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바다! (7:31-37)
데가볼리를 지나 갈릴리 호수에 이르렀을 때 사람들이 예수께 나아왔네 안수하여 주기를 원하여 귀 먹고 말 더듬는 자를 데리고
예수는 그 사람을 따로 데리고 무리를 떠나 손가락을 그의 양 귀에 넣고 침을 밷어 그의 혀에 손을 대시며 하늘을 우러러 탄식했네
*에바다! 그의 귀가 열리고 혀가 맺힌 것이 풀려 말이 분명해졌네
* 에바다! (막 7:31-37)
어느 날 예수님은 사람들이 데리고 온 귀먹고 어눌하여 말이 분명하지 못한 사람을 고치셨습니다. 손가락을 그의 양 귀에 넣고 또 침을 밷아 그의 혀에 손을 대시며 하늘을 향하여 탄식하면서 “에바다!” 했을 때 치유의 역사가 일어났습니다. 이 이적의 역사를 나타낸 본문의 말씀이 오늘날 우리에게 무엇을 교훈하는가?
1. 예수님은 귀먹고 어눌한 자를 보고 하늘을 우러러 탄식했습니다.
사람들이 데리고 온 귀먹고 말 더듬는 사람은 건강한 사람이 볼 때 매우 불쌍한 사람입니다. 귀가 먹었으니 남의 말이나 소리를 듣지 못하고 또 말을 더듬으니 얼마나 답답하겠습니까? 그러나 이 사람은 낳을 때부터 귀가 먹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중간에 어떤 질병으로 그렇게 되었을 것인데 그렇게 생각할 수 있는 이유는 그가 어눌하지만 말을 할 수 있다는데 있습니다. 그러니 얼마나 답답하겠습니까? 예수님은 그 모습을 가련히 여기고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신 것입니다. 하늘을 우러러 보시는 자세는 기도하는 모습이고 탄식은 그 환자를 보면서 깊은 동정심을 가졌다는 의미입니다. 그렇습니다. 주님은 우리의 고통을 당신이 당하는 고통으로 이해하시며 긍휼히 여기시는 분입니다. 성령은 지금도 우리를 위하여 탄식하며 기도하신다고 성경은 말씀합니다.(롬 8:26)
2. 예수님은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시며“에바다”라고 하셨습니다.
“에바다”라는 말은 “열리다”라는 뜻을 가진 아람어입니다. 예수님의 이 말씀에 지금까지 닫혔던 그의 귀가 열려 남의 말을 듣고 혀의 맺힌 것이 풀리면서 분명한 말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주님은 오늘날도 닫혀있는 것이 열리기를 원하십니다. 먼저 마음이 열려서 하나님의 말씀을 긍정적으로 받고 이웃을 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귀가 열려서 진리의 말씀을 분별하며 영적 음성을 들어야 하고(계 2:7) 눈이 열려서 영적 세계를 볼 수 있어야 하고,(시 119:18) 입이 열려서 기도하고,(시 116:2) 찬송하며,(사 43:21) 복음을 전파해야 합니다.(렘 20:9)
3. 예수님은 무리들로부터 “잘하였도다”하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예수님은 병자를 고치시고 그 사실을 아무에게도 전하지 말라고 했습니다. 이는 당신 자신이 단지 이적이나 행하러 온 사람으로 잘못 알려지기를 원치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예수님의 치유 소식은 널리 전파되었고 사람들은 그 이적의 역사에 감탄하면서 “잘했다”고 평가를 했습니다. 물론 예수님은 사람들로부터 평가를 받아야 할 대상은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에 잘못이 있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당시에 예수님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으며 복음을 전하셨음을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사람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하면서 복음 증거한다는 것은 실로 어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정신과 언행을 본 받으면서 복음 전파 사역을 충실히 감당해야 할 것입니다.
* 성경공부를 위한 질문 1. 귀 먹고 말 더듬는 사람을 치유한 곳은 어딥니까? 2. 사람들이 그에게 안수해 주기를 구한 데는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3. 예수께서 귀 먹고 말 더듬는 사람에게 행한 방법은 무엇입니까? 4. 에바다라는 말의 뜻은 무엇입니까? 5. 이 사실을 아무에게도 알리지 말라는 예수님의 분부에는 어떤 뜻이 있을까요? 6. 그럼에도 이에 대한 소문 은 어떻게 되었으며 사람들의 반응은 무엇이었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