습니다. 리치는 약간 짧아진거 같지만 상대를 밀어부칠때는 꼭 필요한 기술입니다.
(4) 푸싱(6 LP+RP)
공격모션에 비해 딜레이는 거의 없으며 발동이 상당히 빠릅니다. 근접한후 쓰시면 유리한상황으로 몰고 갈수 있습니다. 잡기와 모션이 비슷하기 때문에 2지로도 쓸수 있습니다.
(5) 원투 레프트플라밍고(LP,RP,LK)
원투후에 바로 플라밍고를 잡는기술입니다. 레버를 앞으로만 하지 않으면 플라밍고를 잡습니다. 하지만 상대를 가드시키거나 히트시키지 않으면 위험합니다. 상대가 이걸 피한다면 플라밍고 딜레이에 마신권이 카운터 할정도로 딜레이가 큽니다.
(6) 라이트쨉 레프트플라밍고(RP,LK)
투플라입니다. 원투플라와 같은원리고 딜레이는 같습니다. 대신 펀치를 한번하고 플라를 잡는다는 겁니다. 원투플라보다는 안전한 편입니다.
(7) 원투 라이트플라밍고(LP,RP,RK)
원투후에 오른플라입니다.
(8) 라이트쨉 라이트플라밍고(RP,RK)
펀치한번치고 오른플라. 같은원리입니다.
(9) 라이징블레이드(6n23 RK)
젤 높게 올릴수 있는 한방기 스카이입니다. 스카이 후 확정타? 슈돌이 들어가기 때문에 한방 역전기가 됩니다. 상대의 큰 딜레이 캐치를 할때 주로 쓰입니다.
(10) 에어팡(LK~RK)
1타를 맞으면 2타가 가불이지만 맞는 위치에 따라 헛칠수도 있습니다. 이기술은 막혀도 딜레이가 없지만 헛치면 죽음입니다. 상대와의 약간의 거리를 두고 상대가 앞으로 전진하는 순간이 가장 히트할 확률이 높습니다. 카자마진과 대전시 몇안되는 효율적 기술입니다.
(11) 우상단차기-우중단차기(6 RK~RK)
게다리후 빠른중단입니다. 공격후 오른자세가 되며 매우 빠르고 딜레이 없습니다.
(12) 헌팅호크(9 LK,RK,LK)
중단입니다. 대쉬중 캔슬 하면서 쓸수도 있고 웨이브캔슬 후에도 쓸 수 있습니다. 상대의 기상하단을 씹을수 있습니다.
(13) 스텝인사이드킥(6 LK)
엄청난 리치. 정말 뛰어난 회피공격입니다.
-오른자세
(1) 라이트 플라즈마블레이드(6 RK~RK)
레프트랑 같지만 막혀도 딜레이가 별로 없는게 특징입니다. 기술자체가 빨라보이기 때문에 눈으로 보고막는건 불가능합니다.
(2) 쨉 스트레이트(LP,LP)
화랑과 대전하는 사람들은 화랑이 왼자세인지 오른자세인지 한순간에 못느낍니다. 원펀치후 빠른중단펀치입니다. 리치가 길기 때문에 거리조절시에도 씁니다. 하지만 헛치면 딜레이가 있습니다. 가까운 근접전용입니다.
(3) 왼반월차기(4 LK)
왼째입니다. 사용도는 매우 줄었습니다만 우선권있는 공격후 쓰면 상대의 기술을 씹어버리는 고성능 공격입니다.
(4) 컷트백(66 RK,LK)
발동은 상당히 느립니다. 첫타가 중단이고 상대가 가드할 경우 우선권이 있습니다. 그러나 오른자세로 바뀌고 약간의 거리가 생기기 때문에 넣을만한 기술은 플라즈마 밖에 없습니다.
(5) 라이트 리버스킥(RK,RK)
2타 모두 상단이라는 단점이 있으나 발동이 엄청빠르고 딜레이를 줘서 2타를 사용할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기술입니다.
(6) 체인소우힐(RK,LK)
다운공격으로도 쓰이고 잘 앉아있는 상대에게 잘 통합니다. 카운터로 찍히면 낙법불가로 다운됩니다.
c. 응용성 기술
(1) 셋업(오른자세 6 LK)
왼플라밍고로 변환하면서 히트판정을 갖게 됩니다. 판정은 상단이지만 셋업-원이나 셋업-꽝펀치는 딜레이가 없기 때문에 셋업만 단독으로 쓰이지는 않습니다.
(2) 스핀킥(오른자세 4 RK)
플라밍고에서도 나가는 기술이지만 회피능력은 오른자세에서 쓰는게 가장 좋습니다. 확실히 회피가 가능한 기술이지만 근접 원투에는 당하게 됩니다.
(3) 이스케이프 킥(7 RK)
치킨킥입니다. 뒤로 빠지면서 발차기 하는건데 이상하게도 히트판정이 좋습니다. 이기술의 활용도는 더 연구해볼 가치가 있을 듯 합니다.
(4) 우상단차기(6 RK)
왼자세에서 오른플라잡는건데 역시 히트판정이 있습니다. 빠른 쨉이나 찍어차기로 딜레이를 커버할수 있습니다.
(5) 라이트킥(RK 6)
게다리입니다. 추가타는 넣기가 상당히 어려워졌습니다. 간단히 소배트나 힐랜스가 가장 낳을 듯 싶습니다.
d. 레프트 플라밍고
(1) 퀵레프트킥 콤보(6 LK)
플라후 기술중 딜레이가 가장 없는 기술입니다. 상단이니 상대가 피하면 딜레이가 있습니다. 플라잡고 단독으로 쓰이는건 위험합니다. 플라체인지나 적절한 타이밍에 써야 효과가 있습니다.
(2) 레프트로우 & 라이트하이(1 LK,RK)
하단기가 거의 없는 화랑에게 로하이가 하단역활을 해줄수 있습니다. 로하이는 1타가 히트하면 2타가 가불이기 때문에 좋은기술입니다. 상대에 따라 남발도 가능합니다.
(3) 레프트 쨉(LP)
플라중 원쨉은 보통 원쨉보다 빠릅니다. 상단이지만 견제용으로 쓸수 있습니다.
(4) 라이트백블로우(RP)
플라중 꽝펀치입니다. 쓰고나면 오른자세로 바뀌고 가드시킨후에는 우선권이 없지만 히트시
키면 우선권이 있습니다.
(5) 사이드킥콤보(LK,RK)
1타가 카운터면 2타까지 히트하고 시간차 공격이 가능하며 딜레이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상당히 좋은 견제기입니다.
(6) 라이트힐랜스(4 RK)
플라중 유일한 띄우기 공격입니다. 하지만 가드당하면 원투를 맞게 됩니다. 낙법캣취할때도 적절하게 사용하시면 좋은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기술후 오른자세가 됩니다.
(7)레프트엑셀(4 LK)
가드시키면 상대의 축을 돌려놀수 있습니다. 후에 들어가는 기술은 상대가 돌면서 하는 쨉이나 발차기에 잘 끊기기 때문에 약간의 응용이 필요합니다.
(8) 플라밍고 레프트힐(3 LK)
발로찍는 기술입니다. 히트 시켜도 다운되지는 않습니다만 히트후 우선권이 있습니다.
e. 라이트 플라밍고
(1) 퀵라이트킥 콤보(6 RK)
레프트랑 같습니다. 따닥이라고 불리는 기술.
(2) 라이트쨉(RP)
라이트쨉은 앉아서 회피가 가능하지만 가드시켰을 경우 다시 패턴으로 응용할수 있습니다.
(3) 레프트백블로우(LP)
꽝펀치입니다. 대신 자세가 왼쪽으로 된다는게 다릅니다. 역시 좋은 견제기 입니다.
(4) 레프트힐랜스(4 LK)
라이트힐랜스와는 틀리게 왼자세로 변환됩니다.
(5) 라이트엑셀(4 RK)
레프트와 동일합니다. 축이 뒤틀립니다.
(6) 플라밍고 라이트힐(3 RK)
히트하면 무조건 다운되고 추가타가 여러 가지 들어갑니다. 딜레이 없는 2지입니다.
f. 잡기
(1) 서프라이즈 선더힐(RP+RK)
기술이름은 멋있지만 기본잡기입니다. 잡기후에는 컷&퀵이나 레프트플라즈마를 다운공격으로 쓸수 있기 때문에 괜찮은 잡기입니다.
(2) 데몬힐(214 LK)
가장 발동이 빠른 잡기입니다. 역시 다운공격이 들어갑니다. 데미지도 40인 좋은 잡기입니다. 백대쉬 중에도 사용할수 있습니다.
(3) 소드피쉬스로우(21 LP+LK)
기술도중 선입력으로 잡기를 빠른타이밍에 쓸수 있습니다. 푸는건 양손이기 때문에 풀기 어렵습니다. 마찬가지로 다운공격.
(4) 코브라바이트 스로우(66 RP)
이기술은 삑사리 나서 쓰는경우도 많습니다. 웨이브대쉬 - 6 RP로도 쓸수 있습니다.
(5) 볼 브레이커(6 RP+LK)
가장 좋은 잡기라고 생각합니다. 왼어퍼후 연속으로 쓸수 있으며 양손으로 풀어야 합니다. 커맨드가 간단하기 때문에 실전에서 많이 쓰는 잡기입니다.
(6) 애스록(오른자세 RP+RK)
새로 추가된 잡기입니다. 이잡기는 그냥 쓰면 보이기 때문에 오른자세에서 응용해서 써야 합니다. 데미지가 40이라서 한방잡기로도 쓰입니다. 정말 좋은 잡기입니다.
2. < 응용패턴 >
(1) 라이트백블로우(6 RP)
화랑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중단기입니다. 일단 꽝펀치는 작은 딜레이캐치용으로 쓰이기도 하며 플라나 셋업 왼어퍼후에도 딜레이없이 나갑니다. 상대가 가드했을경우는 우선권이 없습니다. 6 RP하시면서 레버를 중립으로 넣으시면 오른자세가 되고 레버를 앞으로 하고 있으면 왼자세가 됩니다. 왼자세는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가드시킨후 우선권이 없을때는 가끔식 스핀킥(4 RK)를 걸어주시면 약간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히트시켰을 경우는 공격형태가 넓어 집니다. 특히 왼째차기는 거의 무적의 판정을 낼 수 있습니다. 안전하게 라이트사이드킥(3 RK)후 플라상태에서 또하나의 패턴이 가능합니다. 또 원째차기(RP,LK)는 카운터 효과를 내는데 좋습니다. 라이트리버스킥(RK,RK)도 마찬가지입니다. 또 상대가 약간겁먹은 상태라면 오른잡기인 애스록(RP+RK)를 넣을수 있습니다. 히트시키면 오른어퍼가 딜레이 없이 들어가니 카운터를 유도할수도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건 셋업으로 넘어갈수 있다는 겁니다.
(2) 셋업(오른자세 6 LK)
히트판정이 있는 플라밍고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셋업후에는 로하이(1 LK,RK)가 하단역활을 해주고 꽝펀치(RP)나 레프트힐(3 LK)등이 중단역활을 해줍니다. 힐랜스는 딜레이가 크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지는 못합니다. 셋업 - 원쨉을 연속으로 사용할경우는 전혀 딜레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상단 견제밖에 할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셋업에서 빠르게 플라체인지(LK+RK)를 하시게 되면 약간의 딜레이가 있지만 상대를 속일수 있는 패턴이 됩니다. 오른플라로 넘어가게 됩니다. 넘어간 후에는 꽝펀치나 라이트힐(3 RK)가 가장효율적입니다.
(3) 도끼찍기(일어서며 RK,RK)
상대의 하단을 막거나 상단을 회피한후도 쓰지만 대부분 웨이브를 캔슬해서 쓰거나 오른자세 캔슬로 씁니다. 오른자세 캔슬은 3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무한도끼에 원리입니다. 도끼찍기를 가드시키면 역시 우선권은 없습니다. 히트시킨후에 가까운거리라면 애스록(RP+RK)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빠른 중단기로 라이트플라즈마블레이드(6 RK~RK)를 쓰는것도 괜찮습니다. 셋업으로 넘어갈수도 있고 왼어퍼로 안전하게 처리할수도 있습니다. 상대가 도끼찍기를 맞고도 공격하려고 하면 퀵&컷(1 RK,RK)가 무적판정으로 들어갑니다. 거리조절을 잘해서 라이트사이드킥(3 RK)를 써주시는 것도 안전한 방법입니다. 또한번 도끼를 쓰는것도 안전할수 있습니다. 오른어퍼는 카운터를 노리고 쓰는 것이 좋습니다.
(4) 라이트사이드킥(3 RK)
기술 후에는 레버를 앞이나 뒤로 입력함으로 플라상태를 만들수가 있습니다. 라이트플라밍고가 되는데 꽝펀치가 가장 안정적입니다. 라이트힐(3 RK)는 리치조절과 타이밍이 어렵기 때문에 가끔씩 써주는게 좋습니다. 라이트사이드킥 후에 플라자세를 잡지 않는다면 오른자세가 되는데 꽝펀치 히트시킨후와 비슷한 판정을 갖게 됩니다. 안전한 쨉스트레이트(LP,LP)를 넣는것도 괜찮습니다.
(5) 레프트로우 & 라이트하이(1 LK,RK)
왼자세나 왼플라에서 많이 쓰이지만 단독으로 쓸수도 있습니다. 기술이 막히면 RK를 빠르게 눌러줌으로 딜레이를 약간이나 커버할수 있지만 2타가 상단이기 때문에 캐쳐당할 위험이 큰기술입니다. 기술을 쓰기전 상대에 방어습관을 보고 쓰는게 중요합니다. 로하이 패턴으로는 플라체인지(LK+RK)후 한번더 로하이가 가능하며 라이트힐(3 RK)나 꽝펀치와 2지를 걸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로하이를 주력기로 사용하는건 한계가 있습니다.
(6) 왼어퍼(3 LP)
히트시켰을 경우 오른어퍼를 쓰는것도 괜찮습니다만 왼어퍼를 맞은 상대는 거의 주춤하게 됩니다. 이때 볼브레이커(6 RP+LK)가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며 레프트플라즈마(4 LK)도 잘먹힙니다. 왼어퍼후 사이드킥콤보(3 LK,RK)는 가장 안정적인 패턴입니다. 히트만 시킨다면 꽝펀치도 무적판정으로 가드시키거나 히트시킬수 있습니다.
(7) 크레센트(66 LK)
중요한 기술입니다. 히트시키거나 가드시키거나 우선권이 있습니다. 하지만 발동시간이 약간 있기 때문에 웨이브 후 사용하거나 오른자세 캔슬후 사용할수도 있으며 왼플라밍고 캔슬후에도 사용할수 있습니다. 캔슬은 밑에 쓰겠습니다. 크레센트후 원투도 씹을정도 무서운공격이 있다면 스카이(6n23 RK)입니다. 빠르게만 쓰면 모든공격을 순간회피후 올릴수 있습니다. 막힌후 딜레이가 크기 때문에 역전용으로 쓰입니다. 크레센트후는 오른자세가 됩니다. 이것을 횡이동으로 캔슬한후 한번더 크레센트를 빠르게 쓸수 있습니다. 크레센트를 히트시키면 라이트플라즈마블레이드(6 RK~RK)를 무적으로 쓸수 있습니다. 막힌후 딜레이도 거의없습니다. 여러 가지 모든기술이 들어갈수 있습니다.
(8) 원투왼플라밍고 or 투왼플라밍고(LP,RP,LK or RP,LK)
사용빈도가 많은 편입니다. 중요한건 원투를 쓸 때 상대가 앉아 있다면 마신권도 그냥 들어가는 최악의 상황이 나옵니다. 플라후 레프트쨉은 딜레이가 가장없고 꽝펀치는 가장 안전한기술입니다. 바로 로하이를 쓰는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중요한점은 로하이를 쓰기전 먼저앉게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원투나 투플라를 히트시켰는데 상대가 공격을 하는 스타일이라면 사이드킥콤보(LK,RK)로 연타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근데 맞고 또 덤비면 사이드킥콤보가 무적판정으로 한번더 들어갑니다. 스티브 같은경우가 많이 개깁니다. 플라체인지후 RK는 카운터히트가 날 경우 스턴으로 됩니다. 이때 간단하게 1 LK+RK를 쓰실수 있습니다. 플라체인지를 하는 경우는 위에 내용을 참조하세요.
(9) 원투라이트플라밍고 or 투오른플라밍고(LP,RP,RK or RP,RK)
좋은 견제기라고 하면 투플라-라이트힐(3 RK)를 말할수 있습니다. 히트하면 추가타가 무지막지하게 들어갈수 있습니다. 마치 공중콤보처럼 때릴수 있습니다. 바로 플라체인지를 시킨후 로하이를 쓰는것도 심리적 압박 상태에서 쓰면 손도 쓸수 없게 할수 있습니다.
(10) 오른 째차기(4 RK)
태그에서는 풍신류와 할때 대표적인 딜레이캐치 기술이었습니다. 기술의 특징이 횡이동하면서 나간다는 것과 히트하면 축이 뒤틀린다는 것입니다. 이것으로 무궁화 콤보도 들어갔었습니다. 4에서는 째차기후 무궁화는 절대 안됩니다. 4에서는 히트시킨후 축이 돌아갔을 때 리버스킥(RK,RK)밖에 별 들어가는 기술이 없습니다. 리버스킥도 확정타는 아닙니다. 방법이 있다면 라이트플라즈마블레이드(6 RK~RK)나 스카이(6n23 RK)정도.
(11) 우상단차기 - 우중단차기(6 RK~RK)
좋은기술입니다. 히트시킨후 약간의 우선권이 있는데 상대의 방어가 허술하면 바로 라이트플라즈마블레이드(6 RK~RK)도 가능합니다. 거의 왼째차기가 많이 쓰입니다.
(12) 게다리(오른자세 RK 6)
카운터 히트할 경우 공중에 뜨게 되는데 효능이 엄청 떨어졌습니다. 실전에서는 거의 소바트나 힐랜스 한방으로 마무리 합니다. 하지만 대쉬 라이트쨉이 안들어가는건 아닙니다.
(13) 보들컷(4 RP)
철권4식의 무궁화 콤보입니다. 일명 병따기라는 기술은 상대의 축을 약간돌리면서 화랑도 시계방향으로 횡이동을 합니다. 이때 상대의 뒤쪽을 잡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상대가 서있다면 투플라힐랜스로 띄울수 있으며 앉아있다면 오른어퍼로 띄울수 있는데 상대에 상태를 보면서 쓸수 있습니다. 상대가 병따기를 맞고 개길때는 한번 더 병따기로 무적판정을 낼수 있습니다.
3. < 공중콤보 >
콤보는 난이도가 쉬운 실전용입니다.
a. 왼플라즈마 콤보
(1) LP,RP,LK - LP - RP,LK - 6 LK~LK or 66 RK(첫번째 LP No Hit)
(2) LK~RK - LP,RP,LK - RK
(3) LP,RP,LK - LP - LK~RK
(4) LK~RK - 6 LP+RP
(5) LP,RP,RK - RP - RK,RK
(6) LP,RP,LK - LP - LP,RP,LK - RK
(7) LP,RP,LK - LP - RP,RK - 4 LK
(8) LK+RK - RP,LK - RP,LK - RK
b. 오른플라즈마 콤보
(1) 6 LK - LK+RK - RP - RK,RK
(2) 6 LK,LP - LP,RP,LK - RK
c. Left플라 - Right 힐랜스 콤보
(1) 6 LK,LP - 66 RK
(2) 6 LK,LP - RP,LK - RK
(3) 6 LK - 4 RK
(4) 6 LK,LP - 1 LK+RK
d. Right플라 - Left 힐랜스 콤보
(1) LP,RP,LK - LP - RP,LK - 4 RK
e. 카운터라이트힐 콤보
어퍼후에 상황과 같습니다. 원투가 들어갑니다.
f. 스카이 콤보
(1) 6 LK+RK - LK~RK - 벽 - 1 LK+RK - 다운공격
4. < 스텝 >
(1) 크레이지 스텝
화랑의 기본적인 스텝으로 LK+RK로 발을 바꾸면서 오른자세에서 움직이는 스텝입니다. 오른자세에서 대시나 빽대시는 반경이 넓기 때문에 거리조절을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크레이지는 횡이동 - LK+RK - 빽대쉬 - LK+RK 입니다. 여기서 나름대로 변형할수 있습니다.
(2) 스네이크 스텝
원래는 풍신류에 스텝이었지만 철권4에서는 화랑이 가장 빠릅니다. 커맨드는 웨이브 - 횡이동의 반복입니다. 스네이크 중 왼플라는 회피반경이 더플이나 트리플보다 넓습니다. 이것이잔상만 남고 빠른 스피드가 나오면 광스네이크라고 합니다.
(3) 횡신캔슬
횡이동을 계속해서 캔슬하는 스텝인데 실전에서는 별로 쓸모 없습니다. 단지 도발할때만 쓰일뿐이죠. 붕권정도는 피할수 있습니다. 커맨드는 LK+RK - 4 - 횡이동 반복입니다.
(4) 폭스스텝
일종의 버그성 스텝인데 커맨드는 왼자세에서 LK+RK - LP+RP - LK+RK - 66 입니다. 4에서는 폭스스텝을 9로 캔슬한후 발을 한번 더바꾸고 폭스를 또 연결할수 있습니다. 이것이 무한폭스입니다. 오른자세로 바꾼후에는 뒤돈상태에서 오른자세기술이 나갑니다.
(5) 역 폭스스텝
일종의 도발스텝으로 폭스스텝 마지막 부분인 66을 44로 해주시면 화랑이 상대편쪽으로 빽점프를 해서 다가갑니다. 여기서 나가는 기술은 딸랑 중단킥입니다. 발아무거나 누르시면 나갑니다.
5. < 화랑 기본운용 >
공격은 앞에 설명한것과 같이 하면 됩니다. 방어하실때는 공격을 막는것보다 피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피한후에는 작은딜레이일 때 바로 왼플라즈마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더 작은 딜레이일 경우에는 원투플라가 좋습니다. 큰 딜레이는 스카이가 실용적입니다. 왼플라즈마는 빠른 중단 띄우기지만 막히면 원투나 초풍을 맞습니다. 진의 경우는 나살문이 들어가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합니다. 스카이는 막히면 왼플라즈마를 맞을정도로 딜레이가 있습니다. 화랑이 그냥 뛰어가서 잡기를 한다면 상대방은 그냥 앉아서 피할겁니다. 그냥 잡기를 쓰는게 아니라 페인팅을 걸어줘야 합니다. 계속이은 빠른 중단에 앉을수 없는 상대는 갑자기 나오는 잡기를 예상하지 못합니다. 또 짧고 빠른 스텝후에 바로 커맨드 잡기를 쓰는것도 괜찮습니다. 약간 거리가 있을 때 견제기는 에어팡이 가장 좋습니다. 의외로 빠르면서 판정도 좋습니다. 상대에게 다가갈때는 스네이크 스텝이 가장좋습니다. 빠르게 다가간후 왼플라자세를 잡거나 잡기를 쓰는것도 유용한 운용방법입니다. 플라체인지는 상대를 밀어부칠 때 중요한 페인팅으로 통합니다. 원쨉에 어이없이 끊기지만 빠른중단으로 커버하면서 쓰면 상대는 한동안 가드를 하고 있어야 합니다. 화랑으로 하면 방어가 약해질수 밖에 없습니다. 가까운 거리에서는 다른캐러와 같이 원투싸움을 하는 것은 약간의 무리가 있습니다. 사이드킥콤보와 왼어퍼, 라이트사이드킥이 빠르고 확실한 견제기가 될 수 있습니다. 화랑의 기본은 한가지 패턴이 아니라 스텝 + 패턴조합이기 때문에 골고루 써줘야 상대를 말리게 할수 있습니다. 잡기를 칼타이밍으로 쓰는것도 강력한 화랑을 만들 수 있습니다.
6. < 화랑 꽁수 >
(1) 오른자세에서 빠르게 왼자세로 캔슬하는 방법
오른자세중 7입니다. LK+RK보다 빠르게 자세를 바꿀수 있지만 약간의 시간차를 줘서 바꿔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2) 플라캔슬
가볍게 커맨드 입력후 레버 중립입니다. 왼플라 캔슬후에는 레버를 앞으로 해줌으로 대쉬가 됩니다. 대쉬후에 모든기술이 나간다는 뜻입니다. 6 LK는 크레센트, 6 RK는 바주카킥입니다. 이걸 응용하면 6 RP는 잡기로 쓸수 있습니다. 그다지 빠르지는 않지만 상대가 방어하고 있다면 잘 통합니다. 오른플라 캔슬후에는 빠른 플라즈마블레이드와 애스록잡기를 2지로 걸수 있는데 애스록잡기는 왼플라캔슬보다 빠릅니다.
(3) 오른자세에서 캔슬대쉬하는법
오른자세 상태에서 6 LK+RK누르면 앞으로 하면서 자세가 바뀌는데 이상태에서 6을 한번더 해주면 대쉬가 됩니다. 위에 기술을 모두 쓸수 있습니다.
(4) 힐랜스 낙법캣취
상대가 옆낙법을 할때 타이밍을 맞춰서 힐랜스로 낙법 캣취를 할수 있습니다. 기술 응용법은 상당히 많은 편입니다.
(5) 왼플라즈마 낙법캣취
상대가 뒤로 구를 때 쫓아가서 올릴수 있습니다. 스카이로도 가능합니다.
흠... 대충 이정도로 첫 번째 매뉴얼을 다 썼습니다. 2일 걸렸군요... -_-;;;
많은 분들이 이걸 보시고 화랑에 대해 더욱 이해하실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화랑으로 여기 나온 것 정도만 마스터 하시면 기본적으로 실전에서 쓰실수 있을겁니다. 역시 자신만의패턴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모두 즐철하시길... (__;)
DASH_1st
이정범 흑.......잘쓰셨다.....
내매녈 지워야하나 -.-;
2001/11/04
이정범 병따기 무궁화라.....있는지도 몰랐던 나.......역시난 하수라네...............
2001/11/04
이정범 그런데 데몬힐보다 소드피시드로우가 더 빠른걸로 알고있거덩여 -.-? 이것도 내가 잘못알고있는건가....ㅠㅜ
2001/11/04
고동현 동영상 봤는데여... 정말 멋졌슴다...
화랑은 고수용 캐릭이어서 좀(사실은 많이)선택하지 않는 캐릭이었는데... 참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2001/11/21
허접화백 텍센동영상찍은분중 한분이신거같은데 맞져? 멋진 콤보들 보고 감동했습니당^^; 멋진 매녈 감사합니당
2001/12/18
이정범 9) 라이트사이드킥(오른자세 3 RK) ^^;
이거 조금 수정하셔야할듯 ^^; 태그에서는 플라켄슬이 안되던거였구여~ 있긴있었어여 약간 삽질같은 모션 -_-;
2002/01/20
이정범 소드피시드로우가 양손으로 푸는거였던가여? -0-내메녈에 왼손으로 푸는거라 쓴듯 -_-;
2002/01/20
밀리터리화랑 구런데 콤보가 아쉽게도 좀 부실하군여..벽 콤보도 따로 적어줬으면
좋았을텐데...
2002/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