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문관(無門關) 삼십일칙(三十一則)
조주감파(趙州勘婆)조주가 노파를 간파하다.
본칙(本則) 역(譯)
어떤 승려가 노파에게 물었다. 오대산으로 가려면 어디로 가야합니까? 노파가 말했다. 곧장 가시오. 승려가 막 서너 걸음 걸어가자 노파가 말했다. 훌륭한 스님이 또 저렇게 가는구나! 뒤에 한 스님이 조주에게 이 사실을 이야기하자 조주가 말했다. 내가 가서 너희를 위해 그 노파의 속임수를 알아보겠다. 다음날 곧 가서 앞서와 같이 물으니 노파도 앞서와 같이 대답하였다. 조주가 돌아와서 대중에게 말했다. 내가 너희를 위해 오대산 노파의 속임수를 완전히 간파해 버렸다. 趙州, 因僧問婆子, 臺山路向甚處去. 婆云, 驀直去. 僧纔行三五步. 婆云, 好箇師僧, 又恁麼去. 後有僧舉似州. 州云, 待我去與爾勘過這婆子. 明日便去, 亦如是問, 婆亦如是答. 州歸謂眾曰, 臺山婆子, 我與爾勘破了也.
평창(評唱) 역(譯)
무문이 말했다. 노파는 다만 막사에 앉아서 작전만 짤 줄 알았지 도적이 든 줄은 몰랐고, 조주 노인은 진영을 훔치고 요새를 빼앗는 기술은 잘 쓸 줄 알았지만, 또한 대인의 모습은 없었다. 점검해 보면 두 사람 모두 허물이 있다. 자, 말해 보라. 어디가 조주가 노파의 정체를 알아차린 곳인가? 無門曰 婆子只解坐籌帷幄, 要且著賊不知, 趙州老人, 善用偷營劫塞之機, 又且無大人相. 撿點將來, 二俱有過. 且道, 那裏是趙州勘破婆子處.
송(頌) 역(譯)
게송으로 읊다. 물음이 이미 같으니 대답도 역시 비슷하구나. 밥 속에 모래가 있고 진흙 가운데 가시가 있도다. 【頌曰】問既一般, 答亦相似. 飯裏有砂, 泥中有刺.
사족(蛇足)
삼십일칙(三十一則) 조주감파(趙州勘婆) 공안화두(公案話頭)는 조주(趙州禪師)가 떡 장사 노파(老婆)를 감정(勘定) 감파(勘破) 했다는 화두(話頭)다. 조주 땅 관음원(觀音院) 아랫마을 떡 장사하는 노파를 조주선사(趙州禪師)가 직접 가서 간파(看破)했다는 공안(公案)이다. 당구풍월(堂狗風月) 서당 개 삼년에 풍월을 읊는다고 광음원(觀音院) 절 아래 떡 장사 노파가 오고 가는 선객(禪客)들에게 선문답(禪問答)한다고 애를 먹였다. 조주선사를 찾아오는 스님들마다 떡 장사 노파 집을 지나가게 되는데, 오대산 관음원 가는 길이 어디로 가요? 하고 물으면 손으로 가르치지도 않고 입을 삐쭉 내밀고 곧장, 가시오. 일러준 대로 곧장 가면 바로 가는 선객 뒷 통수에 대고 젊잖은 스님이 말귀를 못 알아듣고 또 저렇게 가는구만! 하고 핀잔을 주기 일쑤다. 주금강(周金剛)이었던 덕산선사도 똑같이 당했다. 조주선사가 노파 소식을 듣고 직접 가서 노파를 감파(勘破)하고 오겠다고 떡집에 갔다. 노파에게 오대산 관음원 가는 길을 물었다. 노파가 똑같이 말을 했다. 조주선사 노파가 일러준 대로 가니, 노파가 똑같은 말로 핀잔 조롱이다. 관음원에 돌아온 조주선사께서 대중을 모아 놓고 방금 노파를 감정 감파(勘破) 했다고 선언하는 노파감파(老婆勘破) 공안(公案) 화두(話頭)다. 혜개선사 평창에서 노파를 두고 장막 속에 앉아서 작전만 짤 줄 알았지, 적이 진중에 들어온 줄은 까맣게 잊고 있었다고 평창을 했다. 노파의 적은 조주선사를 지칭한 말이다. 관음원 조실로 계신 조주선사를 몰라보고 단일(單一)메뉴로 떡 장사 노파 알음알이 지견(知見)으로 선문답(禪問答)을 했기 때문이다. 떡 장사 노파 주제에 주제(主題) 파악(把握)을, 못한 것이 흠(欠)이란 말이다. 조주선사도 선지식(善知識) 대인(大人)이 이면서 떡 장사 노파나 감파(勘破) 했다고 자랑하는 것도 허물(欠)이 많다는 혜개의 평이다. 처음 온 선객(禪客)들은 노파에게 속지만 오대산(五臺山) 관음원(觀音院) 주인(主人) 조주선사를 몰라본 것은 똑같은 말로 수작을 부린 것은 집안에 큰 도둑이 든 줄도 모르는 노파의 살림살이가 다 털려서 들통이 났다는 평이다. 오고 가는 선객은 노파가 다 속여도 관음원 주인 조주 노장은 속아 넘어가지 않았다. 되려 감파 당하고 말았다. 감파 했다는 것도, 조주 노장이지 노파의 뜻과는 무관한 일이다. 혜개선사 송왈(頌曰) 물음도 같고 대답도 같으니 밥 속에 모래알이고, 진흙 속에 가시가 돋쳤다고 평했다.
화옹송평(和翁頌評) 역(譯)
조주가 노파를 감파 하였다는 공안화두는 객승들도 덕산도 똑같이 속아 감파를 당했네. 묻는 것도, 같고 답도 똑같았으니, 노파는 조주가 큰 도적인 걸 전혀 알아 못 하였네. 趙州勘婆公案話 客僧德山勘破欺 問路一般答同一 老婆趙州不知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