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목 |
펠릿 |
휘발유 |
등유 |
경유 |
발열량 |
4,500k㎈/㎏ |
8,300k㎈/ℓ |
8,700k㎈/ℓ |
9,200k㎈/ℓ |
* 같은 열량 기준으로 하면 난방유 가격의 절반이하입니다.
*상품명: 목제펠릿(20kg) * 판매금액: \12.000원
미래 신재생에너지로 목재 펠릿(목재 잔재를 압축해 작은 알갱이 모양으로 만든 원료)이 각광받고 있다. 정부가 지난해 6월 ‘에너지 수요 관리대책’을 통해 2012년까지 농가 주택 4만 가구와 전체 원예시설 난방의 8.3퍼센트를 목재 펠릿으로 대체하고, 생산능력도 75만 톤(국내 40만 톤, 해외 35만 톤)으로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했을 만큼 대체에너지로서의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유럽과 북미는 물론 일본과 동남아시아에서도 이미 오래전부터 대체 에너지로 상용화됐다.
목재 펠릿은 무엇보다 난방용 석유 대체 연료로 가격 및 공급 잠재력이 우수하다.
산림청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연료별 동일열량 가격 비교표에 따르면 목재 펠릿의 가격은 경유의 절반, 보일러 등유의 82퍼센트 수준이다. 발열량은 무연탄에 버금가고, 발열량당 가격도 도시가스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농촌과 산촌 지역에선 난방 유류 대체에너지로 적합한 조건을 갖췄다. 공급량 측면에서 보면 벌채, 숲 가꾸기 등으로 발생하는 원목 및 부산물 약 6백40만 세제곱미터 중 2백만 세제곱미터를 목재 펠릿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약 1백만 톤을 생산할 수 있는 양.
에너지 절감 효과도 이미 검증됐다. 농촌진흥청이 2008년 펠릿 난방기를 개발해 대관령 고랭지 농업연구센터에서 동절기(6개월) 실증 연구를 벌인 결과 2007년 경유를 사용했을 때보다 연료를 46.4퍼센트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새로운 대체에너지로 경쟁력이 입증되면서 난방용과 원예시설용 목재 펠릿 시스템 보급도 확산일로에 있다. 지난해 전남 8백50대, 충북 7백50대 등 농촌지역에 가정용 소형 보일러 3천 대가 보급됐다. 올해에는 원예시설 1백60헥타르에도 펠릿 난방기를 시범 보급할 예정이다.
청와대 윤진식 정책실장도 지난 3월 20일 경기도 펠릿 생산시설을 방문한 자리에서 목재 펠릿의 전국적 확대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농촌 마을회관과 경로당에 펠릿 보일러를 보급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은 바 있다.
목재 펠릿의 소비를 활성화하려면 안정적인 공급도 중요하다. 원료비를 낮추는 것이 최대 관건인 만큼 목재 펠릿 생산시설도 꾸준히 신설되고 있다. 2008년 경기 여주(여주목재유통센터)와 전북 군산에 시간당 2톤의 펠릿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이 들어선 이후 올해 3월까지 19개 생산시설이 펠릿을 생산하고 있거나 시공 중이다.
가축 분뇨를 이용한 저비용, 저탄소형 바이오가스(SCB-M) 생산기술 및 벼 이앙·제초 작업 로봇화 기술도 실증 연구가 진행 중이거나 시범사업이 예정돼 있다. 가축 분뇨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기술은 가축 분뇨나 도축 폐기물 등에서 바이오가스와 퇴비단(SCB)을 얻어내고 이로부터 다시 전기와 퇴비와 액체 비료를 확보하는 것으로, 현재 10개소에서 생산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 미래 신재생에너지 목재 펠릿 농촌지역 등 확산 추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조승희 박사는 “이와는 별도로 농림수산식품부 주도하에 올해 3개 시범사업자가 새로 선정될 예정이며, 시범사업이 마무리되면 평가를 거쳐 2020년까지 가축 분뇨 에너지화 시설을 추가로 1백 개 정도 신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벼 이앙·제초 작업 로봇화 기술에선 작업과 생육 상황을 점검하는 로봇 플랫폼과 자율항법, 레이저 시각장치 개발이 핵심으로 아직은 연구 단계에 있다.
청와대 농수산식품비서관실 김덕호 행정관은 “농업 분야에서 처음으로 지열과 목재 펠릿이 신재생·대체에너지로 개발되고 보급이 점차 늘어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지열은 기술적 한계를 계속 검증해야 하고, 목재 펠릿은 시설 농가가 적극적으로 선택해줘야 하는 과제가 있지만, 에너지 절감과 탄소배출량 축소에서 눈에 띄는 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 행정관은 또 “앞으로 농가의 호응 추세에 맞춰 신재생·대체에너지 보급을 위한 규제 개선과 세제 지원 방안도 다각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