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3장. 九門變數(9문변수)와 奇門(기문)
7) 取醒(취성).--------5
[ 生氣八神 神數法(생기팔신 신수법) ]-----2
◎ 中宮(중궁)이 艮宮(간궁).
絶命(절명) 禍害(화해) 生氣(생기)
辰(진), 巳(사)월) 午(오)월 未(미), 申(신)월
男子(남자)
5, 13, 21, 29, 37, 45, 53
61, 69, 77, 85, 93
遊魂(유혼) 艮宮(간궁) 絶體(절체)
卯(묘)월) 女子(여자) 酉(유)월
15, 23, 31, 39, 47, 55, 63
71, 79, 87, 95
歸魂(귀혼) 天醫(천의) 福德(복덕)
寅(인), 丑(축)월 子(자)월) 亥(해), 戌(술)월
◎ 中宮(중궁)이 震宮(진궁).
絶體(절체) 生氣(생기) 禍害(화해)
辰(진), 巳(사)월 午(오)월) 未(미), 申(신)월
男子(남자)
6, 14, 22, 30, 38, 46, 54
62, 70, 78, 86, 94
歸魂(귀혼) 震宮(진궁) 絶命(절명)
卯(묘)월 女子(여자) 酉(유)월)
7, 14, 22, 30, 38, 46, 54
62, 70, 78, 86, 94
遊魂(유혼) 福德(복덕) 天醫(천의)
寅(인), 丑(축)월 子(자)월) 亥(해), 戌(술)월
◎ 中宮(중궁)이 巽宮(손궁).
歸魂(귀혼) 福德(복덕) 天醫(천의)
辰(진), 巳(사)월 午(오)월) 未(미), 申(신)월
男子(남자)
7, 15, 23, 31, 39, 47, 55
63, 71, 79, 87, 95
絶體(절체) 巽宮(손궁) 遊魂(유혼)
卯(묘)월 女子(여자) 酉(유)월
6, 13, 21, 29, 37, 45, 53
61, 69, 77, 85, 93
絶命(절명) 生氣(생기) 禍害(화해)
寅(인), 丑(축)월 子(자)월 亥(해), 戌(술)월
1) 生氣(생기).
만물이 성장하듯 세파에 시달려 의기소침했 있던 자가
다시 용기를 얻어 무엇인가 해보고 싶다는 욕망이 생기므로
새로 시작하는 일이 대길하다.
병들어 사경을 헤매던 자가 차츰 원기를 회복하여
오래된 질병에서 일어난다.
오곡이 풍성하며 식구가 늘어나거나
관직, 직장, 사업 등에 용기가 생기고
의욕이 왕성하여 자연히 생활의 즐거움을 얻게 된다.
生氣(생기)는 생활, 용기, 박력, 충동, 어떤 일의 시작,
액난 타개, 자신감, 승진, 의욕왕성 등의 특징이다.
生氣三災(생기삼재)는 신경질과 기분이 상하는 일이 생긴다.
生氣日(생기일)에는 소식, 약속, 시험, 청탁, 상담, 계획 등에 吉(길)하다.
2) 天醫(천의).
天宜(천의)라고도 하며, 그동안 여러 가지 얽혔던 일이 풀려나가고
지금까지 害(해)를 끼치던 사람이 태도를 바꾸어 도움을 준다.
부당한 대우나 곤란에 처해 있던 사람이 올바른 대우를 받게 되고
곤란에서 탈피하게 되며 마음이 들떠 있던 사람이 정상을 회복하여
정도를 걷게 된다.
따라서 만사가 순조로우니 사업가는 경영이 번창하고,
농민은 토지를 늘린다.
병든 자는 명의를 만나 완쾌되고 방탕한 생활을 하던 사람은
방탕생활을 청산하고 가저에 돌아와 가정이 화목해진다.
天醫(천의)는 시험합격, 승진, 영전, 의약처방, 병 치료 등의 특징이다.
天醫三災(천의삼재)는 일이 될 것 같으면서 막힘이 많고
재물이 생기면서 소비가 더 많다.
天醫日(천의일)에는 청탁, 계약, 투자, 수금, 왕래, 거래 매매 등에 吉(길)하다.
3) 絶體(절체).
어떤 목적달성을 위하여
전진한다든지 후퇴한다든지의 결정을 지어야 하듯
사업하던 사람이 업종을 바꾼다든지
직장인이 타직장으로 옮긴다든지
동업자가 각자 다른 사업으로 헤어진다거나
남녀 간에 연해하다가 갑자기 헤어지는 등의 결정사이다.
사고, 부상, 질병에 주의해야 할 運(운)이다.
방심하면 몸이 심히 쇠약해지거나 사고를 당할 우려가 있다.
재운은 나쁘지도 좋지도 않으니
모험적인 투기에 손 대지 않는다면 무난하다.
絶體(절체)는 매사의 결정, 마음의 상처, 모든 일의 변동,
판단, 판결, 구별 등이 특징이다
絶體三災(절체삼재)는 몸이 고달프지 않으면 우환 병고가 생긴다.
絶體日(절체일)에는 피로, 분주, 우환, 사고, 과로, 무리를 주의해야 한다.
4) 遊魂(유혼).
만물이 활동하다가 쉬고, 쉬었다가 다시 활동하는 것처럼
遊魂(유혼)은 조용히 휴식을 취한 후
좋은 시기를 기다려 움직여서 장차 입신양명하고
애국, 애족함은 모두 遊魂(유혼)의 조화이다.
사업을 하던 사람이 생산활동을 중단했다가 다시 재개한다든지,
쉬고 있던 사람이 다른 사업에 투자를 한다든지
매사에 활기를 띠고 왕성하게 움직이는 상태이다.
또 직장을 잃었던 자가 직장을 구해 열심히 일하고,
남녀의 이성 관계가 갑자기 뜨거워지는 등
침체에서 벗어나 활발하게 활동한다.
집을 떠나 타관에서 배회하기 쉽다.
정신적인 고뇌가 있고, 가정에 마음을 두지 못하고
어딘가로 탈피하려는 징조가 보인다.
재운은 신통치 않으나 실수만 범하지 않는다면 무단한 손재수는 없다.
遊魂(유혼)은 마음이 들떠있음, 당황, 활발한 활동으로 분주,
허영, 판단의 흐림, 인기등의 특징이다.
遊魂三災(유혼삼재)는 쓸데없는 일로 허비하고, 의외의 사고가 발생한다.
遊魂日(유혼일)에는 방황, 고민, 허송, 실수, 과욕, 헛된 일은 피해야 한다.
5) 禍害(화해).
만물이 움직이다 보면 吉凶(길흉)의 어떤 결과가 나타나게 되듯
이 세상에는 좋은 일보다 나쁜 일이 더 많은 것으로 생각한다.
禍害(화해)는 질병에 고생하고 관재구설수에 말려
주변이 시끄럽고 생종경쟁에서 중상모략이 발생한다.
질병으로 약을 쓰면 재산상의 손해요, 정신적인 고통이며,
관재구설로 집안이 조용하지 못함도 모두 禍害(화해)의 조화이다.
남에게 사기를 당하여 손재할 우려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禍害(화해)는 재산상의 손실, 질병에 의한 액난사, 투자손재,
낭비, 초조, 착취, 도적, 관재 등이 특징이다.
禍害三災(화해삼재)는 관재, 구설, 장애가 생기고, 매사 와해되니 울화가 터진다.
禍害日(화해일)에는 실물, 손재, 시비, 구설, 관재, 사고, 울화 등 不吉(불길)하다.
6) 福德(복덕).
만사 형통하여 청탁한 일이 이루어지고 기쁜 소식이 있다.
병자는 치유되고, 가정에는 혼인, 합격, 승진,영전, 식구가 느는 경사가 있다.
매매사에는 잘 안 팔리던 물건이 잘 팔리고 저조한 수금사정이 호전되며,
사업이 번창하고 이익이 늘게 됨은 모두 福德(복덕)의 작용이다.
실직자는 취업을 하여 돈을 벌고, 투기 사업가는 횡재하고,
직장인은 승진, 영전하는 등 발전의 大吉運(대길운)이다.
福德(복덕)은 횡재, 재산 입수, 승진, 영전, 금전 융통,
경영사의 발전과 호전, 재산축적, 행운, 경사, 인기 등이 특징이다.
福德三災(복덕삼재)는 교제나 재수는 있어도 딴 사고가 발생한다.
福德日(복덕일)에는 교제, 청탁, 거래, 계약, 회식, 여행, 상담 등에 吉(길)하다.
7) 絶命(절명).
만물은 生(생)하면 死(사)하고, 흥하면 쇠하고, 성공 뒤에는 실패가 따르며
행복의 절정에서 불행의 씨앗이 싹트기 시작하는 것이 상례이다.
즉 이것은 모두 絶命(절명)의 조화이다.
씨앗에서 처음 싹이 트고 싹이 완전히 자라 결실을 맺은 후에는
결국 죽게 되니 이는 생명이 다한 이치이다.
사업이 한창 번창하다가 불경기로 인해
자금융통이 어려워 갑자기 문을 닫는 것과 같다.
범죄자는 구속되어 자유스러운 활동이 중단되고
환자는 원기를 회복하는가 하였더니
갑자기 죽는 등 만사 종말을 고하게 된다.
횡액, 손재, 사고, 수술 등에 주의해야 한다.
중환자나 연세가 높은 노인은 생명이 위험하고,
가족 중에 그러한 사람이 있으면 이별의 슬픔이 있을 수 있다.
絶命(절명)은 사망, 경영사의 종말, 고립, 매사 불통, 실의에 빠짐,
절망, 체념, 정리 등의 특징이다.
絶命三災(절명삼재)는 앞길이 끊어지고 우환사고로 인패가 두렵다.
絶命日(절명일)에는 실망, 낙망, 사고, 결단, 무리는 조심하고 피해야 한다.
8) 歸魂(귀혼).
만물이 죽게 되면 활동이 정지되니 영원히 조용해 진다.
사람은 매사에 어떤 결정에 내리지 못하고
망설이다가 좋은 시기를 포착하지 못한다.
집에 있는 사람이면 객지로 나가고 가출하여 타향에 배회 중인 자나
행방불명되었던 자가 고향집으로 돌아온다든가
마음이 들떠 안정을 찾지 못하던 자가 안정을 되찾는 등
모두 제자리로 되돌아온다.
재수는 길흉이 반반이며, 일을 늘어놓으면 혼란이 닥치니
수습한다는 자세로 일 처리를 해야 한다.
정신적인 심리 안정을 해야 한다.
입신양명에 가슴 부풀었다가 뜻을 얻지 못한 자, 사업에 크게 실패한 자,
관직이나 직장에서 파직된 자 등은 모두 歸魂(귀혼)의 조화이다.
歸魂(귀혼)은 세상에서 소외되어 은신하고, 숨는 데 길한 운이다.
歸魂(귀혼)은 직위사퇴, 안정, 적당한 시기, 기다림, 종말,
은신, 낙심, 단념, 정숙 등이 특징이다.
歸魂三災(귀혼삼재)는 죽도록 해 보았자 성취가 어렵고,
재앙으로 매사가 물거품이 되기 쉽다.
歸魂日(귀혼일)에는 허실, 허방, 부족, 주저, 낭패, 계획 등에 치질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