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워터 디바이너 (Water Diviner)’
박석천
베트남과 한국에서 사계절을 모두 겪고 한달 만에 집에 돌아와 처음 맞는 토요일. 며칠 전에 우리는 이번 토요일에 영화를 보기로 약속을 해서 주말 오전에 매번 하는 친구들과의 우치 (Wuchi) 운동과 그간 못다한 이야기를 급히 마치고 서둘러 마운틴 파노라마의 6키로를 한 시간도 못되어 걷자마자 바로 영화관을 찾았다. 여느 때처럼 이번에도 내가 영화를 골랐는데 몇 주 전 우리가 한국에 있을 때 방한을 한 세계적인 영화 배우인 러셀 크로우 (Russell Crowe)가 모 방송국과 한 인터뷰 기사가 내 결정에 도움을 준 셈이 되었다. 자신이 주연하고 감독까지 한 영화 ‘워터 디바이너 (Water Diviner)’를 홍보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것이었다.
영화의 배경이 된 1차 세계대전의 갈리폴리 (Gallipoli) 전투는 그동안 호주와 뉴질랜드의 시각에서만 이야기되었고 ANZAC쪽의 사상자 숫자만 부각되었지만 이 영화는 상대방인 터키의 군인들도 엄청나게 많이 전사했고 또 터키의 시각에서도 이 전투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그런 면에서 클린트 이스트우드 (Clint Eastwood)가 감독한 전쟁 영화인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 (Letters from Iwo Jima)’역시 이오지마 전투에 참가한 미군의 잣대가 아닌 일본 군인의 시각에서 바라본 전쟁과 그에 관련된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대부분의 전쟁을 논할 때 우리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가진 이념과 출생지에 따라 평가를 하는데 이런 영화들은 이것이 얼마나 한쪽으로만 치우친 잘못된 시각이라는 것을 일깨워 주고 있다.
갈리폴리 전투에서 세 아들을 모두 잃은 주인공 러셀 크로우는 나날을 비통함으로 보내던 아내마저 자살을 하자 아들들의 시신을 찾기 위해 호주에서 낯선 땅 터키로 향한다. 비가 거의 오지 않는 척박한 호주의 땅에서 순전히 육감으로 땅속 물길을 찾아내는 농부인 러셀 크로우는 또한 아버지로서 유골들만 묻혀있는 전쟁터에서도 자신의 핏줄이 어디쯤에 묻혀 있는지를 육감으로 찾아낸다. 전자의 육감은 평생 농부로서 얻은 경험과 땅을 대하는 겸손함에서 나온 것이라면 후자의 육감은 아들들의 뼈를 찾기 위한 간절한 소망과 오직 아버지만이 가질 수 있는 하늘이 내려준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갈리폴리 전투가 끝난 후 양국 전사자들의 유골을 찾는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에 참여한 사람들에게는 유골이 뼈 그 자체지만 자식을 잃은 아버지에게 그것은 뼈 그 이상이다. 그래서 영화에서 주인공은 미아가 된 아이를 찾는 것처럼 아들들을 찾아 터키에 왔다고 했지 유골을 수거하기 위해 왔다는 말은 절대 하지 않는다. 터키 땅에 있는 아들들의 유골이나 유품을 찾아 호주 땅에 누워있는 아내 곁에 같이 묻어 주려는 그 집요함 그리고 절박함이 아버지의 눈에서 읽힐 때 감동을 받지 않을 관객이 없을 것이다.
이런 감동적인 연기는 배우가 살이 찌면 연기를 못할거라는 편견을 과감하게 깨고 있다. ‘글래디에이터 (Gladiator)’의 영화로 인해 러셀 크로우에게는 강한 남성미의 이미지가 따라 다니지만 인터뷰에서 그는 자신도 이제 나이가 드니 이곳 저곳 성한 곳이 없다면서 진솔한 면을 보이고 있다. 실제 영화에서도 호주의 전형적인 농부로 나오는 러셀 크로우는 젊을 때의 그런 남성미와는 거리가 멀게 나온다. 터키 목욕탕에서 터키 군인들과 같이 나오는 모습에서 그의 살찐 모습을 살짝 엿볼 수도 있다. 배우 최민식도 살이 찌고 배가 나왔지만 프랑스 감독과 같이 만든 영화 ‘루시 (Lucy)’에서 마약 조직의 보스에 걸맞는 연기를 잘 소화했을 뿐 아니라 그 몸매로 한국 영화사에 큰 획을 긋는 ‘명량’에서 이순신 장군의 권위와 인간미를 십분 발휘했다. 식스팩의 몸매가 주류를 이루는 요즈음의 영화들로 인해 관객들의 눈높이가 높아졌는지도 모른다.
장구한 한국의 역사에서 우리는 크고 작은 전쟁을 천여 번이나 겪었다. 이런 역사를 아는 러셀 크로우는 인터뷰에서 전쟁을 소재로 하는 이 영화가 한국인들에게 전쟁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 보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언급을 한다. 또한 그는 베트남 내전을 피해 난민으로 호주에 와서 작가, 배우 그리고 코메디언으로 성공한 안도 (Anh Do)의 자서전에 대해 언급을 한다. 역시 책은 영화인들에게도 다음 작품에 대해 영감을 주는 모양이다. 이 자서전을 이미 읽은 나는 베트남을 극적으로 탈출하고 호주에 정착을 하는 안도의 아버지, 그가 식구와 친척들의 호구책을 마련하는 흥미진진한 과정, 안도가 교육을 받고 이곳 호주에서 입지적인 인물이 되는 과정 그리고 자라면서 문화가 다를 수 밖에 없는 아버지와 겪는 갈등 등이 영화로서 만들어질 다양한 소재거리를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 러셀 크로우의 차기 감독 영화 작품으로 안도의 이야기를 기대해 보면서 나는 혼탁한 뿌연 메콩강을 생활터전으로 삼고 자급자족하면서 유유적적 살아가는 베트남 사람들과 풍경들이 벌써 그리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