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부학연결선의 보편적이고 특유한 개념들에 대한 명확한 전달.
그래서 저자는 이 챕터를 먼저 읽어보기를 추첨함.
인체는 신경계, 혈관계, 근막계로 완벽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반드시 장력과 압축력의 관계에서 연결된 선을 따라 문제가 발생되고 해결된다.
표면후방선의 자세기능(postural function)
The overall postural function of the SBL is to support the body in full upright extension, to prevent the tendency
to curl over into flexion exemplified by the fetal position. This all-day postural function requires a higher
proportion of slow-twitch, endurance muscle fibers in the muscular portions of this myofascial band. The constant
postural demand also requires extra-heavy sheets and bands in the fascial portion, as in the Achilles tendon, hamstrings, sacrotuberous ligament, thoracolumbar fascia, the 'cables' of the erector spinae, and at the occipital ridge.
The exception to the extension function comes at the knees, which, unlike other joints, are flexed to the rear
by the muscles of the SBL. In standing, the interlocked tendons of the SBL assist the cruciate ligaments in maintaining the postural alignment between the tibia and the femur.
표면후방선이 전신에 작용하는 자세기능은 태아시절의 자세와 같이 굴곡자세로 웅크리는 경향을 저지하고, 길항적인 신전의 지속을 통한 완전한 직립의 유지를 지원하는 것
하루종일 직립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표면후방선은 slow twitch근육 비율이 많아야 하고, 근지구력을 가진 근섬유의 비율이 높아야 함.
특히 아킬레스건, 햄스트링, 천조인대, 흉요근막, 척추기립근의 케이블, 후두능선에 이렇게 촘촘하고 빽빽한 겹들로 된 띠들이 연결되어 있어야 함.
직립해있는 동안 표면후방선 근육들은 경골과 비골사이 자세정렬을 유지하기 위해서 십자인대를 도움.
표면후방선의 운동기능(movement function)
With the exception of flexion from the knees on down, the overall movement function of the SBL is to create
extension and hyperextension. In human development, the muscles of the SBL lift the baby's head from embryological flexion, with progressive engagement and 'reaching out' through the eyes, supported by the SBL down through the rest of the body to the ground - belly, seat, knees, feet - as the child achieves stability in each of the developmental stages leading to upright standing about one year after birth (Fig. 3.5).
Because we are born in a flexed position, with our focus very much inward, the development of strength,
competence, and balance in the SBL is intimately linked with the slow wave of maturity, as we move from
this primary flexion into a full and easily maintained extension. The author of Psalm 121, who wrote T
will lift up mine eyes unto the hills, from whence cometh my help', is enabled to do so by the Superficial Back
Line.
표면후방선이 슬관절 이하를 제외한 전신에 작용하는 동작기능은 신전 및 과신전임. 표면후방선의 근육들이 인간의 발육과정에 작용하는 동작기능을 살펴보면, 아기가 눈을 들고 손을 뻗으려 하면서 표면후방선 근육들이 점차 참여하게 됨.
우선 아기가 발생학적으로 굴곡상태에서 태어난 자신의 머리를 들게하고, 아기가 지면에 대는 몸의 받침대를 배, 엉덩이, 무릎, 발의 순으로 바꿔가며 생후 1년정도에 기립하게 되기 전까지 각각의 단계에서 안정성을 취득하는 동안 줄곧 신전기능을 지원함.
매우 근원적인 시각으로 보면 인간은 굴곡위로 태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1차굴곡위에서 완전하고 잘 유지되는 신전위로 움직이게 할수 있는 표면후방선의 힘과 능력, 그리고 영향력은 서서히 밀려오는 성숙의 물결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발달함.
"내가 산을 향하여 눈을 들리라. 나의 도움이 어디서 올꼬" -- 표면후방선
표면후방선 각론
NOTE: We begin most of the major 'cardinal' lines (those lines on the front, back, and sides) at their distal or caudal end. This is merely a convention; we could have as easily worked our way down from the head. The body will frequently create a tension either way, or a bind in the middle that works its way out toward both ends. No causation is implied in our choice of where to start.
인체의 전, 후방측에 있는 주요 기본 근막선(cardinal line)들의 주행방향에 대한 본서의 설정은 하단을 시발역으로 출발하고 상단을 종착역으로 하여 도착하는 상행임. 하지만 이는 단순한 관례일뿐 어느방향으로 출발해도 무방, 어디에서 출발해도 무방함.
일반적 고찰
The most general statement that can be made about any of these Anatomy Trains lines is that strain, tension
(good and bad), trauma, and movement tend to be passed through the structure along these fascial lines of
transmission.
일반적으로 해부학 열차선에서 strain, tension(bad or good, trauma, movement는 이 근막선들에 따라 놓여있는 구조들을 통해 일어남.
표면후방선은 전방동작(굴곡)을 제한하며, 과도한 후방동작(신전)을 과하게 유지하거나 유지하게 하는 시상면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자세와 운동을 중재하는 기본적인 수직근막선중의 하나임.
Although we speak of the SBL in the singular, there are, of course, two SBLs, one on the right and one on the
left, and imbalances between the two SBLs should be observed and corrected along with addressing bilateral
patterns of restriction in this line.
우리는 표면후방선이 하나인것처럼 말하지만 사실은 좌우 두개의 표면후방선이 존재함. 두개의 표면후방선간에 존재하는 불균형은 이 근막선들이 제한하는 형태들을 다루기 전에 파악하여 교정되어야 함.
Common postural compensation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SBL include: ankle dorsiflexion limitation, knee
hyperextension, hamstring shortness (substitution for deep lateral rotators), anterior pelvic shift, sacral nutation,
extensor widening in thoracic flexion, suboccipital limitation leading to upper cervical hyperextension, anterior shift or rotation of the occiput on the atlas, and eye-spine movement disconnection.
ankle dorsiflexion limitation,
knee hyperextension,
hamstring shortness (substitution for deep lateral rotators),
anterior pelvic shift,
sacral nutation,
extensor widening in thoracic flexion,
suboccipital limitation leading to upper cervical hyperextension,
anterior shift or rotation of the occiput on the atlas, and
eye-spine movement disconnection임.
발가락에서 발뒤꿈치까지(frome toes to heel)
Our originating 'station' on this long line of myofascia is the underside of the distal phalanges of the toes. The
first 'track' runs along the under surface of the foot. It includes the plantar fascia and the tendons and muscles
of the short toe flexors originating in the foot. These five bands blend into one aponeurosis that runs into the front of the heel bone (the antero-inferior aspect of the calcaneus). The plantar fascia picks up an additional and important 6th strand from the 5th metatarsal base, the lateral band, which blends into the SBL on the outside edge of the heel bone (Figs 3.6 and 3.7).
These fasciae, and their associated muscles that pull across the bottom of the foot, form an adjustable 'bowstring'
to the longitudinal foot arches; this bowstring helps to approximate the two ends, thus maintaining the heel and the 1st and 5th metatarsal heads in a proper relationship (Fig. 3.8). The plantar aponeurosis constitutes only one of these bowstrings - the long plantar ligament and spring ligament also provide shorter and stronger bowstrings deeper (more cephalad) into the tarsum of the foot (visible below the subtalar joint in Fig. 3.8).
발가락 원위부 underside에서 시작하여 족저근막(plantar fascia), 발가락굴곡근 건을 포함. 5개의 띠(band)가 하나의 건막으로 혼합되어 발뒤꿈치에 합류됨. 족저근막은 5번째 중족골에 있는 외측띠(lateral band)와 연결되어 이는 발뒤꿈치 뼈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표면후방선과 합해짐.
이러한 근막 및 관련근육은 발바닥을 가로질러 당김으로써 "조절가능한 활시위(adjustable bowstring)"를 형성하여 발의 내측 종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를 형성함.
활시위와 같은 이 아치는 두개의 끝 부분을 서로 가깝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그것은 발뒤꿈치 그리고 1, 5번째 중족골두의 적절한 상호관계를 유지시켜줌.
족저건막(plantar aponeurosis)은 이러한 활시위 아치들 중 단 한개만을 구성. 장족저인대와 용수철인대, 발의 족근골 밑 더 깊숙한 곳에 더 짧고 더 튼튼한 아치를 제공함.
long plantar ligament 장족저 인대
The long plantar ligament is the longest of all the ligaments of the tarsus: it is attached behind to the plantar surface of the calcaneus in front of the tuberosity, and in front to the tuberosity on the plantar surface of the cuboid bone, the more superficial fibers being continued forward to the bases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metatarsal bones.
This ligament converts the groove on the plantar surface of the cuboid into a canal for the tendon of the fibularis longs. Deep to this ligament is the short plantar ligament.
족저근막(plantar fascia)
The plantar surface of the foot is often a source of trouble that communicates up through the rest of the line. Limitation here often correlates with tight hamstrings, lumbar lordosis, and resistant hyperextension in the upper cervicals. Although structural work with the plantar surface often involves a lot of knuckles and fairly hefty stretching of this dense fascia, any method that aids in releasing it will communicate to the tissues above (DVD ref: Superficial Back Line, 10:57-16:34). If your hands are not up to the task, consider using the 'ball under the foot' technique described below in 'A simple test'.
Compare the inner and outer aspect of your client's foot. While the outer part of the foot (base of little toe to heel) is always shorter than the inner aspect (from base of big toe to heel), there is a common balanced proportion. If the inner aspect of the foot is proportionally short, the foot will often be slightly lifted off the medial surface (as if supinated or inverted) and seemingly curved toward the big toe in a 'cupped hand' pattern, as if a slightly cupped hand were placed palm down on the table. In these cases, it is the medial edge of the plantar fascia that needs lengthening.
If the outer aspect of the foot is short - if the little toe is retracted or the 5th metatarsal base is pulled toward
the heel, or if the outer aspect of the heel seems pulled forward - then the outer edge of the plantar fascia,
especially its lateral band, needs to be lengthened (DVD ref: Superficial Back Line, 20:29-22:25). This pattern often accompanies a weak inner arch and the dumping of the weight onto the inner part of the foot, but can occur
without the fallen arch.
Even in the relatively balanced foot, the plantar surface can usually benefit from enlivening work to make it more supple and communicative, especially in our urbanized culture where the feet stay locked up in leather coffins all day. A default approach to the plantar tissues is to lengthen between each of the points that support the arches: the heel, the 1st metatarsal head, and the 5th metatarsal head (Fig. 3.9).
발바닥 표면은 때로 나머지 근막선들과 소통함에 있어서 많은 문제의 근원이 됨.
발바닥의 이상은 "햄스트링 긴장, 요추전만, 상부경추의 저항성 과전만과 연관있음.
환자 발의 내측과 외측부위를 잘 비교해야... 내측의 족저근막이 짧아져 이완해야 할때... 외측띠가 짧아져 이완해야 할때...
편평족이 아닐때도 이러한 현상은 나타날 수 있음.
비교적 균형이 잘 잡힌 발이라도 족저표면은 좀더 유연하게 하고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활기를 불어넣는 치료로 그 효과를 얻을 수 있음. 특히 하루종일 꽉 조이는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더욱 그러함.
simple test
족저근막을 테니스공(골프공)으로 2분이상 충분히 풀어준 후 아래 그림과 같이 테스트
표면후방선의 전체적인 연관성을 쉽게 관찰할 수 있음.
발뒤꿈치 골극(heel spurs)
인체는 빈 공간을 남겨두지 않고 아래 그림과 같이 골극을 만들어 새로운 뼈로 채움.
발뒤꿈치에서 무릎까지(from heel to knee)
If we follow the periosteum around the calcaneus, especially underneath it around the heel to the posterior surface (following a thick and continuous band of fascia - see Figs 3.12 and 3.15B), we find ourselves at the beginning of the next long stretch of track that starts with the Achilles tendon (Figs 3.12 and 3.13).
Because the Achilles tendon must withstand so much tension, it is attached not only to the periosteum but also
into the collagenous network of the heel bone itself, just as a tree is rooted into the ground. Leaving the calcaneus
and its periosteum, our train passes up, getting wider and flatter as it goes. Three myofascial structures feed
into the Achilles tendon: the soleus from the profound side, the gastrocnemius from the superficial side, and
the little plantaris in the middle (Fig. 3.12).
발뒤꿈치의 화살과 같은 역할(heel as arrow)
종골은 아래 그림과 같이 발뒤꿈치를 들고 서면 슬개골과 비슷함.
발뒤꿈치의 밀림 검사
표면후방선은 만성적으로 과긴장 상태이므로 종골은 거골하 관절에서 밀려나는 것이 흔함.
외측과에서 5번째 발가락 중족골두까지 거리 측정하여 발뒤꿈치까지 거리 비교함.
4가지 이완법
1) 족저근막 이완(외측때 포함)
2) 비복근, 가자미근 이완
3) 한손으로 발목의 앞부분을 고정하고, 다른 한손으로 발뒤꿈치를 잡아 내반, 외반 움직이면서 관절가동
4) 햄스트링 이완, 대퇴직근 이완
이러한 이완이 정확히 반복되면 골반의 전방변위를 치료하기 쉽다. 골반의 전방변위를 치료하기 전에 반드시 위 수기요법을 시행해야 한다. 성공의 징표는 족궁이 정상화되어 발뒤꿈치 부위에 제대로 힘이 전달되는 것이다.
다관절근육과 단관절근육
아킬레스 건과 부착된 다관절 근육인 비복근, 단관절 근육인 가자미근
단관절 근육은 대개 심부에 있고, 자세를 유지
다관절 근육은 대개 표면에 있고, 움직임이 큼.
참고) 단관절 근육과 다관절 근육을 구별해야 하는 이유
# 인체의 자세는 심부에 있는 단관절 근육에 의해서 거의 결정되고, 좀더 표면에 있는 다관절 근육은 주로 움직임을 담당함.
참고) 슬와근 popliteous
탈선 derailment
탈선은 해부학 연결선 규칙중 예외사항으로 연부조직과 움직임치료에 있어서 유용한 개념
탈선에도 불구하고 해부학연결선은 여전히 작용하는데, 이는 특수한 상황에서만 가능
두갈래의 비복근과 세갈래의 햄스트링 건 사이에 연접한 면을 살펴야..
비복근과 햄스트링은 분리되어 있으며, 또한 연결되어 있음.
무릎을 구부리면 두 근육사이의 연결은 끊어짐. 그래서 해부학 연결선은 무릎이 신전될때만 하나로 작용함.
무릎을 구부려 허리를 숙이면 덜 스트레치됨.
무릎을 조금이라도 구부리면 옭매듭을 푸는 것이며, 상부의 표면후방선과 하부와의 연결이 차단됨.
햄스트링 원위부(the distal hamstrings)
환자는 엎드려 무릎을 90도로 굴곡하고 치료...
무릎에서 고관절까지(from knee to hip)
반막양근, 반건양근, 대퇴이두근 세개의 햄스트링 근육은 모두 무릎과 고관절에 영향을 미치는 다관절 근육임.
열린 사슬에서 무릎을 굽히면 내측 햄스트링(반건양근과 반막양근)이 경골을 내측으로 회전시킴, 동일한 상황에서 대퇴이두근은 경골을 외측으로 회전시킴.
단순한 달리기 동작에서는 내외측 햄스트링이 협동하여 작용하므로 분리된 움직임을 필요하지 않음.
내측, 외측 햄스트링 사이에서 나타나는 차별화된 동작은 재즈댄서, 스키, 축구 또는 럭비와 같은 무릎에 압박이 많이가는 고관절의 측면 움직임이 일어나는 운동이나 활동에 있어서 특히 중요함.
내외측 햄스트링의 기능이 얼마나 분리될 수 있는지 관찰하기 위해서는 ...
환자가 업드려 무릎을 굽히고 햄스트링 공간 슬와에서 위로 이어지는 부위를 상행으로 촉진함. 이곳의 건은 아주 또렷하고 최소한 1~2인치 떨어져 있기 때문에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쉽게 느낄 수 있음.
이제 좌골결절을 향해 상행하면서 조 세트의 근육들 사이의 계곡에 머물러 봄. 어느 정도의 위까지 계곡이 만져지는가?
세개의 근육세트가 슬와로부터 몇인치 위에 묶여있는 사람도 있고, 중간지점이나 좌골결절에 좀더 가까운 부위에서 분리되어 있는 사람도 있음. 해부에서는 좌골조면 아래 몇인치나 혹은 10cm정도까지 올라감.
이것을 기능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환자로 하여금 무릎을 90도 굴곡하게 하고 발을 내외측으로 바틀게 하면서 손을 환자의 근육주변에 얹어놓고 촉진. 만약 그것이 분리되어 작동하고 있다면 촉진으로 그 느낌을 알 수 있음.
경직된 햄스트링을 이완시키려면 환자에게 무릎을 굽힌 채 아래 다리를 내외측으로 지속적인 회전을 하도록하면서 그 묶음의 가장 하단부에 있는 근육들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 뭉쳐진 근막은 치료사의 손가락이 대퇴골 방향으로 밀려들어 가면서 점차 풀림.
슬관절 회전
Although functional rotation of the knee is only possible when the knee is flexed, postural rotation of the tibia on
the femur, medial or lateral, is quite common. Although several factors, including strain in peri-articular tissues
and strains coming up from the foot, can contribute to this pattern, working differentially on the two sets of
hamstrings can be very helpful in releasing the leg back into alignment.
슬관절의 기능적인 회전은 무릎의 굴곡동작(열린 사슬)에서만 나타나지만, 대퇴골에 대한 경골의 자세유지 측면에서의 내측회전, 외측회전은 매우 흔하게 나타남.
다리 뒷부분의 정렬을 잡고, 이완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두개의 햄스트링 세트가 서로 작동하게해야(working differentially)..
If the tibia is medially rotated (as measured by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bial tuberosity faces relative to the patella - the outside edges of the patella and tibial tuberosity should form an isoceles triangle), then manual
or stretching work on the medial set of hamstrings (semitendinosus and semimembranosus) is required.
경골이 내회전되었다면 햄스트링의 내측 세트(반건양근, 반막양근)의 스트레칭이나 수기치료가 필요함.
참고) 경골조면과 슬개골외측 가장자리는 이등변삼각형을 이루어야
If the tibia is turned laterally, work on the biceps femoris (both heads) is necessary. The tissues should be worked
toward the knee. Begin with whatever general stretching or work with the hamstrings you had planned, then do additional work on the relevant hamstring to reduce the rotation, using the client's slow eccentric lengthening
of the tissues occasioned by bringing the knee from flexion to extension. The tissues that maintain myofascia. If this is not these rotations are located deep within the hamstring effective, delve further into possible strains deriving from foot position, pelvic torsions, or the Spiral Line (see Ch. 6).
경골이 내회전 된 경우에는 대퇴이두근의 수기치료와 스트레칭이 필요함.
이후 무릎의 굴곡신전 움직임 재활치료는 햄스트링과 대퇴사두근이 제대로 움직여 경골의 내측, 외측회전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슬개골 주행이 정상인 상태)로 시행해야..
고관절에서 천골까지
좌골결절과 천골의 연결은 근육이 아니라 sacrotuberosity ligament로 이어짐.
아마도 근육이었는데 진화과정에서 퇴화되었을 것으로 생각됨. 말의 경우 근육으로 이어져 있음.
In extremely loose cases, usually after some trauma, but sometimes due to overstretching or overmanipulating,
layers that should be intrinsic to the local stations become too communicative, requiring extra myofascial
tightening elsewhere to maintain some form of integrity at the sacroiliac joint.
천조인대가 과도하게 늘어난 경우는 때로 외상, 때로는 과도한 스트레칭이나 과도한 수기(추나)치료때문에 발생함. extra mysfascial tightening이 필요함.
천골에서 후두골까지(from sacrum to occiput)
척추기립근은 천골에서 후두골까지 이어짐. 최장근, 장늑근 복합체로 나타나고 ... 극근, 반극근, 다열근 위를 덮고 있음.
하후거근, 판상근, 능형근, 견갑거근, 승모근, 광배근 등은 이 근막선위에 겹쳐있고... 나선선, 상지선, 기능선 등을 구성함.
척추기립근 근막의 수기치료
척추기립근이 척추 후방곡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들은 목과 허리의 척추전방에 붙어 있는 근육들과 함께 곡선의 깊이 정도를 결정함.
With that in mind, our first consideration is the depth of the curves in the spine: is there a lumbar or cervical lordosis, or a thoracic kyphosis? Observe: do the spinous processes protrude like bumps or a ridge beyond the surrounding tissue (are they 'mountains'?); or do they sink below the surrounding myofascial tissue in a groove (do they form 'valleys'?)
먼저 경추, 요추 전만과 흉추 후만을 관찰하라.
반직관적으로 관찰함.
양측을 대칭적으로 관찰하고 치료함.
척추의 분절움직임, 여러분절 이완 능력검사.
motion segment가 하나씩 잘 움직이도록 수기치료해야
척추 한마디씩 움직이도록 지시하고 관찰..검사단계에서 바로 치료를 병행할 수 있음.
후두하근 수기치료
후두하근(suboccipitalis)은 표면후방선 전체를 이완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함.
후두직근(retus capitis posterior)과 두사근(obliquus captivais)에 있는 수많은 스트레치 수용기들은 안구운동과 등근육이 조화를 이루게 함.
후두하근은 근육조직 1g당 36개의 근방추를 가지고 있음. 대둔근은 1g당 0.7개의 근방추를 가짐.
후두하근 촉진자세에서 눈을 감고 눈동자를 좌우로 움직여 보면 후두하근의 움직임을 느낄 수 있음.
이 근육들의 움직임이 제대로 안되면 눈동자를 제대로 움직일 수 없음.
가끔 시각이나 독서장애가 있을 때, 후두하근의 치료가 필요할수 있음.
후두하근 위의 척추기립근은 후두하근의 변화에 귀 기울이고, 변화의 방향을 따라가는 경향이 있음.
그래서 눈이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목을 어떻게 움직이는가에 따라서 나머지 등근육의 긴장패턴이 결정된다는 것.
목과 머리 부위가 수축하는 것은 근본적인 공포반응의 한 부분. 공포로 인한 움츠림은 습관이든 영구적이든 우리의 동작에 내재되어 불편을 초래... 알렉산더 테크닉 지도자들은 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해를 보냄.
환추골의 횡돌기는 매우 크고, 극돌기는 아주 작음. 그래서 환추골의 횡돌기는 유양돌기 안쪽, 아래쪽으로 만져짐.
하두사근
하두사근은 머리에 붙어있지 않지만 C2 극돌기에서 환추의 횡돌기에 부착하여 말 고삐처럼 연결되어 있어 이름이 잘 못붙여짐.
하두사근은 두판상근과 평행하며 동축회전을 하는 가장 깊고 작은 근육이며 이동이 없는.. 축추위에서 환추와 후두골의 공동회전을 만들어 냄.
대후두직근과 소후두직근의 차이점
소후두직근은 환추극돌기에서 후두골로 부착하여. ... head forward posture때 짧아지면서 전방두부자세를 악화시키는 역할.
대후두직근은 축추 극돌기에서 후두골로 부착하여 환-축추관절, 후두-환추관절을 과신전시킴.
소후두직근은 C1을 뒤로 잡아당기지 못하는데, 이유는 C2가 이러한 움직임을 막고 있기 때문.
상두사근
상두사근은 후두골의 후방외측부분에서 시작하여 환추 횡돌기에 부착함.
이 근육은 소후두직근과 평행하게 주행하며 동일한 기능을 함. 전방두부자세를 악화시키는 역할
치료법
승모근, 반극근(Semispinalis)을 지나 깊게 자리하고 있는 근육들을 해치고 들어가기 위해 충분히 이완해야
후두골에서 안와상 융선(supraorbital ridge)
후두골 융선에서 눈썹융선까지 는 종종 매우 경직되어 만지면 통증이 발생.
1분정도 결절이 완전히 없어질때까지 손가락 등으로 눌러주면 근막이 이완되어 잘 활용하면 영향을 받는 모든 근막선의 부위가 이완될 수 있음.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scalp from the occipital ridge to the brow ridge will also reveal little spindle shaped
fascicles that, though sometimes difficult to find because they are so small, are often extraordinarily tight and painful to the touch. They can be released through steady finger (or even fingernail) pressure, applied to the very center of the knot (use client feedback to locate yourself) for around a minute or until the knot or trigger point is entirely melted. Effectively applied, this can often occasion blessed relaxation through the entire affected line.
A generally over-tight scalp can be released more gently by applying the fingerpads slowly in a circular motion, moving the skin on the bone until you feel the scalp melt itself free from the skull beneath. This method can be particularly effective if you stay with the pads, not the fingertips, and stay with melting, not forcing.
일반적으로 두피가 지나치게 팽팽한 경우에는 손가락패드로 원형으로 돌리면서 두개근막과 뼈가 완전히 분리될때까지 이완할 수 있다. 이 치료법은 손끝이 아닌 손가락패드를 이용하면 충분히 효과적이다.
|
첫댓글 엄청난 자료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