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평소 과학과 예술의 융합을 주장해 온 모 사립미술관에서 열리는 작품 전시회에서는 전시된 작품마다 QR(Quick Response) 코드를 부착하여 관객들이 스마트폰으로 인식하면 작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작가의 이력 등을 볼 수 있다. 소위 ‘스마트 아트’를 ‘스마트 감상’으로 승화시킨 ‘스마트 시대’의 멋진 예이다.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식이 가능한 ‘Quick Response’(빠른 응답)의 약자인 QR 코드는 에그몬(Eggmon), 스캐니(Scany), 쿠루쿠루(QRooQRoo) 등 스마트폰 앱스토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은 뒤 코드를 스캔 받으면 휴대폰 화면을 통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으로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화려하게 등장하였다. 예를 들어, 유통업체들은 QR코드를 신문 지면 광고에 실으면 소비자들은 신문에 나와 있는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하여 다양한 상품과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소셜 네트워크시대의 소비자들의 공동 구매와 직거래 시장의 활성화에 엄청난 영향을 줄 것이 분명하다. 이처럼 예술, 산업, 문화, 행정, 정치 등 모든 분야에서 정보 공급자(Supplier)들은 정보 출시와 함께 매거진, 온라인 뉴스, POP 등에 QR코드를 삽입하여 신상품 소개부터 동영상, 사진, 텍스트, 매장 지도보기, 이벤트까지 제품 전반에 대한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다.
QR코드는 1994년에 일본의 덴소웨이브(Denso Wave)사가 개발한 흑백 격자무늬 패턴의 2차원식 바코드(Bar Code)다. 숫자만 저장하는 1차원 세로줄 바코드와 달리 QR코드는 문자 자료도 저장할 수 있어 스캐너에 비추면 제품 정보를 보여주거나 입력된 웹사이트로 연동된다. 일본시장에서는 이미 일반화된 QR코드는 최근 이를 인식하는 무료 애플리케이션이 늘어나면서 더욱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QR코드를 전송받거나 사진으로 찍은 뒤 스마트폰 앨범에 보관하다가 불러내 모바일 사이트로 접속하는 작업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QR코드 기능 및 서비스는 기존 인터넷과는 달리 소비자가 취사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시간 웹서핑을 해야 하는 부담도 줄이며 비용이나 방법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농민이나 소상공인들의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Connecting Real Life and the Digital World’라는 슬로건으로 최근에 출시된 MicroSoft TAG은 QR코드에서 진일보한 솔류션으로 알록달록한 삼각무늬의 스마트폰 컬러태그로 흑백으로 표현되는 기존 코드에 비해 다양한 디자인을 도입할 수 있다. 제조자가 아닌 판매자가 가격을 결정하는 제도인 바코드 개방형 가격(Open Price)제 때문에 제품에 가격을 표시하지 못하는 스마트 소비 상황에서 QR코드나 스마트 태그의 활용도는 매우 높을 것으로 보여진다. 스마트폰 카메라를 가져다 대면 제품 정보와 어디에서 가장 싸게 파는지 알 수 있다. 이들 코드나 태그는 블로그 마케팅, 트위터 마케팅 등의 품질을 강화시키는 촉매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경매 및 화랑 등 미술 시장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것이다. 기술과 예술과 디자인과 아이디어, 방법이 융합하는 시대에 미술관, 미술잡지, 브로셔 인쇄업체, 화가, 화랑, 아트딜러, 미술품 경매 관계자들도 통섭과 융합의 새로운 마케팅 문화 변화의 흐름을 따라가야 할 것이다. 스마트 아트(Smart Art) 세상이 스마트 시장에서 각광받는 시대이다. 이제는 그리느냐, 만드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융합하느냐 아니냐의 선택의 시대이다. <메디치 효과>를 쓴 통섭과 융합의 신봉자인 프란스 요한슨(Frans Johansson)이 “어쩌면 과거에 당신을 성공으로 이끌었던 이유들이 오히려 앞길을 가로막을지도 모른다.”고 하였는 데 성공을 원하는 모든 이들은 ‘어쩌면’을 ‘분명히‘로 분명히 바꾸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