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과선사와 백락천 사건
배경은 중국 당나라 시기, 백락천(백거이)이 항주 자사(검찰관)로 부임했을 때의 이야기
당시 항주 근처의 사찰에 조과선사(도림선사)라는 이름난 고승
도림선사는 청명한 날이면 경내 오래된 소나무 위에 올라가 좌선을 하였기에, "조과(새 둥지)"라는 별명
백락천은 그 뛰어난 학식과 경륜, 벼슬의 지위로 약간의 우월감과 자만심을 품고 있었는데, 도림선사의 고명을 듣고 이를 시험해보고자 수행원을 거느리고 직접 절을 찾아갔다.
그날도 도림선사는 나무 위에 올라 앉아 좌선 중이었고, 백락천은 그의 처지가 너무 위험하다며 걱정했다.
이에 조과선사는 "네가 서 있는 땅보다 내가 앉은 나무 위가 더 안전하다"고 답했다. 이는 세상의 속된 지식과 욕망으로 인한 마음의 위험과 번뇌가 더 무서운 것임을 비유한 말.
백락천이 불법의 뜻을 묻자, 조과선사는 "나쁜 짓을 하지 말고 착한 일을 하며, 마음을 깨끗이 하는 것이 불법의 가르침"이라고 하였다.
이에 백락천이 "세 살짜리 어린아이도 아는 말"이라고 하자, 조과선사는 "그것을 팔십 노인도 실천하기 어렵다"고 하며 실천의 어려움을 강조했다.
이 일화를 계기로 교만했던 백락천은 도림선사에게 귀의하여 불법 수행에 힘썼다. 이 사건은 지식과 행위의 일치, 마음 수양과 진정한 깨달음의 중요성을 드러내는 의미 깊은 선승과 문인의 교류 에피소드
첫댓글 불법수행이 무엇입니까?
선과 악은 무엇 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