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권씨(醴泉權氏)의 유래를 살펴보면 약 700 여년전 고려 충목왕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예천권씨(醴泉權氏) 원래의 성(姓)은 예천지방 3대 토성(土姓)중 하나인 '흔(昕)'씨 였으며, 흔(昕)'씨 가문의 선대(先代)는 예천지방의 호족으로 대대로 호장을 세습 하였다.
예빈경(禮賓卿)을 역임한 6세 '흔섬(昕暹)'대에 이르러 고려 29대 '충목왕(忠穆王)'이 등극 하였는데, '충목왕'의 이름(名)이 바로
'흔(昕)'이었다. 이에 '국명(國命)'에 의해 '흔(昕)씨'도 성(姓)을 바꿔야만
했다.
이에 '흔섬(昕暹)'은
어머니의 성(性)이자 흔씨 1세, 3세의 처가 성(性)이기도 한 '권(權)'을 새로운 '성(姓)으로 정하여 '권섬(權暹)'이라 하고 본관은 시조의 세거지인
'예천(醴泉)'으로 하였다.
(참고 : 고려 중엽 보승별장을 지내신 '흔적신(昕迪臣)' 은 안동권씨 집안의 딸을 아내로 맞이 하였고, 3세 '흔수창(昕壽昌)' 및 5세
'흔승조(昕昇朝)' 또한 안동권씨 집안으로 장가를 갔다)
시조(1세) |
2 세 |
3 세 |
4 세 |
5 세 |
권씨시조(1세) |
흔적신(昕迪臣) |
흔득규 |
흔수창 |
흔
경 |
흔승조 |
권섬(權暹) |
配
안동권씨 |
|
配
안동권씨 |
|
配
안동권씨 |
|
이후 예천권씨는 관향인 예천에 터를
잡고 누대에 걸쳐 세거해 왔다. 5세
'권선(權善)'대에 이르러 선대(先代)에 드물게 오행,오기,오복 , 오윤,오상 등5형제를 두었고, 이들 형제가 전부 과거에 급제하여 조정에서는
'오복문(五福門)'이라 칭하며 모두들 부러워 하였다. 그러나 이들이 벼슬길에 나서며 모처럼 가문의 번성을 꾀하였으나, 조선 10대 왕인 연산군 시절의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인해 예천권씨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이후 많은 자손들이 안동권씨로 흡수되는 비운을 겪기도 하였다.
권세에
아부하지 않고 부귀공명에 연연하지 않는 선비의 기개는 후손들에게 이어져8세 '권문해(權文海)'는 일찍이 퇴계 '이황(李滉)' 문하에서 학문을 닦아 다시 '권문(權門)'의
명성을 널리 떨쳤다. 선생이 저술한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은 조선시대 간행된 출판물 중 가장 가치있는 문집 중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예천권씨는 예로부터 자손이
귀해 지금도 그 수가 많지 않으며, 특히 '무오사화(戊午士禍)'를 겪으며 후인들이 안동권씨로 살아가게 된 경우가 많이 있었다.
수십년 전 그 문제에 관하여 심각한 논의가
있었으나 이미 여러 세대를 안동권씨로 살아오던 후손들에게 족보를 수정(?)하라고 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랐고, 또한 스스로 자신들의 진정한 뿌리는
예천권씨(醴泉權氏)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세인들 중에는 이런 내력을 알지
못하고 예천권씨를 안동권씨의 한 지파(支派) 정도로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크게 잘못된 것이며 안동권씨 대종회 자료에도 동성이본(同姓異本)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참고: 안동권씨 대종회: www.andongkwon.or.kr )
■ 고려시대의 흔씨(昕氏)
'예천권씨세보(醴泉權氏世譜)'상의
고려시대 '흔씨(昕氏)'에 대한 기록은 고려 말 약 150년(5代) 뿐이다.
그러나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 의하면 태조12년 안수진 성주 ''흔평(昕平)', 태조13년 마산 성주 ''흔신(昕辛)', 태조 19년
대장군 '흔악(昕岳)' 등의 기록이 보이며, 태조24년 예천 명봉사 능운 탑비에 원윤 '흔휘(昕暉)', 현종 2년 예천 개심사(開心寺) 5층 석탑기에
광군 '흔경(昕京)' 등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고려초부터 예천지방에 '흔씨(昕氏)'가 상당수 세거(世居)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최초 기록된 시기보다 약
300여년 정도 더 거슬러 올라가 1,000여년이 넘는 역사를 지니고 있음을 의미하며, 최초 세거지인 예천군 용문면 성현리 혹은 덕신리에 ''흔(昕)'정승의
묘가 있다는 촌로(村老)들의 구전(口傳)이 사실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다만 족보의 간행이 대부분
조선시대에 시작 되었으며 '예천권씨세보(醴泉權氏世譜)'의 기록 시점 또한 그러하였다. 이러한 연유로 그 이전의 '흔씨(昕氏)'에 대한 자세한
내력은 밝히지 못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많은 후인들로 하여금 아쉬움을 갖게 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