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하 청색 글씨는 실사(實査)에 의한 수정 부분(또는 참고 사항임) |
재질은 화강암과 안산암, 안산암질 낙암 등 주위에서 구하기 쉬운 암석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형태도 다양한 편이나 장방형 계통에 가까운 편이 많고 주위에서 무문토기 편들이 채집되고 있다.
지석묘는 청동기시대 묘제(墓制) 중의 하나로서 지상에 대석(大石)을 올려 봉분(封墳)을 삼는 형식인데 일명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지석묘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여 보면 북방식과 남방식으로 분류 할 수 있으며 북방식은 두 개 내지 세 개의 지석 위에 넓적한 큰 돌을 얹히는 탁자식의 방식이며 남방식은 지하에 냇돌 또는 관석으로 묘실(墓室)을 만들고 머리 크기 정도의 돌로 지석을 한 다음 그 위에 상석을 얹기 때문에 큰 바위가 땅에 놓여 있는 것 같이 보인다.
평현리, 야촌리, 심천리, 다정리, 상가리, 죽전리 평산리, 서호리, 대곡리, 당항리, 서대리, 관당리 등 100여 기가 분포되어 있는 지석묘는 모두가 남방식 또는 개석식으로 마제석검(磨製石劍), 토기 등이 출토되기도 하였다.
(1) 남해다정리 지석묘 현황
소재지 |
지목 |
지석묘 (기수) |
비 고 | ||
읍∙면 |
리 |
지번 | |||
이동 |
다정 |
911-5 |
임 |
5기 |
지번(911-5)의 임야 외 지번은 최근 경지정리로
모두 지번이 변경됨
|
1001 |
사 |
3기 | |||
988 |
사 |
1기 | |||
1193 |
사 |
1기 | |||
1028 |
사 |
1기 | |||
1117 |
대 |
1기 | |||
945-1 |
도 |
1기 | |||
899-1 |
전 |
1기 | |||
계 |
14기 |
(2) 금석마을 소개
|
다정리 (금석마을) 금석마을은 옛날 이곳에 김석(金石)이란 부자가 살았다 하여 그 이름을 따서 금석이라 이름하였다고 한다. 마을에는 들판 한곳과 주변에 신석기시대의 지석묘가 있다. 우리 조상들은 귀한 아들을 낳았을 때 아들을 바위에 팔고 바우라는 이름을 지어 주면서 바위와 같이 영원한 장수를 기원하는 풍속이 있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다정리 지석묘 중 군집 지석묘 8기는 현재 농로를 따라 11~12m의 간격을 두고 북두칠성의 모습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사방 1km 이내에 6기의 지석묘가 있다. 외형상 모두 바둑판식 지석묘로, 덮 |
개돌의 규모는 긴 쪽이 250cm 짧은 쪽이 180cm 높이는 1m 정도이다. 또한 금석마을 주민들은 마을의 평안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해마다 정성껏 동제를 지낸다. 산이 좋고 물이 좋아 외지 사람들이 매우 부러워한다. 오염이 될 수도 없어 마을 주민들은 이것 하나만은 대한민국 어디서든 자랑하고픈 대목이다. 금석마을은 원예시험장 남해출장소, 기상대, 남해농업기술센터가 있다.
(1) 마을 당산제 : 야제, 음력10월 15일 24시, 마을의 재앙을 몰아내고 풍년을 기원 (2) 주요지명 및 유래 ① 납산모(3반) : 납산 밑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불려짐 ② 용쏘 : 납산골 하류에 자리 잡고 있는 깊이 3.5m 너비 약 16m 가량의 물이 괴인 늪으로 예전 에는 기우제를 지냈고 용이 살았다하여 용쏘라고 불려짐 |
(3) 남해다정리지석묘(南海 茶丁里 支石墓) 안내판
■ 지정번호 : 도 기념물 제62호 ■ 지정일자 : 1983. 7. 20 ■ 소재지 : 남해군 이동면 다정리 911-5번지 외 7필 ■ 규모 : 14기. 평균 상석 180cm~250cm ■ 부속물 : 안내판, 민묘 ■ 시 대 : 청동기시대 ■ 관리자 : 남해군 |
남해다정리지석묘(南海 茶丁里 支石墓) 경상남도 기념물 제62호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다정리 지석묘(支石墓)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가운데 하나로, 고인돌 또는 돌멘(dolmen)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지석묘는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蓋石]을 올려놓은 탁자식[北方式]과 땅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놓은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南方式]으로 구분된다. 이곳 다정리 금석마을 지석묘 중 군집 8기의 지석묘는 현재 들판의 농로를 따라 11~12m의 간격을 두고 북두칠성의 모습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사방 1km 이내에 6기의 지석묘가 있다. 외형상 모두 바둑판식 지석묘로, 덮개돌의 규모는 긴 쪽이 250cm, 짧은 쪽이 180cm, 높이는 1m정도이다. 땅속에 마련된 하부 구조는 정확한 형태를 알 수 없지만, 이와 유사한 지석묘의 하부 구조로 볼 때 상자 모양의 돌널[石棺]일 가능성이 크다. 이 주변 일대에서는 청동기 시대의 민무늬 토기 조각들이 발견되고 있어, 이곳이 청동기 시대에 남해 지역의 주요 생활 근거지 중의 하나였음을 짐작케 하고 있다. 이밖에도 남해군에는 남변리 평현리 심천리 등 관내 각지의 해안 평야와 창선도에 이르기까지 지석묘들이 폭넓게 분포되어 있어 청동기 시대의 남해 지역 문화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
3. 남해다정리지석묘의 위치도 자료 : 지번 중심 항공사진, ○(지석묘 위치)
자료 : 항공사진, 지석묘, 의 위치와 사진
※군집지석묘(①~⑧)
(1) 북두칠성(북두팔성)형으로 배치된 군집 지석묘 8기
이름 (북두팔성) |
동양 이름 |
바이어 목록 |
겉보기 등급 |
거리 (광년) |
지석묘의 배치 간격 | ||||
① |
두베(Dubhe) |
천추(天樞) |
α UMa |
1.8 |
124 |
1~2 |
7m 50cm | ||
② |
메라크(Merak) |
천선(天璇) |
β UMa |
2.4 |
79 |
2~3 |
10m 15cm | ||
③ |
페크다(Phecda) |
천기(天璣) |
γ UMa |
2.4 |
84 |
3~4 |
8m 66cm | ||
④ |
메그레즈(Megrez) |
천권(天權) |
δ UMa |
3.3 |
81 |
4~5 |
11m 70cm | ||
⑤ |
알리오츠(Alioth) |
옥형(玉衡) |
ε UMa |
1.8 |
81 |
5~6 |
7m 56cm | ||
⑥ |
미자르(Mizar) |
개양(開陽) |
ζ UMa |
2.1 |
78 |
6~7 |
6m 10cm | ||
⑦ |
알코르(Alcor) |
기수(騎手) |
ζ UMa |
3.9 |
78 |
7~8 |
13m 68cm | ||
⑧ |
알카이드(Alkaid) |
요광(搖光) |
η UMa |
1.9 |
101 |
4~1 |
13m 80cm | ||
|
|
|
(2) 지석묘 14기의 실태
① 군집 지석묘 8기
① 두베(Dubhe) |
② 메라크(Merak) |
③ 페크다(Phecda) | ||||||
|
|
| ||||||
길이 |
너비 |
높이 |
길이 |
너비 |
높이 |
길이 |
너비 |
높이 |
263cm |
200cm |
120cm |
230cm |
175cm |
140 |
160cm |
135cm |
40cm |
위치 : 다정리 911-5 |
④ 메그레즈(Megrez) |
⑤ 알리오츠(Alioth) |
⑥ 미자르(Mizar) | ||||||
|
|
| ||||||
길이 |
너비 |
높이 |
길이 |
너비 |
높이 |
길이 |
너비 |
높이 |
240cm |
150cm |
100cm |
160cm |
195cm |
70cm |
275cm |
225cm |
80cm |
위치 : 다정리 911-5 |
위치 : 다정리 911-5 |
⑦ 알코르(Alcor) |
⑧ 알카이드(Alkaid) | ||||
|
| ||||
길이 |
너비 |
높이 |
길이 |
너비 |
높이 |
293cm |
135cm |
87cm |
410cm |
165cm |
75cm |
위치 : 다정리 1001 |
* 거대한 바위를 이용해 북두칠성의 별자리(북두칠성 등)를 나타낸 지석묘의 예
ㄱ> 바위에 직접 별자리를 새김 : 황남 은천군 정동리, 함남 함주군 지석리, 함남 함주군 원화리.
대전 비래동, 등
ㄴ> 바위 자체를 하나의 별로 간주함 : 창녕군 계성면 광계리, 전주시 완산구 교동 7-1, 화순군
도아면 대초리, 사천시 신벽동 494번지 등
② 외곽 지석묘 6기
|
|
| ||||||
길이 |
너비 |
높이 |
길이 |
너비 |
높이 |
길이 |
너비 |
높이 |
330cm |
190cm |
140cm |
230cm |
230cm |
140cm |
240cm |
190cm |
130cm |
위치 : 다정리 988 |
위치 : 다정리 1193 |
위치 : 다정리 1128 |
|
|
| ||||||
길이 |
너비 |
높이 |
길이 |
너비 |
높이 |
길이 |
너비 |
높이 |
230cm |
180cm |
140cm |
230cm |
180cm |
93cm |
175cm |
110cm |
65cm |
위치 : 다정리 1117 |
위치 : 다정리 945-1 |
위치 : 다정리 899-1 |
비고 |
① 다정리 988의 지석묘 : 목동자리(아르크투루스)의 성좌 ② 다정리 1117의 지석묘 : 경지정리 및 농로 확장으로 땅에 묻었다가 마을의 우환이 두려워 1995년경 인력(人力)으로 복원했지만 기반을 바로잡지 못해 32°쯤 남쪽으로 기울려 져 있음. 별자리 암각이 있음 ③ 다정리 945-1의 지석묘 : 보존의 시급성이 요망됨 ④ 다정리 899-1의 지석묘 : ‘보물섬마늘나라’ 센터 건립 시 개석이 바뀌면서 방향(남서 ↔북 동)도 바뀜 ⑤ 다정리 796-4의 지석묘 : 국도 확장으로 훼철(毁撤) |
(4) 지석묘 14기의 규모 (단위 Cm)
길이 |
너비 |
높이 | ||||
군집 지석묘 (8기) |
다정리 911-5(임) |
5기 |
❶ |
263 |
200 |
120 |
❷ |
230 |
175 |
140 | |||
❸ |
160 |
135 |
40 | |||
❹ |
240 |
150 |
100 | |||
❺ |
160 |
195 |
70 | |||
다정리 1001(사) |
3기 |
❻ |
275 |
225 |
80 | |
❼ |
293 |
135 |
87 | |||
❽ |
410 |
165 |
75 | |||
외곽 지석묘 (6기) |
다정리 988(사) |
1기 |
330 |
190 |
140 | |
다정리 1193(사) |
1기 |
230 |
230 |
140 | ||
다정리 1128(사) |
1기 |
240 |
190 |
130 | ||
다정리 1117(대) |
1기 |
230 |
180 |
140 | ||
다정리 945-1(도) |
1기 |
230 |
180 |
93 | ||
다정리 899-1(전) |
1기 |
175 |
110 |
65 | ||
평 균 |
247.6 |
175.7 |
101.4 |
4. 보호 및 정비의 시급성 지석묘 3기
(1) 다정리 1117(대) 1기
(지석묘 앞의 표지판) |
마늘나라▶고인돌▶돌팍걸▶마을회관 1321걸음. 22분 금석마을의 고인돌은 남해에서 그 규모가 가장 크고 집단화되어 있다. 총 16기가 보고되었으며 지금은 농로를 따라 11~12m의 간격을 두고 모두 8기가 보존되어 있다. 땅속의 하부구조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이와 유사한 지석면의 하부 구조로 볼 때 상자 모양의 돌널(석관)일 가능성이 크다. 주변에서 청동기 시대의 민무늬 조각들이 발견되어 금석마을 일대가 청동기 시대의 주요 생활 근거지임을 알 수 있다. 옛 사람들은 고인돌이 놓아진 형태가 북두칠성을 닮았다하여 고인돌을 신성하게 생각하였으며 매년 음력 10월 14일 고인돌에 제사를 지낸다. | |||||||
불규칙한 반 퇴적암 개석의 지석묘 위쪽과 측면(북쪽)에 헌원 중심의 성좌로 확인할 수 있는 봄철의 별자리 25성수와 태양 상징의 암각이 있음 --- (자료 : 천상열차분야지도) * 헌원(軒轅) : 성수(星宿). 사자, 살쾡이(3579,3612,38,α,Lyn,-,15,κ,λ, ε,μ,ζ,γ1,η,α,ο,ρ Leo). 중국신화의 용맹한 왕. 17수 * 관(爟) : 귀수(鬼宿). 게(ψ,λ,φ,15 Cnc). 봉화. 4수 * 내평(內平) : 성수(星宿).작은사자(22,21,13,20 LMi). 법관. 4수 * 귀(鬼) : 귀수(鬼宿)와 같음. 게(θ,η,γ,δ Cnc). ◎. 귀신이 탄 가마. 5수 |
| |||||||
|
|
|
|
|
|
| ||
※ 경지정리 및 농로 확장으로 땅에 묻었다가 마을의 우환이 두려워 1995년경 인력(人力)으로 복원 했으나 기반을 바로잡지 못해 32°쯤 남쪽으로 기울려져 있음 | ||||||||
* 재 복원 요망 - 기반과 측면(북쪽)에 성혈이 있는 것으로 보아 기반을 바로 복원할 경우 측면 (남쪽)에도 성좌(또는 성혈)가 있을 것으로 추측됨 |
+
+
=
(2) 다정리 945-1(도) 1기
|
고추 암각(반석 위쪽) |
* 실물(사진) |
* 다남 기원 및 상징의 암각이 개석 위쪽(북동쪽)에 있는 본 지석묘는 남녀노소의 쉼터 또는 행인의 유락물로 이용되어 훼손이 우려되며 개석의 균열마저 심해 보호가 시급함 |
(3) 다정리 899-1(전) 1기
|
1. 본 지석묘는 ‘보물섬마늘나라’ 건축 시 개석이 바뀌었고(‘보물섬마늘나 라’조경석과 석질이 같음)
2. 방향(북동↔남서로)도 변경됨. |
답사 장면 |
● 다정리 796-4 (도) 1기 -------- 국도 확장 및 경지정리로 훼철
● 지석묘 1기 확인(발견) : 초음리 1624-3
1) 규모(대형)
높이(3m 90cm) 너비(3m 90cm) 길이(6m 65cm) 둘레(13m 95cm)
2) 상태
19번 국도에 접해있는 본 지석묘는 국도 확장 및 소유주의 경작 등으로 지반이 약해져 동남쪽 으로 5~10° 정도 기울어진 것으로 추측됨. 대숲[밭]과 담쟁이덩굴에 싸여 방치된 상태.
3) 부속물
지석묘 개석에는(군수 2명, 현령 1명, 직원 1명 - 도로변에서 쉽게 볼 수 있음) 4명의 마애각 (磨崖刻) 불망비가 새겨져 있고 따로 지석묘 왼편에 참봉 1명의 시혜비가 있음.
①불망비
○ 行郡守成侯斗植不忘碑 檀紀四二五四年五月 日 ○ 行郡守徐侯基殷不忘碑 檀紀四二四七年二月 ○ 行縣令蔡侯翼永不忘碑 嘉慶十二年季夏 ○ 前直員李時鳳不忘碑 檀紀四二八四年辛卯四月 |
군수 성두식 단기 4254년(1921.05. .) 군수 서기은 단기 4247년(1914.02. .) 현령 채익영 가경 12년(1807. 여름) 직원 이시봉 단기4284년(1951.04. .) |
②시혜비
○ 前元陵參奉金喜祚施惠碑 |
원릉 참봉 김희조 |
4) 확인(발견) 동기 : 암각화 조사 연구 및 남해다정리지석묘 조사 연구 과정에서 개석과 받침돌 확인.
남해다정리지석묘와 동일 방향. 주변 평지.
5) 지석묘 확인 자료 및 답사 이미지
|
|
|
현재 상태 |
국도변에 접해 있는 지석묘 |
불망비, 시혜비 조사 |
|
|
|
개석 남쪽의 지석(받침돌) |
개석 북쪽의 지석(받침돌) |
실측 답사 |
5. 조사 연구의 성과
○ 다정리(지번 911-5, 지번1001)의 군집 지석묘 8기는 북두칠성 형태로 배치되어 있음
○ 다정리 (지번 1117)의 1기에는 헌원성좌도(별자리. 서양 별자리로는 사자자리인 레굴루스 에 해당)
의 암각이 있음
○ 다정리 (지번945-1) 1기에는 다남 기원 및 상징의 암각이 개석 위 북동쪽에 있음
○ 899-1의 지석묘 1기는 ‘보물섬마늘나라’ 건축 시 개석이 바뀌었고 방향(북동↔남서로) 도 변경
됨.
○ 지석묘의 형태, 배치, 규모, 군집 지석묘의 유형 및 간격 확인
● 초음리(1624-3)에 위치한 지석묘 1기 확인(발견)
6. 맺음말
청동기시대의 문화유적인 남해다정리지석묘 중 군집 지석묘 8기는 현재 농로를 따라 평균 11~12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북두칠성의 형태로 자리하고 있어 한반도의 군집 지석묘와 맥을 같이하며 그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그러나 사방 1km 이내에 있는 외곽 지석묘 6기 중 3기는 그 보존 상태가 매우 좋지 않으며 훼손마저 우려된다. 외곽 지석묘 6기도 성좌의 위치와 유관하다, 현존 남해다정리지석묘는 14기이다.
도 기념물 제62호로 지정된 남해다정리지석묘의 군청 문화재 관계 홍보 자료 및 웹 자료나 현지 홍보 안내판 등에는 지석묘의 기수, 형태, 지번, 간격, 규모, 위치와 현황이 사실과 판이하게 기록되어 있다.
요목 |
군청 문화재 관계 홍보 자료 및 웹 자료나 현지 홍보 안내판 등의 기록과 내용의 오류 |
수정안 (바르게 고쳐야할 사항) |
기수 |
안내판 : 11기, 웹 자료 : 15기, 16기, 17기 |
14기 |
형태
배치
거리 |
다정리에 소재하고 있는 지석묘는 남방식과 개석식 지석묘로서 논밭사이에 약 8기가 거의 일렬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
다정리에 소재하고 있는 지석묘 14는 남방식의 개석식이며 군집 지석묘 8기는 북두칠성의 모습으로 배치되어 있다. |
지석묘의 간격은 대개 3~4m를 유지하고 있으며 주위에는 분묘(墳墓)도 함께 있다. 개석(蓋石)은 긴 쪽이 4m 정도이고 짧은 쪽은 2m 정도로서 높이는 1.3m~1.8m에 달한다. |
지석묘의 간격은 대개 11~12m를 유지하고 있으며 주위에는 분묘(墳墓)도 함께 있다. 개석(蓋石)의 규모는 긴 쪽 이 250cm, 짧은 쪽이 180cm, 높이는 1m 정도이다. | |
소재지 |
남해 지석묘 현황 중 다정리 지석묘 현황 |
남해 지석묘 현황 중 다정리 지석묘 현황(P3 참조) |
최근 농로 확장, 경지정리, 기관산업 시설에 의한 외곽 지석묘 3기에 대한 무관심과 훼손은 심히 안타까운 일이나 현존 지석묘 14기의 영원한 보호와 대책은 오늘을 사는 우리의 중대한 과제와 책임이다.
제 목 |
도 기념물 제62호 남해다정리지석묘의 바른 이해 |
성 명 |
조 세 원(趙 世 元) 성별 : 남 |
본 적 |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다정리 1726번지 |
주 소 |
경상남도 사천시 벌리동 450 - 20 |
주민번호 |
480510-109**** |
전 화 |
집 : (055)-832-3482 / 휴대 : 010-4932-3482 |
|
csw0066@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