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송유익(宋惟翊)은 유익(攸益) 혹은 유익(有翼)이라고도 했다. 고려조의 진사(進士)로 송씨문헌록(宋氏文獻錄)에 보면 그는 나라에 공훈이 많아 여산군(礪山君)에 봉해지고 은청광록대부(銀靑光錄大夫)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4세손 송송례(宋松禮)가 고려 원종 때 권신(權臣) 임연(林衍)일파를 제거하고 왕실을 바로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추성익대보리(推誠翼戴輔理) 동덕좌명공신(同德佐命功臣)에 책록되고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광정대부(匡靖大夫) 문하시중판전리사사(門下侍中判典理司事) 상장군(上將軍)에 오르고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식읍(食邑) 1천호를 하사받았다. 여량(礪良)은 여산(礪山)의 옛 이름이다. 이런 연유로 후손들이 여산(礪山)을 관향(貫鄕)으로 삼게 되었고 그를 중시조, 4대조인 송유익(宋惟翊)을 시조로 한다. 송유익(宋惟翊)의 동생 송천익(宋天翊)은 그 자손(子孫)이 은진(恩津)에 세거(世居)했으므로 은진송씨(恩津宋氏)라 한다.
본관지 연혁 |
|
여산(礪山)은 여량현(礪良縣)이라고도 한다. 본래 백제의 지량초현(只良肖縣)인데, 신라 때 여량(礪良)으로 고쳐 덕은군(德殷郡)의 영현(領縣)으로 만들었다. 고려조 현종 9년 전주(全州)에 소속시켰고 공양왕 3년에는 감무(監務)를 두어 낭산(朗山)과 공촌피제권농사(公村皮堤勸農使)를 겸임하게 하였다. 낭산(朗山)은 본래 백제의 알야산현(閼也山縣)이다. 조선조 정종 2년 두 현(縣)을 합쳐 여산현(礪山縣)이라 불렀고 세종 18년에 원경왕후(元敬王后) 민(閔)씨의 외향(外鄕)으로 군(郡)으로 승격, 충청도에 속하였다가 동(同)26년(年)에 다시 전라도로 속하였고 숙종 24년 단종비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宋氏) 성향(姓鄕)이라 하여 부(府)로 승격하였다. 1914년 익산군(益山郡)의 한 면(面)이 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주요 성씨로 송(宋)ㆍ가(李)ㆍ오(吳)ㆍ황(黃)ㆍ최(崔)ㆍ임(林)ㆍ배(裵)ㆍ문(文)ㆍ김(金)씨 등이 있었다.
|
파명록 |
|
원윤공파(元尹公派)ㆍ밀직공파(密直公派)ㆍ소윤공파(少尹公派)ㆍ지신공파(知申公派)ㆍ정가공파(正嘉公派)
|
주요 세거지 |
|
시조의 묘롱(墓壟)이 전북 익산(益山)에 있고, 3세 송희식(宋希植) 이래로 개성(開城)ㆍ장단(長湍)ㆍ양주(楊州) 등 경기지역에 세장지지(世葬之地)가 있는 점으로 보아 이 무렵부터 그곳에 살았던 것 같다. 원윤공(元尹公) 장남 송선(宋璿)은 태종비(太宗妃)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외조로 삼중대광(三重大匡) 여량군(礪良君)을 봉하였고 그 후계(後系)가 대구(大邱)에 세거했다. 송선(宋璿)의 7세손(世孫) 송익필(宋翼弼)의 선대는 황해도(黃海道) 배천(白川)에 거주한 것으로 보이고 그는 현 고양군(高陽郡)에 살다가 이율곡(李栗谷) 성우계(成牛溪)의 피화시(被禍時)에 동기간(同氣間)인 부필(富弼)ㆍ한필(翰弼)을 잃고 본인(本人)은 유배생활(流配生活)을 하다가(보문산(普門山)) 사면(赦免)되어 당진군(唐津郡) 원당리(元唐里) 마양촌(馬陽村) 전진옥실(全鎭玉室)에 우거(寓居)했다. 뒤에 자손(子孫)들이 점차 산거(散居)해갔으며 후손(後孫)이 당진군(唐津郡) 송악면(松嶽面)에 많이 살았다. 원윤공(元尹公)의 육세손(六世孫) 송간(宋侃)은 단종손위(端宗遜位) 때에 영월(寧越)에 복명(復命)하고 계룡산(鷄龍山)에서 단종(端宗)의 삼상(三喪)을 마친 후 흥양(興陽)(고흥(高興))으로 가 살았고 그 자손(子孫)이 전국(全國) 각지에 산거(散居)했다. 충강공(忠剛公)의 동생 송시(宋偲)는 형님과 더불어 흥양(興陽)에 가 살았으므로 후손(後孫)이 흥양(興陽)에 거주하였다. 역시 충강공(忠剛公)의 동생인 송희(宋僖)는 흥양(興陽)에 은거(隱居)하였고 그 자손이 강진(康津)에 거주(居住)하였다. 서재(西齋)의 재종제(再從弟) 송경원(宋慶元)은 단종(端宗) 손위(遜位)에 임실(任實)에 잠적(潛跡)하여 그 자손(子孫)이 그곳에 자리잡았다. 원윤공(元尹公) 증손(曾孫) 송거신(宋居信)은 태종(太宗)의 잠저시(潛邸時)에 구명지공(救命之功)으로 대현(大顯)하고 그 자손(子孫)이 파주(坡州)와 고양(高陽)ㆍ단산(端山)ㆍ장흥(長興) 등지(等地)에 터를 굳혔다. 원윤공(元尹公)의 손(孫) 송윤(宋贇)은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냈으며 전북(全北) 부안(扶安)에 예장(禮葬)되었으니 그 자손(子孫)이 부안(扶安), 제주(濟州) 등지에 뿌리를 내렸다. 원윤공(元尹公)의 오대손(五代孫) 송문(宋文)(말생(末生))은 덕산군(德山君)을 봉군(封君)받고 그 후 영남으로 가 그곳에 터를 잡았으므로 그 자손(子孫)이 영주(榮州), 봉화(奉化), 횡성(橫城)에 나뉘어 살았다. 원윤공(元尹公)의 손(孫) 송극명(宋克明)은 단종(端宗) 손위시(遜位時)에 동래(東萊)로 퇴거(退居)하였으므로 그 자손(子孫)이 동래(東萊)ㆍ부산(釜山)ㆍ김해(金海) 등지(等地)에 세거(世居)하였다. 밀직공파(密直公派)는 8세 송인수(宋仁壽)가 철원(鐵原)으로 옮겨간 사실이 원윤공파(元尹公派) ‘덕성군분파보(德城君分派譜)’(정사보(丁巳譜))에 나타나 있고, 10세 송승은(宋承殷)이 단종조 계유년(癸酉年)에 처자를 이끌고 남하하여 경남 김해군(金海郡) 하계면(下界面)에 살기 시작했으므로 이들 지역에 나뉘어 살았다고 믿어진다. 그리고 14세 송득길(宋得吉)이 지금의 청송군(靑松郡) 진보(眞寶)로 이거했으므로 후계(後系)가 그곳에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소윤공파(少尹公派)는 11세 송석종(宋錫宗)이 임진란을 피하여 고부(古阜)에서 화순군(和順郡) 동면(東面) 천운산(天雲山)에 들어가 살았던 사실이 한국송씨문헌록에(韓國宋氏文獻錄) 보이고, 9세 송륜(宋倫)과 그 아들인 송극창(宋克昌)ㆍ송득창(宋得昌)이 단종조 계유정난(癸酉靖難)을 목격하고 지금의 전북 김제군(金堤郡) 금구면(金溝面)에 은거(隱居)한 이래 자손들이 세거해왔다. 송득창(宋得昌)의 후계(後系) 중에서, 일부는 16세 송설(宋薛)이 만년에 김제(金堤)에서 옥구(沃溝)로 이거한 뒤에 그곳을 세거의 터로 삼아온 것 같다. 또 19세의 대를 전후하여 평북 위원(渭原)에 정착한 자손들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송염(宋琰)의 동생 송분(宋玢)의 자손들 중에서 지신공파(知申公派)는 7세 송교(宋郊)가 만년에 전북 정읍(井邑)에 속해 있는 고부(古阜)로 퇴거한 이래 그곳에 많은 자손들이 살았던 것 같고, 15세 송천종(宋千鍾)의 대에 일부가 전남 무안(務安)에 옮겨갔으므로 이들 지역에 나뉘어 살았다고 믿어진다. 송교(宋郊)의 동생 송령(宋玲)은 여말(麗末)에 농보진(籠堡鎭)에 유배되었다가 고려가 망하자 그곳에 자리를 굳혔고, 둘째 아들 송령(宋珵)에서 비롯된 자손들이 강원도 강릉(江陵), 경남 동래(東萊), 평북 평원(平原) 등지에 산거한 사실이 ‘덕성군분파보(德城君分派譜)’(정사보(丁巳譜))에 보인다. 정가공파(正嘉公派)는 14세 송춘부(宋春富)의 후계(後系)가 수원(水原)에, 12세 송식(宋軾)의 후계(後系)는 충남 아산(牙山)에, 16세 송덕동(宋德東)의 후계(後系)는 연기의 전동(全東)에 터를 잡고 살았으며, 15세 송유경(宋惟敬)이 흥양(興陽)에서 살다가 문중에 화가 미쳐 영남지역으로 옮겨갔고 아들대부터 진주(晉州)에 정착했다. 12세 송자강(宋自剛) 이래로 일부 자손들이 경북 예천(醴泉)에 살다가 15세 송경승(宋敬勝)의 후계(後系)가 충남 당진(唐津)에 이거(移居)했고, 흥려(興礪)가 경주(慶州)에 살기 시작했다. 17세 송신량(宋愼良)은 제주(濟州)로 유배되어 자손이 세거하게 되었던 것 같다. 11세 송세휘(宋洗輝)는 연산정란(政亂) 때에 상주(尙州)로 피해가 자리잡았으며, 역시 11세인 송철석(宋鐵石)이 연산(連山)에서 길주(吉州)로 이거한 후에 그곳에도 자손들이 살았다고 믿어진다. 그리하여 1930년경 강원도 화천군(華川郡) 일원, 경기도 화성군(華城郡) 우정면(雨汀面), 충남 부여군(扶餘郡) 충화면(忠化面), 전북 임실(任實)ㆍ정읍(井邑)ㆍ김제군(金堤郡) 일원, 경북 칠곡군(漆谷君) 북삼면(北三面), 제주도(濟州道) 남제주군(南濟州郡), 평남 용강군(龍岡君) 일원에 많은 자손들이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다.
|
씨족史 |
|
여산(礪山) 송씨(宋氏)는 족보(族譜)에 의하면 진사(進士)였던 송유익(宋惟翊)을 시조로 하는 성씨다. 조선 세종 때에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 성씨조(姓氏條)와 ‘신증동국여지승람’성씨조(姓氏條)를 보면 여산(礪山)의 가장 대표적인 성씨였음을 알 수 있다. 송유익(宋惟翊)을 시조로 내세우기는 하지만, 가문의 번창을 가져온 것은 4세 송송례(宋松禮)에 이르러서였다. 여산송씨(礪山宋氏) 세보(世譜) 정렬공묘갈명(貞烈公墓碣銘)에 의하면 송유익(宋惟翊)이 처음으로 진사에 나감으로서 향리를 면(免)했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의 관직에 종사하기 전에는 여량현(礪良縣)에 거주하면서 향역(鄕役)에 종사하는 토착 성씨였다고 생각된다. 4세손 송송례(宋松禮)의 자는 입인(立仁), 시호는 정렬공(貞烈公)이다. 고려 원종 때에 몽고에의 완전 항복의 표시인 개경으로의 환도(還都) 여부를 두고 원종측과 임유무(林惟茂)측이 대립하고 있을 때 왕정복고(王政復古)에 기여한 공으로 추성익대보리동덕좌명공신(推誠翊戴輔理同德佐命功臣)의 호를 받았다. 계속 관직이 상승하여 후에 도첨의사사중찬(都僉議使司中贊)으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그에 의해서 가문 발전에 기초가 닦인 여산송씨(礪山宋氏)는 자손대에까지 계송 번성을 보았다. 송송례(宋松禮)의 큰 아들인 송염(宋琰)은 군부판서(軍簿判書)에 올랐고, 그 아들인 송방영(宋邦英)은 밀직부사(密直副使)를 거쳤으며 충렬왕을 보필하여 크게 세력을 떨쳤다. 그러나 송염계(宋琰系)보다는 그 동생인 송분계(宋玢系)가 더욱 세력을 얻어 가세(家勢)를 떨쳤다. 양의공(良毅公) 송분(宋玢)은 찬성사(贊成事)를 거쳐 1300년 우중찬(右中贊)으로 추성찬화안사공신(推誠贊化安社功臣)이 되었다. 그의 네 아들인 송진(宋瑨), 송린(宋璘), 송■(宋■), 송서(宋瑞)는 각각 우부승지(右副承旨), 지신사(知申事), 낭장(郎將), 도첨의우정승(都僉議右政丞)을 지내, 부자에 걸쳐 모두 현달하였다. 그 중에서도 송송례(宋松禮)-송분(宋玢)-송서(宋瑞)로 이어지는 3대에 걸쳐 상상(上相)을 역임한 것은 특기할 만하다. 그러나 이들은 당시 충렬왕파로서 충선왕과 대립관계에 있었는데, 충선왕이 원정(元政)에서 세력을 잡자 송방영(宋邦英)과 송린(宋璘)이 주륙되고, 송분가(宋玢家)가 적몰되는 정치적 파란도 겪어야만 했다. 여산송씨(礪山宋氏)는 6세손에서 크게 5개 파로 갈라진다. 송운(宋惲)계가 원윤공파(元尹公派), 송방영계(宋邦英系)가 밀직공파(密直公派), 송원미계(宋元美系)가 소윤공파(少尹公派), 송린계(宋璘系)가 지신공파(知申公派), 송서계(宋瑞系)가 정가공파(正嘉公派)로 나누어진다. 충렬왕 후기에 정치적 변동으로 가문이 적몰되기도 하였으나, 송씨가(宋氏家)의 가세(家勢)는 크게 손상받지는 않고 유지된 것 같다. 조선 개국 후에도 여전히 많은 관직자를 배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신공파(知申公派)의 11세손인 송현수(宋玹壽)대에 이르러서는 단종비(端宗妃)(정순왕후(定順王后))까지 배출하고 있다. 조선 개국 이후 여산송씨가(礪山宋氏家)의 유명인물을 파별(派別)로 살펴보겠다. 먼저 원윤공파(元尹公派)는 송염(宋琰)의 큰 아들인 송운(宋惲)을 파조(派祖)로 하며, 그 5대손인 송문(宋文)(말생(末生))에서부터 다시 덕산(德山) 송씨(宋氏)로 행세하다 평온을 되찾자 여산송씨(礪山宋氏)로 환원(還元)했다. 송거신(宋居信)은 시호가 충정(忠靖)이다. 조선 태종의 비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친척이었으므로 태종이 잠저시(潛邸時)에 수렵(狩獵)에 동행하였다가 호환(虎患)을 대신(代身)한 덕으로 태종이 즉위한 후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봉되었고, 내자소경(內資少卿), 호용순위사대호군(虎勇巡衛司大護軍), 상호군(上護軍), 우군첨총제(右軍僉摠制) 등을 역임하고 여량군(礪良君)에 봉해졌다. 태종 10년에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 우군도총제(右君都摠制)를 지낸 뒤 세종 8년에 보국숭록(輔國崇祿)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에 진봉(進封)되고 충정(忠靖)으로 시호(謚號)되었다. 원윤공(元尹公)의 5세손인 송문(宋文)은 조선 개국 때 개국공신으로 덕성군(德城君)에 봉해졌으며 자헌대부(資憲大夫) 호조판서(戶曹判書)에 이르렀다. 송간(宋侃)은 원윤공(元尹公)의 6세손인데, 세종, 문종, 단종 3대에 걸쳐 벼슬을 하여 관직은 가선대부(嘉善大夫) 형조참판(刑曹參判)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단종이 손위(遜位)하고 세조가 즉위한 후 영월로 노산군(魯山君)(단종)을 찾아 팔도진무사(八道鎭撫使)로써 순무(巡撫) 결과를 복명(復命)하고 단종이 시해당한 후에 김시습(金時習), 조상치(曺尙治) 등과 함께 계룡산에 들어가 2년간 복상(服喪)했다. 그 후 흥양(興陽)(현 고흥)에 은거하였다. 1791년 정조 때에 이르러 그의 유자적(儒者的) 충절이 인정되어 충강공(忠剛公) 시호(謚號)를 받아 서원에 배향되고 증직되었다. 재동서원(齋洞書院)의 서동사(西洞祠)에는 충강공(忠剛公) 송간(宋侃)과 청간공(淸簡公) 김시습(金時習)을 비롯하여 임란공신(壬亂功臣) 9위(位)(충양공(忠襄公) 송순례(宋純禮)ㆍ참의(參議) 송대립(宋大立)ㆍ판관(判官) 송건(宋建)ㆍ수사(水使) 송희립(宋希立)ㆍ현감(縣監) 송상보(宋商輔)ㆍ어영장(禦營將) 송홍연(宋弘淵)ㆍ영장(營將) 송득운(宋得運)ㆍ참판(參判) 송진부(宋眞夫)ㆍ병자호란공신(丙子胡亂功臣) 승지(承旨) 송심(宋諶))를, 창효사(彰孝祠)에는 정려(旌閭)받은 사효자(四孝子)(호참(戶參) 송석륭(宋碩隆), 참의(參議) 송명규(宋明奎)ㆍ이륜당(二倫堂) 송찬문(宋粲文)ㆍ호참(戶參) 송정규(宋禎奎))를 배향(配享)하였다. 원윤공(元尹公) 8세손 송익필(宋翼弼)의 자는 운장(雲長)이요 호는 귀봉(龜峰)이다. 문장도덕(文章道德)이 세상에 널리 알려졌고 이율곡(李栗谷) 성우계(成牛溪)와 와 더불어 도의(道義)로 사귀었으며 8대 문장(文章)의 한 사람으로 김사계(金沙溪), 김신독재(金愼獨齋), 서채봉(徐菜峯), 민노봉(閔老峯) 등 많은 거유(巨儒)를 배출하였다. 후에 대제학(大提學)을 증직받고 문경공(文敬公)으로 시호(謚號)를 받았으며 당진군(唐津郡) 입한재(立限齋)와 그 외의 여러 사우(祠宇)에 배향(配享)되었고 많은 유집(遺集)을 세상에 남기었다. 12세손인 송대립(宋大立)은 이순신 휘하에서 전공을 세우고 순직하였다. 이에 조정에서는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에 기록하고 병조참의(兵曹參議)의 벼슬을 증직하였다. 송대립(宋大立)의 아우인 송희립(宋希立)도 이순신 장군 밑에서 전투에 참가하였다. 충무공이 전사한 바로 그 전쟁터에서 그의 죽음을 감추고 끝까지 독전하여 승전으로 이끌었으며, 뒤에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에 기록되었다. 임진년의 국난을 당하여 많은 충신, 의사를 배출한 것도 당시 가문의 큰 자랑이었다. 밀직공(密直公)에게는 완(捖), 표(標), 군보(君輔)의 세 아들이 있었다. 송표(宋標)는 대광첨의(大匡僉議) 상호군(上護軍)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에 봉해졌는데, 그의 아들 송유충(宋有忠)이 청주(淸州) 송씨(宋氏)의 비조(鼻祖)가 된다. 그는 충숙왕 때에 청원군(淸原君)에 봉해졌으나 그의 생졸(生卒), 배위(配位) 및 묘소 등에 관한 문헌이 전해지지 않는다. 송승은(宋承殷)은 송유충(宋有忠)의 손자로 단종 때에 문과에 급제하여 행성균관대사성(行成均館大司成)이 되었는데, 단종이 폐위되자 외직으로 나갔다. 칠원현감으로 부임하면서 가족을 거느리고 남하하여 그의 후손들이 김해 서쪽 하계면(下界面)에 대대로 살게 되었다. 송정남(宋廷男)은 임진왜란 때 순절한 송빈(宋賓)의 둘째 아들로 신산서원(新山書院)을 지어 조식(曺植)을 제향하고 수직(壽職)으로 통정(通政)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받았다. 그의 아들 송수(宋洙)는 부모에게 성경(誠敬)을 다한 것으로 이름이 있었으며 숙종 연간에 ‘동국여지승람’을 신증할 때에 본 고을의 고적을 찾아 증보하는데 참여하였다. 소윤공파(少尹公派)는 송원미(宋元美)를 파조(派祖)로 한다. 송윤(宋倫)은 소윤공(少尹公)의 증손인데, 세종 때 이래 광흥창승(廣興倉丞)에 있다가 계유정난이 일어나자 전라도 금구현으로 낙향, 은거하였다. 그의 아들 송극창(宋克昌)도 일찍이 문과에 급제하여 충청도도사(都事), 예빈시부정(禮賓寺副正)을 거쳐 영광군수로 재직하다가 부친과 함께 낙향한 후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송천희(宋千喜)는 송극창(宋克昌)의 아들인데, 성종 20년 문과에 급제한 후 삼사(三司)의 관직을 두루 거쳤다. 황해도 관찰사, 부승지(副承旨), 부제학(副提學)을 거쳐 대사헌(大司憲), 형조판서, 이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전선(銓選)에 사(私)가 없었다는 평을 들었고 청백리로 이름이 높았다. 소윤공(少尹公) 13세손 송일중(宋日中)은 시헌(時獻)의 아들로 호는 송재(松齋), 필법(筆法)이 절륜(絶倫)하여 명성이 일세에 진동(振動)하고 판서(判書) 이인징(李麟徵)이 중국사신(中國使臣)으로 갔을 때 그의 초(草)ㆍ예서(隸書)를 보였더니 배신(陪臣)들이 일자천금(一字千金)이라 이르더라 하였다. 지신공파(知申公派)는 양의공(良毅公) 송분(宋玢)의 둘째 아들인 송린(宋璘)을 파조(派祖)로 한다. 지신공(知申公)의 아들 송교(宋郊)는 문과를 거쳐 중정대부(中正大夫) 전의령(典醫令)에 재직하다가 아버지가 주륙됨에 미쳐 운주산(雲洲山)에 은거하였다. 그의 아들인 송희(宋禧)는 가정대부(嘉靖大夫) 공조전서(工曹典書)에 이르렀고 태종과 친분이 두터웠다. 지신공(知申公)의 후손들은 단종의 양위와 세조의 즉위를 둘러싸고 영욕을 번갈아 거치게 된다. 송익손(宋益孫)은 시호를 양묵(襄墨)이라 하며 자(字)는 익지(益之)이다. 단종 원년에 수양대군을 도와 김종서를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 3등이 되었다. 한성부판관, 종부시(宗簿寺), 한성부, 예빈시(禮賓寺) 등의 소윤(少尹)을 거치고, 1463년에 나주목사가 되어 여산군(礪山君)에 봉해졌다. 예종 원년에 가정대부(嘉靖大夫)에 오르고 부호군(副護軍),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이와는 달리 송석손(宋碩孫)은 수양대군의 단종 원년 거사에 반대하였고, 세조가 즉위하자 금마(金馬)(전북 익산)에 내려가 은거하였다. 여산송씨(礪山宋氏)의 후손들 중에서 세조의 즉위를 전후하여 가장 주목되는 인물은 단종비인 정순왕후(定順王后)와 그의 부(父)인 송현수(宋玹壽)이다. 송현수(宋玹壽)의 시호는 정민(貞愍)이며, 송복원(宋復元)의 아들이다. 본래 수양대군과는 가까운 친구 사이였다. 단종 2년에 그의 딸이 비(妃)로 책봉되자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가 되고 여량군(礪良君)에 봉해졌다. 정치사의 변동이 크게 없는 시절이었다면 그는 부원군으로 영달할 뿐만 아니라 그의 집안도 크게 번창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단종, 세조조의 정변은 그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성삼문(成三問) 등의 사육신 사건이 일어났을 때에는 수양대군의 두둔으로 무사할 수 있었으나, 금성대군(錦城大君) 유(瑜)가 사사(賜死)됨에 미쳐서는 생명조차 부지할 수 없었다. 세조의 공신들이 중심이 된 양사(兩司)의 주장에 의해 주륙되고, 그의 묘소조차 어디인지 찾을 수 없다. 숙종 24년(1698)에 노산군(魯山君)이 단종(端宗)으로 복위되자 그 이듬해에 영돈녕부사(寧敦寧府事)에 추증되고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에 추봉되었다. 송현수(宋玹壽)의 딸로 단종비로 책봉된 정순왕비(定順王妃)는 단종이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됨에 이르러 부인(夫人)으로 강봉되었다. 그 후 단종이 영월로 귀양가자 청룡사(靑龍寺)의 스님으로 들어가서 일생을 마쳤다. 아버지 이하 일문(一門)이 멸족당하는 정치사의 변동 속에서 한 많은 일생을 마쳤을 것이다. 숙종조에 이르러 단종이 복위되자 왕비도 정순왕후(定順王后)로 추봉되었다. 청룡사(靑龍寺)는 후에 영조의 명에 의해 정업원(定業院)으로 고쳐부르게 되었다. 송세림(宋世琳)은 지신공(知申公)의 7세손이며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봉된 송연손(宋演孫)의 둘째 아들이다. 1502년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장원하였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공을 세워 정국원종2등공신(靖國原從二等功臣)에 책록된 후 귀향하여 은거하였다. 후에 호남유생들의 주청에 의해 정읍의 무성서원(武城書院)에 배향되었다. 충렬공(忠烈公) 송상현(宋象賢)은 송복흥(宋復興)의 아들로서 1576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였다. 주서(注書), 경성판관(鏡城判官)을 거쳐 종계변무사(宗系辨誣使)의 질정관(質正官)으로 명(明)에 다녀왔다. 호조(戶曹)ㆍ예조(禮曹)ㆍ공조(工曹)의 정랑(正郞)ㆍ사재감정(司宰監正)ㆍ군자감정(軍資監正)을 역임하고 1591년 동래부사(東萊府使)로 나갔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동래부사(東萊府使)로 재직하면서 왜병에 항전하다 장렬히 전사한 것은 유명하다. 그의 충절을 기려 이조판서(吏曹判書)ㆍ찬성(贊成)을 추증하고 시호를 내렸으며, 동래의 낙안서원(樂安書院), 개성의 숭절서원(崇節書院), 청주의 신항서원(莘巷書院), 고부의 정충사(旌忠祠)에 제향하였다. 송인급(宋仁及)은 송상현(宋象賢)의 아들로 문과에 급제한 후 통정대부(通政大夫)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을 거쳐 지제교(知製敎)를 지냈다. 송정명(宋正明)은 대사간(大司諫)ㆍ대사성(大司成)을 역임하고 중국에 다녀온 후 경상ㆍ충청ㆍ전라도 감사(監司)를 역임하고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다. 동생인 송성명(宋成明)은 숙종 31년에 문과에 급제한 후, 대사간ㆍ대사성ㆍ부제학(副提學)을 역임하였다. 청(淸)에 다녀온 후 도승지(都承旨)ㆍ예조판서 겸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을 지내고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을 편저하였다. 그 동생인 송진명(宋眞明)은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올라 이조판서 겸 판의금부사(判義禁府使)를 역임하였고, 학행과 청렴으로 이름이 높았다. 송인명(宋寅明)은 충헌공(忠憲公)으로 숙종조에 관직에 나아가 영조대에 현달하여 좌의정까지 지냈다. 영조의 탕평책에 협조하여 중용되었고, 왕명으로 신임사화(辛壬士禍)의 전말을 기록한 ‘감안록(勘案錄)’을 편찬하였다. 송창명(宋昌明)은 숭정대부(崇政大夫)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에 이르렀고, 그 동생인 송교명(宋敎明)은 대사간(大司諫)에까지 이르렀다. 지신공파(知申公派)의 후손은 공의 14대손대에 이르러 극히 현달하였다. 지신공의 19세손인 송종혁(宋鍾赫)은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지낸 송면재(宋冕載)의 증손이다. 1919년 3ㆍ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주민을 주동하여 일병(日兵)에 투석전을 벌이다가 순절하였다. 21세손인 송영만(宋榮晩)은 무과를 거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이르렀고, 22세손인 송만섭(宋萬燮)은 고종조에 외직을 거쳐 경주부윤(慶州府尹)까지 지냈으나, 1895년 민비(閔妃)가 시해되자 산속으로 은거하였다. 정가공파(正嘉公派)는 도첨의우정승(都僉議右政丞)을 지낸 송서(宋瑞)를 파조(派祖)로 하며, 여기에서 양주(楊州) 송씨(宋氏)가 갈라진다. 정가공(正嘉公)의 큰 아들 송인번(宋仁蕃)은 봉익대부(奉翊大夫)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에 이르렀고, 둘째인 송윤번(宋允蕃)은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이른 반면, 셋째인 송의번(宋義蕃)은 조선 개국에 반대하여 은거하였다. 송윤번(宋允蕃)의 아들인 송전(宋琠)은 가선대부(嘉善大夫) 판나주목사(判羅州牧使)에 이르렀고, 송지(宋祉)의 아들인 송유치(宋有徵)는 공민왕조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문하시중(門下侍中)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에 이르렀으나 조선 개국 후 전주로 낙향해버렸다. 송문림(宋文琳)은 정가공(正嘉公)의 5세손으로 이조참판(吏曹參判)에까지 이르렀다. 숙정공(肅靖公) 송일(宋軼)의 호는 취춘당(醉春堂), 자는 가중(可中)이다. 성종조에 과거에 급제한 후 관직에 나아가 경기도관찰사, 우찬성(右贊成), 이조판서를 역임하고, 1513년(중종8) 우의정을 거쳐 뒤에 영의정에 이르렀다. 중종반정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이 되었고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에 올라 여원부원군(礪原府院君)에 책봉되었다. 그의 손자인 송인(宋寅)은 중종의 셋째 공주 정순옹주(貞順翁主)와 결혼하여 여성위(礪城尉)에 봉해지고 도총관(都摠管)으로 금군(禁軍)을 통솔하였다. 지은 글이 많았으나 다 없어지고 ‘이암집(頤菴集)’ 한 권만이 전해지고 있다. 송언신(宋言愼)은 이황(李滉)을 사사하여 예학과 경의(經義)에 관해 문답한 것이 많이 남아 있으며, 대사간ㆍ도승지ㆍ대사성ㆍ형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이조판서에까지 이르렀다. 송서(宋瑞)의 11세손인 송치현(宋徵賢)은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고, 영조 4년에 단성현감(丹城縣監)으로 재직 중 이인좌의 난 토벌에 공을 세웠고, 영조 32년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올랐다. 12세손인 송대길(宋大吉)은 인조 원년에 알성문과에 급제하고 경주부윤ㆍ한성부우윤(右尹)ㆍ도승지(都承旨)ㆍ경기도 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노모를 극진히 봉양한 것으로 이름이 있었다. 19세손인 송진희(宋鎭熙)는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만 정진하였다. 이황(李滉)의 학통을 이어받아 주자 성리학 연구와 강학(講學)으로 일생을 마쳤으며, ‘주자서촬요(朱子書撮要)’, ‘선현예설유의(先賢禮說類義)’ 을 남겼다. 송주면(宋宙冕)은 최익현(崔益鉉)의 문인으로 1910년에 나라가 망하자 물에 몸을 던져 순절하였다. 선생 중에서 면암(勉庵)의 절의를 본받은 의사라 하겠다. 양주(楊州) 송씨(宋氏)는 정가공파(正嘉公派)에 근원하여 분적(分籍)되었다. 시조 송도성(宋道成)은 정가공(正嘉公)의 현손인데 조선 개국 초에 장악원정(掌樂院正)을 역임하고 양주(楊州)에 복거(卜居)한 후 후손들이 계속 세거하였다. 후에 난을 피하여 공주(公州)에 옮겨 살다가 다시 영남지방으로 옮겨 갔으나, 선조의 세거지였던 양주(楊州)를 본관으로 삼았다. 후손 중에서 관직에 나가 현달한 이는 시조의 13세손인 송동윤(宋東胤)이 있다. 영조 38년 문과에 급제한 후 병조좌랑ㆍ춘추관기사관ㆍ예조정랑을 거쳐 충청도사 사헌부감찰에 이르렀다. 고려후기 원종대의 송송례(宋松禮) 때에 가문이 성장하기 시작한 여산송씨가(礪山宋氏家)는 조선조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숱한 고관, 대작들을 배출한 대성(大姓)인 것이다.
|
역대 주요 인물 |
|
▲고려조
송숙문(宋淑文)(정당문학(政堂文學)) 송송려(宋松禮)(시호(諡號) : 정렬(貞烈)ㆍ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ㆍ도첨의사사중찬(都僉議使司中贊)) 송분(宋玢)(시호(諡號) : 양의(良毅)ㆍ낙랑부원군(樂浪府院君)ㆍ찬성사(贊成事)) 송방영(宋邦英)(밀직부사(密直副使)) 송인(宋璘)(지신사(知申事)) 송교(宋郊)(전의령(典醫令)) 송서(宋瑞)(시호(諡號) : 정가(正嘉)ㆍ도첨의우정승(都僉議右政丞)) 송인번(宋仁蕃)(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 송의번(宋義蕃)(전서(典書)) 송진생(宋辰生)(이조판서(吏曹判書)) 송유저(宋有著)(호(號) : 운곡(雲谷)ㆍ문하시중(門下侍中))
▲조선조
송간(宋侃)(호(號) : 서재(西齋)ㆍ시호 : 충강(忠剛)ㆍ형조참판(刑曹參判)) 송창렴(宋昌濂)(훈련원정(訓練院正)) 송계(宋啓)(호(號) : 동강(東岡)ㆍ군기시부정(軍器寺副正)) 송세정(宋世貞)(자(字) : 자고(子固)ㆍ호 : 도봉(道峰)ㆍ효자(孝子)) 송시중(宋時仲)(호(號) : 휴암(休菴)ㆍ학행(學行)) 송사안(宋思安)(경원부사(慶源府使)) 송기충(宋期忠)(자(字) : 언직(彦直)ㆍ선산부사(善山府使)) 송익필(宋翼弼)(자(字) : 운장(雲長)ㆍ호(號) : 귀봉(龜峰)ㆍ시호(諡號):문경(文敬)ㆍ학자(學者)) 송한필(宋翰弼)(자(字) : 계응(季鷹)ㆍ호(號) : 운곡(雲谷)ㆍ학자(學者)) 송유정(宋有貞)(첨사(僉使)) 송계덕(宋繼德)(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 송경(宋涇)(자(字) : 군직(君直)ㆍ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송해(宋邂)(자(字) : 중오(仲寤)ㆍ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송두남(宋斗南)(자(字) : 경정(景挺)ㆍ회녕부사(會寧府使)) 송확(宋確)(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송준의(宋俊義)(학행(學行)) 송우(宋遇)(첨사(僉使)) 송령(宋苓)(자(字) : 경■(景香咸)ㆍ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송분(宋芬)(호(號) : 청한당(淸閑堂)ㆍ학행(學行)) 송응기(宋應璣)(자(字) : 미하(美賀)ㆍ삼척부사(三陟府使)) 송상립(宋尙立)(호(號) : 야암(野巖)ㆍ훈련원정(訓鍊院正)) 송열(宋說)(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송대립(宋大立)(자(字) : 신백(信伯)ㆍ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송희립(宋希立)(자(字) : 신중(信中)ㆍ수사(水使)) 송계현(宋繼賢)(자(字) : 사성(嗣聖)ㆍ군자감정(軍資監正)) 송수남(宋壽男)(첨사(僉使)) 송계훈(宋繼勳)(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송의선(宋義善)(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송홍연(宋弘淵)(자(字) : 형숙(泂叔)ㆍ어영대장(禦營大將)) 송지준(宋之準)(자(字) : 중기(仲記)ㆍ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송홍현(宋弘賢)(자(字) : 선부(善夫)ㆍ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송응경(宋應慶)(사복시정(司僕寺正)) 송계(宋桂)(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송상후(宋商後)(첨정(僉正)) 송윤(宋玧)(자(字) : 자희(自喜)ㆍ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송겸(宋謙)(자(字) : 사익(士益)ㆍ황주목사(黃州牧使)) 송남기(宋南起)(군자감정(軍資監正)) 송시웅(宋時雄)(자(字) : 자운(子運)ㆍ학행(學行)) 송시필(宋時弼)(자(字) : 중보(仲輔)ㆍ성천부사(成川府使)) 송광윤(宋光胤)(자(字) : 이신(二新)ㆍ호(號) : 죽계(竹溪)ㆍ학행(學行)) 송진부(宋眞夫)(경개(景蓋)ㆍ석계(石溪)ㆍ병사(兵使)) 송득시(宋得時)(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송무룡(宋武龍)(예빈시첨정(禮賓寺僉正)) 송결(宋駃)(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송경(宋駉)(군자감정(軍資監正)) 송양(宋驤)(군자감정(軍資監正)) 송혜(宋譓)(자(字) : 사현(士賢)ㆍ첨정(僉正)) 송욱(宋頊)(자(字) : 신원(信元)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송지문(宋之文)(자(字) : 자빈(子彬)ㆍ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송경운(宋景運)(자(字) : 유선(有善)ㆍ호(號) : 해헌(海軒)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필흥(宋必興)(자(字) : 미재(美哉)ㆍ미관진첨사(彌串鎭僉使)) 송지원(宋之元)(자(字) : 춘빈(春彬)ㆍ훈련원정(訓練院正)) 송경(宋磬)(자(字) : 사안(士安)ㆍ호(號) : 강암(剛菴)ㆍ학행(學行)) 송시민(宋時民)(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 송의정(宋義廷)(자(字) : 자준(子俊)ㆍ호(號) : 죽헌(竹軒)ㆍ훈련원첨정(訓鍊院僉正)) 송인민(宋仁民)(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 송주하(宋柱夏)(자(字) : 운경(雲擎)ㆍ덕행(德行)) 송양하(宋樑夏)(자(字) : 운보(雲補)ㆍ첨절제사(僉節制使)) 송덕보(宋德輔)(자(字) : 자보(子甫)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익상(宋益商)(훈련원부정(訓練院副正)) 송원상(宋源商)(자(字) : 자유(子裕)ㆍ군자감정(軍資監正)) 송재창(宋再昌)(자(字) : 군순(君順)ㆍ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송성윤(宋晟尹)(자(字) : 덕보(德甫)ㆍ호군(護軍)) 송태동(宋泰東)(자(字) : 운서(雲瑞)ㆍ효자(孝子)) 송일제(宋日躋)(자(字) : 자경(子敬)ㆍ호(號) : 지재(智齋)ㆍ학행(學行)) 송정악(宋廷岳)(자(字) : 군거(君擧)ㆍ호(號) : 만회당(晩晦堂)ㆍ학행(學行)) 송지징(宋之徵)(장악원정(掌樂院正)) 송세필(宋世弼)(부호군(副護軍)) 송사경(宋士慶)(형조참의(刑曹參議)) 송창형(宋昌亨)(자(字) : 태여(泰汝)ㆍ학행(學行)) 송기일(宋基一)(자(字) : 세언(世彦)ㆍ호(號) : 호정(湖亭)ㆍ학행(學行)) 송지행(宋志行)(자(字) : 효원(孝源)ㆍ호(號) : 절와(節窩)ㆍ학행(學行)) 송명서(宋明瑞)(자(字) : 경서(敬瑞)ㆍ호(號) : 둔묵재(遯黙齋)ㆍ효자(孝子)) 송세환(宋世煥)(자(字) : 내경(乃敬)ㆍ호(號) : 유재(裕齋)ㆍ학행(學行)) 송석년(宋錫年)(자(字) : 수이(壽而)ㆍ호(號) : 송와(松窩)ㆍ학행(學行)) 송계인(宋啓仁)(한성좌윤(漢城左尹)) 송원(宋源)(자(字) : 숙일(淑一)ㆍ호(號) : 삼졸재(三拙齋)ㆍ부호군(副護軍)) 송진경(宋鎭璟)(자(字) : 윤문(允文)ㆍ호(號) : 담옹(澹翁)ㆍ학행(學行)) 송진길(宋鎭吉)(자(字) : 내선(乃善)ㆍ호(號) : 서암(西庵)ㆍ효자(孝子)) 송진순(宋鎭順)(자(字) : 국원(國源)ㆍ호(號) : 노회(老悔)ㆍ학행(學行)) 송인환(宋寅煥)(자(字) : 덕열(德烈)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치환(宋致煥)(자(字) : 창렬(昌烈)ㆍ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송지호(宋志浩)(자(字) : 경흠(敬欽)ㆍ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송양호(宋良浩)(자(字) : 경은(敬恩)ㆍ효자(孝子)) 송문호(宋文浩)(자(字) : 찬중(燦仲)ㆍ호(號) : 창암(蒼庵)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철호(宋哲浩)(자(字) : 선찬(善贊)ㆍ호(號) : 영은(瀛隱)ㆍ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송택훈(宋宅薰)(자(字) : 지형(芝馨)ㆍ병조참의(兵曹參議)) 송주찬(宋柱贊)(자(字) : 찬경(贊卿)ㆍ호(號) : 묵재(黙齋)ㆍ도사(都事)) 송주원(宋柱源)(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운섭(宋雲燮)(자(字) : 경석(敬碩)ㆍ호(號) : 회암(淮庵)ㆍ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송학섭(宋學燮)(자(字) : 지행(持行)ㆍ호(號) : 운정(雲亭)ㆍ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송후은(宋後殷)(제용감정(濟用監正)) 송지헌(宋持憲)(자(字) : 여윤(汝胤)ㆍ호(號) : 사우헌(四愚軒)ㆍ대사헌(大司憲)) 송승은(宋承殷)(대사성(大司成)) 송정남(宋廷男)(첨추부사(僉樞府事)) 송예증(宋禮增)(자(字) : 군겸(君兼)ㆍ효자(孝子)) 송처증(宋處增)(자(字) : 죽지(粥之)ㆍ호(號) : 야은(野隱)ㆍ부호군(副護軍)) 송순(宋珣)(여산군(礪山君)ㆍ좌빈객(左賓客)) 송류(宋琉)(호군(護軍)) 송극창(宋克昌)(자(字) : 파로(坡老)ㆍ예빈시부정(禮賓寺副正)) 송득창(宋得昌)(울산부사(蔚山府使)) 송천희(宋千喜)(자(字) : 구부(懼夫)ㆍ호(號) : 일허정(一虛亭)ㆍ시호(諡號) : 문절(文節)ㆍ이조판서(吏曹判書)) 송문조(宋文祖)(자(字) : 가술(可述)ㆍ호(號) : 삼금당(三錦堂)ㆍ만포방어사(滿浦防禦使)) 송호(宋瑚)(공조참의(工曹參議)) 송근(宋瑾)(자(字) : 충좌(忠佐)ㆍ판결사(判決事)) 송시빈(宋時彬)(자(字) : 방로(邦老)ㆍ초산부사(楚山府使)) 송정기(宋廷耆)(자(字) : 준재(俊在)ㆍ호(瑚) : 죽계(竹溪)ㆍ효자(孝子)) 송정구(宋廷耈)(자(자) : 덕강(德降)ㆍ효자(孝子)) 송철(宋徹)(자(字) : 성장(成章)ㆍ부호군(副護軍)) 송서기(宋瑞麒)(자(字) : 성징(聖徵)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지정(宋之廷)(자(字) : 군택(君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은명(宋殷明)(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송세필(宋世弼)(오위장(五衛將)) 송시징(宋時澄)(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송순흥(宋順興)(자(字) : 예신(禮信)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형묵(宋亨黙)(자(字) : 형겸(亨謙)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기감(宋淇鑑)(자(字) : 성신(聖新)ㆍ호(號) : 노포(老圃)ㆍ부호군(副護軍)) 송창엽(宋昌曄)(자(字) : 인서(仁瑞)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시원(宋始源)(자(字) : 원여(元汝)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송한원(宋漢源)(자(字) : 여윤(汝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창환(宋昌煥)(자(字) : 내진(乃眞)ㆍ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송기풍(宋基豊)(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송민옥(宋珉玉)(자(字) : 성금(聖金)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상순(宋相淳)(자(字) : ■지(■之)ㆍ호(號) : 죽정(竹亭)ㆍ부호군(副護軍)) 송진모(宋鎭謨)(자(字) : 성오(聖五)ㆍ호(號) : 영저당(塋杼堂)ㆍ대호군(大護軍)) 송진학(宋鎭學)(자(字) : 정심(正心)ㆍ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송홍좌(宋弘佐)(자(字) : 국평(國平)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상희(宋祥熙)(자(字) : 명숙(明淑)ㆍ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송석호(宋錫浩)(자(字) : 양신(良臣)ㆍ비서원승(秘書院丞)) 송주진(宋柱晉)(자(字) : 경로(景老)ㆍ비서원승(秘書院丞)) 송귀삼(宋貴三)(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 송영섭(宋英燮)(字(자) : 춘경(春卿)ㆍ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송시형(宋時亨)(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송진무(宋鎭珷)(오위장(五衛將)) 송희(宋禧)(공조전서(工曹典書)) 송계성(宋繼性)(연안부사(延安府使)) 송경(宋瓊)(시호(諡號) : 충무(忠武)ㆍ지익산군사(知益山郡事)) 송익손(宋益孫)(자(字) : 익지(益之)ㆍ시호(諡號) : 양묵(襄墨)ㆍ부호군(副護軍)) 송연손(宋演孫)(자(字) : 선원(善源)ㆍ여량군(礪良郡)ㆍ한산군수(韓山郡守)) 송현수(宋玹壽)(호(號) : 죽헌(竹軒)ㆍ시호:정민(貞愍)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송영(宋瑛)(자(字) : 인보(仁寶)ㆍ이조판서(吏曹判書)) 송세형(宋世珩)(자(字) : 헌숙(獻叔)ㆍ호(號) : 반곡(盤谷)ㆍ이조판서(吏曹判書)) 송숙근(宋叔瑾)(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송지순(宋之順)(자(字) : 정숙(正淑)ㆍ호(號) : 정민(貞愍)ㆍ군자감정(軍資監正)) 송여종(宋汝悰)(자(字) : 언온(彦蘊)ㆍ수군우후(水軍虞侯)) 송진(宋軫)(수사(水使)) 송극인(宋克訒)(자(字) : 신백(愼伯)ㆍ호(號) : 정곡(靜谷)ㆍ예조참의(禮曹參議)) 송박(宋珀)(자(字) : 언진(彦珍)ㆍ호(號) : 애송당(愛松堂)ㆍ호군(護軍)) 송시철(宋時喆)(자(字) : 숙보(叔保)ㆍ호(號) : 설촌(雪村)ㆍ원주목사(原州牧使)) 송상현(宋象賢)(자(字) : 덕구(德求)ㆍ호(號) : 천곡(泉谷)ㆍ시호(諡號) : 충렬(忠烈)ㆍ동래부사(東萊府使)) 송치중(宋致中)(자(字) : 정오(正五)ㆍ호(號) : 호암(壺岩)ㆍ사복시첨정(司僕寺僉正)) 송경신(宋敬臣)(자(字) : 직부(直夫)ㆍ삼남독운사(三南督運使)) 송광엄(宋光淹)(자(字) : 도범(道范)ㆍ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송광연(宋光淵)(자(字) : 도심(道深)ㆍ호(號) : 범허정(泛虛亭)ㆍ이조참판(吏曹參判)) 송시태(宋時泰)(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송광택(宋光澤)(자(字) : 도시(道施)ㆍ첨정(僉正)) 송광수(宋光凁)(자(字) : 도실(道實)ㆍ한성부서윤(漢城府庶尹)) 송계상(宋繼商)(부사(府使)) 송징은(宋徵殷)(자(字) : 질천(質天)ㆍ호(號) : 약헌(約軒)ㆍ호조참판(戶曹參判)) 송징규(宋徵奎)(자(字) : 중문(仲文)ㆍ황주목사(黃州牧使)) 송징태(宋徵泰)(자(字) : 사관(士觀)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징계(宋徵啓)(자(字) : 계인(季仁)ㆍ공조판서(工曹判書)) 송징래(宋徵來)(자(字) : 사상(士祥)ㆍ통제사(統制使)) 송정명(宋正明)(자(字) : 자화(子和)ㆍ호(號) : 지와(止窩)ㆍ관찰사(觀察使)) 송성명(宋成明)(자(字) : 군집(君集)ㆍ호(號) : 담와(澹窩)ㆍ예조판서(禮曹判書)) 송진명(宋眞明)(자(字) : 여유(汝儒)ㆍ호(號) : 소정(疎亭)ㆍ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송인명(宋寅明)(자(字) : 성빈(聖賓)ㆍ호(號) : 장밀헌(藏密軒)ㆍ시호(諡號) : 충헌(忠憲)ㆍ좌의정(左議政)) 송창명(宋昌明)(자(字) : 성숙(盛叔)ㆍ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송교명(宋敎明)(자(字) : 치숙(致叔)ㆍ대사간(大司諫)) 송귀명(宋龜明)(자(字) : 수겸(壽謙)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순명(宋淳明)(자(字) : 화숙(和叔)ㆍ호(號) : 낙와(樂窩)ㆍ병조참판(兵曹參判)) 송태장(宋泰章)(자(字) : 길도(吉桃)ㆍ호(號) : 상산(象山)ㆍ동부승지(同副承旨)) 송흠명(宋欽明)(자(字) : 문약(文若)ㆍ광주목사(光州牧使)) 송준명(宋準明)(자(字) : 평숙(平叔)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익보(宋翼輔)(자(字) : 원직(元直)ㆍ예조참의(禮曹參議)) 송익언(宋翼彦)(자(字) : 경호(景浩)ㆍ대사간(大司諫)) 송익효(宋翼孝)(자(字) : 사수(士壽)ㆍ사순(士純)ㆍ승지(承旨)) 송상후(宋相垕)(자(字) : 기중(基仲)ㆍ호(號) : 죽헌(竹軒)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문재(宋文載)(자(字) : 사안(士安)ㆍ호(號) : 행수(幸叟)ㆍ호조참판(戶曹參判)) 송윤재(宋倫載)(자(字) : 사숙(士叔)ㆍ인천부사(仁川府使)) 송운재(宋雲載)(자(字) : 기숙(紀叔)ㆍ장성부사(長城府使)) 송면재(宋冕載)(자(字) : 주경(周卿)ㆍ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송지경(宋持敬)(자(字) : 민칙(民則)ㆍ남원부사(南原府使)) 송지양(宋持養)(자(字) : 호연(浩然)ㆍ호(號) : 수진당(守眞堂)ㆍ이조참판(吏曹參判)) 송지정(宋持鼎)(자(字) : 중구(重九)ㆍ서부도사(西部都事)) 송정옥(宋鼎玉)(자(字) : 치현(穉鉉)ㆍ호(號) : 옥호(玉壺)ㆍ오위장(五衛將)) 송태옥(宋泰玉)(자(字) : 치효(稚孝)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돈옥(宋敦玉)(자(字) : 여정(汝鼎)ㆍ이조참의(吏曹參議)) 송기옥(宋岐玉)(자(字) : 덕경(德卿)ㆍ양양부사(襄陽府使)) 송종옥(宋鍾玉)(자(字) : 원일(元日)ㆍ오위장(五衛將)) 송종찬(宋鍾贊)(자(字) : 일원(一元)ㆍ경주목사(慶州牧使)) 송종협(宋鍾協)(자(字) : 맹여(孟汝)ㆍ부수찬(副修撰)) 송귀호(宋龜浩)(자(字) : 보경(寶卿)ㆍ제주목사(濟州牧使)) 송기호(宋驥浩)(자(字) : 덕경(德卿)ㆍ인동부사(仁同府使)) 송인호(宋寅浩)(자(字) : 공린(公麟)ㆍ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송영대(宋榮大)(자(字) : 계창(季昌)ㆍ호(號) : 추당(秋塘)ㆍ예조참판(禮曹參判)) 송수만(宋秀晩)(자(字) : 성난(聖暖)ㆍ호(號) : 성암(醒庵)ㆍ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송만섭(宋萬燮)(자(字) : 응직(應直)ㆍ호(號) : 천운(泉雲)ㆍ광주부윤(廣州府尹)) 송정섭(宋廷燮)(자(字) : 경선(敬善)ㆍ비서감승(秘書監丞)) 송전(宋琠)(좌찬성(左贊成)) 송호생(宋虎生)(병사(兵使)) 송복산(宋福山)(자(字) : 형부(亨夫)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使)) 송인산(宋仁山)(좌부대언(左副代言)) 송춘림(宋春琳)(부사(府使)) 송문림(宋文琳)(자(字) : 자질(子質)ㆍ호(號) : 석강(石江)ㆍ시호(諡號) : 공무(恭武)ㆍ이조참판(吏曹參判)) 송만달(宋萬達)(좌찬성(左贊成)) 송석손(宋碩孫)(부사(府使)) 송의손(宋義孫)(첨사(僉使)) 송공손(宋恭孫)(훈련원도정(訓鍊院都正)) 송철산(宋鐵山)(공조참의(工曹參議)) 송윤은(宋胤殷)(사복시정(司僕寺正)) 송사은(宋嗣殷)(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 송근(宋懃)(자(字) : 부중(孚仲)ㆍ병사(兵使)) 송자강(宋自剛)(자(字) : 극유(克柔)ㆍ회양부사(淮陽府使)) 송일(宋軼)(자(字) : 가중(可中)ㆍ호(號) : 취춘당(醉春堂)ㆍ시호(諡號) : 숙정(肅靖)ㆍ영의정(領議政)) 송수(宋壽)(자(字) : 기수(耆叟)ㆍ정주목사(定州牧使)) 송겸(宋㻩)(자(字) : 여온(汝昷)ㆍ호(號) : 추애(秋厓)ㆍ형조판서(刑曹判書)) 송지한(宋之翰)(호조판서(戶曹判書)) 송소영(宋紹英)(울산부사(蔚山府使)) 송맹경(宋孟璟)(자(字) : 백규(伯圭)ㆍ부총관(副摠管)) 송숙경(宋叔璟)(자(字) : 중규(仲圭)ㆍ첨정(僉正)) 송중기(宋重器)(자(字) : 대용(대용)ㆍ병사(兵使)) 송인(宋寅)(여성위(礪城尉)ㆍ문단공(文端公)ㆍ피옹(皮翁)ㆍ시호(諡號) : 문서(文瑞)ㆍ도총관(都摠管)) 송영(宋寧)(광주목사(廣州牧使)) 송율(宋嵂)(자(字) : 탁보(卓甫)ㆍ호(號) : 금헌(琴軒)ㆍ종성부사(鍾城府使)) 송희민(宋希敏)(자(字) : 천여(天汝)ㆍ호(號) :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송희성(宋希聖)(자(字) : 여현(汝賢)ㆍ도사(都事)) 송관(宋瓘)(부호군(副護軍)) 송언신(宋言愼)(자(字) : 과우(寡尤)ㆍ호(號) : 호봉(壺峰)ㆍ과암(寡庵)ㆍ시호(諡號) : 영양(榮襄)ㆍ이조판서(吏曹判書)) 송현(宋鉉)(자(字) : 이직(而直)ㆍ호(號) : 월당(月堂)ㆍ병조참판(兵曹參判)) 송선(宋瑄)(자(字) : 중회(仲懷)ㆍ호(號) : 목옹(木翁)ㆍ양지정(養志亭)ㆍ이천부사(利川府使)) 송기(宋圻)(자(字) : 민지(民止)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송일(宋馹)(황해감사(黃海監司)ㆍ선무원도공신(宣武原徒功臣)) 송준(宋駿)(자(字) : 진보(晉甫)ㆍ호(號) : 성암(省庵)ㆍ부제학(副提學)) 송유관(宋惟寬)(자(字) : 경홍(景弘)ㆍ호(號) : 석천(石泉)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선후(宋善後)(자(字) : 태원(胎遠)ㆍ호(號) : 식은(湜隱)ㆍ상의원부정(尙衣院副正)) 송징현(宋徵賢)(자(字) : 사헌(士獻)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문길(宋文吉)(자(字) : 재자(在玆)ㆍ호(號) : 백촌(栢村)ㆍ이조참의(吏曹參議)) 송행길(宋行吉)(자(字) : 여오(汝五)ㆍ부수찬(副修撰)) 송희업(宋熙業)(자(字) : 극가(克家)ㆍ호(號) : 호은(壺隱)ㆍ장악원첨정(掌樂院僉正)) 송시길(宋時吉)(경기감사(京畿監司)) 송정영(宋廷英)(자(字) : 군실(君實)ㆍ첨정(僉正)) 송정규(宋廷奎)(자(字) : 문경(文卿)ㆍ호(號) : 이호(梨湖)ㆍ관찰사(觀察使)) 송필재(宋弼載)(호군(護軍)) 송만기(宋萬基)(자(字) : 만숙(晩叔)ㆍ호(號) : 취헌(翠軒)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제우(宋濟愚)(자(字) : 사발(士發)ㆍ호(號) : 손헌(遜軒)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송제룡(宋濟龍)(자(字) : 여읍(汝揖)ㆍ종성부사(鍾城府使)) 송영중(宋瑩中)(자(字) : 군옥(君玉)ㆍ참판(參判)) 송기흥(宋杞興)(자(字) : 의일(義一)ㆍ호(號) : 일월당(一月堂)ㆍ군자감정(軍資監正)) 송규일(宋奎馹)(자(字) : 군명(君明)ㆍ호(號) : 소지(小芝)ㆍ부호군(副護軍)) 송응룡(宋應龍)(자(字) : 응화(應和)ㆍ호(號) : 금파(錦坡)ㆍ형조판서(刑曹判書)) 송홍(宋泓)(자(字) : 윤집(潤執)ㆍ호(號) : 수졸재(守拙齋)ㆍ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송주헌(宋柱獻)(자(字) : 영로(英老)ㆍ호(號) : 연운(硏雲)ㆍ승지(承旨)) 송기호(宋基浩)(자(字) : 춘경(春京)ㆍ호(號) : 춘보(春甫)ㆍ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송철만(宋徹萬)(자(字) : 경박(景博)ㆍ우부승지(右副承旨)) 송치만(宋致萬)(자(字) : 성뢰(聖賴)ㆍ호(號) : 죽상(竹上)ㆍ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송우영(宋羽榮)(자(字) : 홍점(鴻漸)ㆍ호(號) : 소계(蘇谿)ㆍ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송극회(宋極會)(자(자) : 영수(英叟)ㆍ호(號) : 성파(星坡)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송언회(宋彦會)(자(字) : 윤명(允明)ㆍ호(號) : 북파(北坡)ㆍ병조참의(兵曹參議)) 송주현(宋胄顯)(자(字) : 노숙(魯叔)ㆍ부호군(副護軍)) 송윤번(宋允蕃)(이조판서(吏曹判書)) 송찬(宋瓚)(호조참판(戶曹參判)ㆍ과암공(果庵公)) 송육림(宋六琳)(이조판서(吏曹判書)ㆍ공무공(恭武公))
등과(登科)ㆍ음사인명(蔭仕人名)
▲고려조
문과
송자교(宋子郊)(우왕조)
▲조선조
문과(文科)
송복(宋復)(판결(判決)) 송을개(宋乙開)(정언(正言)) 송극창(宋克昌)(도정(都正)) 송문림(宋文霖)(이참(吏參)ㆍ여산군(礪山君)) 송일(宋軼)(영상(領相)ㆍ부원군(府院君)) 송영(宋瑛)(이판(吏判)) 송천희(宋千喜)(이판(吏判)) 송식(宋軾)(전적(典籍)) 송세림(宋世霖)(교리(校理)) 송호의(宋好義)(현령(縣令)) 송세정(宋洗精)(현령(縣令)) 송호지(宋好智)(교리(校理)) 송겸(宋㻩)(판윤(判尹)) 송세형(宋世珩)(이판(吏判)) 송기충(宋期忠)(부사(府使)) 송승희(宋承禧)(사성(司成)) 송숙(宋璹)(예좌(禮佐)) 송상현(宋象賢)(부사(府使)) 송언신(宋言愼)(이판(吏判)) 송기(宋圻)(첨지(僉知)) 송유달(宋惟達)(주서(注書)) 송복흥(宋復興)(현감(縣監)) 송준(宋駿)(이의(吏議)) 송일(宋馹)(지사(知事)) 송■(宋■)(이정(吏正)) 송극인(宋克訒)(예참(禮參)) 송인급(宋仁及)(정언(正言)) 송상인(宋象仁)(옥당(玉堂)) 송시길(宋時吉)(형참(刑參)) 송행길(宋行吉)(주서(注書)) 송헌길(宋獻吉)(성박(成博)) 송협(宋協)(현감(縣監)) 송시철(宋時喆)(승지(承旨)) 송윤길(宋胤吉)(판관(判官)) 송상주(宋尙周)(사예(司藝)) 송광연(宋光淵)(이참(吏參)) 송정규(宋廷奎)(강백(江伯)) 송도석(宋道錫)(군수(郡守)) 송우룡(宋遇龍)(현감(縣監)) 송징은(宋徵殷)(호참(戶參)) 송내백(宋來柏)(현감(縣監)) 송세갑(宋世甲)(병좌(兵佐)) 송정명(宋正明)(유수(留守)) 송성명(宋成明)(예판(禮判)) 송우성(宋遇聖)(전적(典籍)) 송진명(宋眞明)(이판(吏判)) 송인명(宋寅明)(좌상(左相)) 송익장(宋翼長)(승정(丞正)) 송징현(宋徵賢)(현감(縣監)) 송징계(宋徵啓)(지사(知事)) 송순억(宋洵億)(전적(典籍)) 송질(宋瓆)(사간(司諫)) 송수겸(宋守謙)(장령(掌令)) 송교명(宋敎明)(승지(承旨)) 송익휘(宋翼輝)(정언(正言)) 송창명(宋昌明)(판서(判書)) 송덕중(宋德中)(사간(司諫)) 송익보(宋翼輔)(대간(大諫)) 송영중(宋瑩中)(참판(參判)) 송문재(宋文載) 송유(宋瑜) 송창복(宋昌復)(승권(承權)) 송악재(宋岳載)(공정(工正)) 송제로(宋濟魯)(집의(執義)) 송덕정(宋德鼎)(주부(主簿)) 송낙(宋樂)(도수(都守)) 송민재(宋民載)(승지(承旨)) 송경재(宋景載) 송문로(宋文輅) 송준재(宋俊載)(대간(大諫)) 송순명(宋淳明)(참판(參判)) 송익언(宋翼彦)(대간(大諫)) 송책(宋策) 송재중(宋載中) 송철(宋㯙) 송익효(宋翼孝)(교리(校理)) 송택명(宋宅明) 송제강(宋濟江)(가주서(假注書)) 송면재(宋冕載)(판서(判書)) 송재순(宋在淳) 송익연(宋翼淵)(교리(校理)) 송능환(宋能煥) 송복재(宋復載)(교리(校理)) 송응룡(宋應龍)(판서(判書)) 송지양(宋持養)(참판(參判)) 송돈옥(宋敦玉)(참판(參判)) 송온옥(宋溫玉)(응교(應敎)) 송상옥(宋相玉)(옥당(玉堂)) 송곤옥(宋崑玉)(승지(承旨)) 송상옥(宋尙玉)(응교(應敎)) 송백옥(宋伯玉)(응교(應敎)) 송관옥(宋琯玉)(장령(掌令)) 송상래(宋祥來)(참판(參判)) 송상순(宋祥淳)(지평(持平)) 송인호(宋麟浩)(지평(持平)) 송종협(宋鍾協)(승지(承旨)) 송종찬(宋鍾贊)(승지(承旨)) 송종엽(宋鍾燁)(승지(承旨)) 송철만(宋徹萬)(승지(承旨)) 송징(宋澄)(수찬(修撰)) 송기(宋淇)(지평(持平)) 송계헌(宋桂獻)(참의(參議)) 송문회(宋文繪)(교리(校理)) 송규회(宋圭會)(은대(銀臺)) 송재회(宋在會)(장령(掌令)) 송언회(宋彦會)(승지(承旨)) 송휘민(宋彙民)(현령(縣令)) 송택훈(宋宅薰)(정언(正言)) 송익면(宋益勉)(지평(持平)) 송규호(宋圭灝)(지평(持平)) 송정섭(宋廷燮)(승지(承旨)) 송영대(宋榮大)(승지(承旨))
무과(武科)
송만달(宋萬達)(부사(府使)) 송익손(宋益孫)(여산부원군(礪山府院君ㆍ시(謚) : 양묵(襄黙)) 송공손(宋恭孫)(도정(都正)) 송사안(宋思安)(부사(府使)) 송사문(宋思文)(현감(縣監)) 송지형(宋持衡)(현령(縣令)) 송필형(宋弼衡)(만호(萬戶)) 송해(宋邂)(첨사(僉使)) 송건(宋建)(판관(判官)) 송계량(宋繼良)(부장(部將)) 송두남(宋斗南)(현감(縣監)) 송홍렬(宋弘烈)(군수(郡守)) 송운기(宋雲起)(주부(主簿))
음사인명(蔭仕人名)
송유익(宋惟翊)(추밀(樞密)ㆍ호산군(壺山君)) 송숙문(宋淑文)(정당문학(政堂文學)) 송희식(宋希植)(삼재(三宰)) 송송례(宋松禮)(시중(侍中)ㆍ시(謚) : 정렬(貞烈)) 송염(宋琰)(판서(判書)) 송운(宋惲)(원윤(元尹)) 송선(宋璿)(여량군(礪良君)) 송지성(宋之成)(중랑장(中郞將)) 송숭(宋嵩)(현령(縣令)) 송인충(宋仁忠)(중랑장(中郞將)) 송양진(宋良珍)(부정(副正)) 송간(宋侃)(순무사(巡撫使)ㆍ시(謚) : 충강(忠剛)) 송사안(宋思安)(견무(見武)) 송유정(宋有貞)(첨사(僉使)) 송정렬(宋廷烈)(통덕랑(通德郞)) 송권호(宋權浩)(통정(通政)) 송백호(宋百浩)(동추(同樞)) 송주식(宋柱植)(감찰(監察)) 송의정(宋義貞)(생원(生員)) 송두남(宋斗南)(견무(見武)) 송응오(宋應五)(첨추(僉樞)) 송예정(宋禮貞)(견무(見武)) 송지형(宋持衡)(견무(見武)) 송경(宋逕)(첨정(僉正)) 송운기(宋雲起)(견무(見武)) 송숙(宋琡)(통정(通政)) 송세언(宋世彦)(통덕랑(通德郞)) 송진보(宋鎭普)(통정(通政)) 송진민(宋鎭旻)(증병의(贈兵議)) 송좌호(宋佐浩)(증승지(贈承旨)) 송계인(宋桂仁)(증참판(贈參判)) 송경섭(宋京燮)(부호군(副護軍)) 송정철(宋廷哲)(절충(折衝)) 송필웅(宋必雄)(가선(嘉善)) 송치은(宋致殷)(증참의(贈參議)) 송관준(宋觀俊)(증가선(贈嘉善)) 송정호(宋正浩)(증참판(贈參判)) 송주민(宋柱旻)(가선(嘉善)) 송규현(宋奎顯)(부호군(副護軍)) 송진학(宋鎭學)(통정(通政)) 송덕환(宋德煥)(통정(通政)) 송진순(宋鎭舜)(증호참(贈戶參)) 송유호(宋裕浩)(증승지(贈承旨)) 송의호(宋義浩)(부호군(副護軍)) 송주집(宋株集)(증참판(贈參判)) 송원섭(宋轅燮)(동추(同樞)) 송필형(宋弼衡)(견무(見武)) 송해(宋邂)(견무(見武)) 송계량(宋繼良)(견무(見武)) 송재겸(宋再謙)(증가선(贈嘉善)) 송시명(宋時明)(증복정(贈僕正)) 송규필(宋奎弼)(증승지(贈承旨)) 송진해(宋鎭海)(난정증참판(蘭亭贈參判)) 송제호(宋濟浩)(참봉(參奉)) 송인호(宋麟浩)(참봉(參奉) 송진수(宋鎭樹)(수통정(壽通政)) 송주철(宋柱喆)(참봉(參奉)) 송태옥(宋泰玉)(증악정(贈樂正)) 송진형(宋鎭亨)(증참의(贈參議)) 송병호(宋秉浩)(증윤참(贈尹參)) 송윤호(宋允浩)(참봉(參奉)) 송주희(宋柱喜)(동추(同樞)) 송주순(宋柱淳)(감찰(監察)) 송적(宋迪)(판관(判官)) 송정호(宋廷虎)(참봉(參奉)) 송진순(宋鎭淳)(오위장(五衛將)) 송중유(宋仲儒)(현감(縣監)) 송순례(宋純禮)(목사(牧使)ㆍ시(諡) : 충양(忠襄)) 송낙호(宋樂浩)(수통정(壽通政)) 송계성(宋桂星)(군수(郡守)) 송인호(宋璘浩)(참봉(參奉)) 송필호(宋弼浩)(교관(敎官)) 송재윤(宋載允)(수통정(壽通政)) 송사권(宋思權)(생원(生員)) 송희손(宋熙孫)(참군(參軍)) 송익선(宋益瑄)(부장(部將)) 송정(宋珽)(주부(主簿)) 송명윤(宋明胤)(판관(判官)) 송인문(宋仁文)(판관(判官)) 송주성(宋柱聲)(참봉(參奉)) 송동희(宋東禧)(증승지(贈承旨)) 송일환(宋日環)(증참의(贈參議)) 송흥기(宋興基)(증참판(贈參判)) 송진항(宋鎭恒)(도사(都事)) 송세호(宋世浩)(위장(衛將)) 송백유(宋伯儒)(현감(縣監)) 송사원(宋思元)(현감(縣監)) 송지인(宋之仁)(견무(見武)) 송태억(宋太億)(증호참(贈戶參)) 송진하(宋鎭廈)(증참판(贈參判)) 송양호(宋良浩)(통정(通政)) 송주민(宋柱旻)(참봉(參奉)) 송형익(宋衡益)(증자헌(贈資憲)) 송명서(宋明瑞)(증자헌(贈資憲)) 송진길(宋鎭吉)(통정(通政)) 송철호(宋哲浩)(비승(秘丞)) 송주학(宋柱學)(박사(博士)) 송정익(宋廷益)(참의(參議)) 송진국(宋鎭國)(증승지(贈承旨)) 송민호(宋旻浩)(증참판(贈參判)) 송주태(宋柱泰)(동추(同樞)) 송병섭(宋秉燮)(참봉(參奉)) 송사문(宋思文)(견무(見武)) 송호(宋豪)(참봉(參奉)) 송안형(宋安衡)(군수(郡守)) 송섬(宋暹)(감찰(監察)) 송득운(宋得運)(군수(郡守)) 송홍운(宋弘運)(군수(郡守)) 송석기(宋碩基)(주부(主簿)) 송수겸(宋壽謙)(수통정(壽通政)) 송지환(宋之煥)(증승지(贈承旨)) 송진백(宋鎭百)(증호참(贈戶參)) 송시호(宋時浩)(오위장(五衛將)) 송기호(宋箕浩)(참봉(參奉)) 송두징(宋斗徵)(증참판(贈參判)) 송문필(宋文弼)(증정랑(贈正郞)) 송진걸(宋鎭傑)(증승지(贈承旨)) 송명호(宋明浩)(증참판(贈參判)) 송주화(宋注和)(동추(同樞)) 송진헌(宋鎭憲)(증복정(贈僕正)) 송철호(宋喆浩)(증승지(贈承旨)) 송주엽(宋柱燁)(증참판(贈參判)) 송윤섭(宋允燮)(동추(同樞)) 송문흥(宋文興)(도사(都事)) 송진보(宋鎭輔)(증통정(贈通政)) 송선호(宋選浩)(증참판(贈參判)) 송주용(宋柱容)(가선(嘉善)) 송주홍(宋柱鴻)(참봉(參奉)) 송필영(宋必榮)(증참의(贈參議)) 송동설(宋東薛)(증호참(贈戶參)) 송덕건(宋德建)(증승지(贈承旨)) 송제록(宋濟祿)(증참의(贈參議)) 송시갑(宋時甲)(증참판(贈參判)) 송진원(宋鎭元)(동추(同樞)) 송완호(宋完浩)(참봉(參奉) 덕계(德啓) 통정(通政)) 송진의(宋鎭義)(감찰(監察)) 송방호(宋邦浩)(통정(通政)) 송주빈(宋柱彬)(가선(嘉善)) 송희(宋僖)(현감(縣監)) 송안미(宋安眉)(지평(持平)) 송근창(宋勤昌)(주부(主簿)) 송인문(宋寅文)(참봉(參奉)) 송상주(宋尙周)(견문(見文)) 송춘의(宋春儀)(통덕랑(通德郞)) 송우성(宋遇聖)(견문(見文)) 송덕제(宋德濟)(증참판(贈參判)) 송경필(宋敬弼)(증복정(贈僕正)) 송환설(宋煥卨)(증승지(贈承旨)) 송환정(宋煥正)(증참판(贈參判)) 송진태(宋鎭泰)(증승지(贈承旨)) 송창호(宋昶浩)(참봉(參奉)) 송선(宋璿)(견상(見上)) 송근(宋根)(증참판(贈參判)) 송철강(宋鐵康)(부호군(副護軍)) 송은손(宋殷孫)(통덕랑(通德郞)) 송탁형(宋卓炯)(병사(兵使)) 송영(宋永)(군수(郡守)) 송유정(宋有貞)(부사(府使)) 송희경(宋希璟)(익위사(翊衛司)) 송정철(宋廷哲)(주부(主簿)) 송홍간(宋弘幹)(가선(嘉善)) 송삼훈(宋三勳)(동지(同知)) 송득성(宋得聖)(참봉(參奉)) 송열호(宋烈浩)(감찰(監察)) 송원미(宋元美)(소윤(少尹)) 송순(宋珣)(부령(部令)) 송인손(宋仁孫)(현령(縣令)) 송충손(宋忠孫)(감무(監務)) 송윤영(宋倫永)(승지(承旨)) 송극창(宋克昌)(견문(見文)) 송백희(宋百喜)(군수(郡守)) 송전(宋全)(참봉(參奉)) 송처종(宋處宗)(참봉(參奉)) 송옥명(宋玉明)(가선(嘉善)) 송일경(宋逸璟)(가선(嘉善)) 송인하(宋仁夏)(가선(嘉善)) 송진추(宋震樞)(통정(通政)) 송시대(宋時大)(감찰(監察)) 송일재(宋日載)(증참판(贈參判)) 송지묵(宋持黙)(증참찬관(贈參贊官)) 송명선(宋鳴璿)(증참판(贈參判)) 송종술(宋鍾術)(동추(同樞)) 송진호(宋縉浩)(교관(敎官)) 송충명(宋忠命)(수가선(壽嘉善)) 송영신(宋英臣)(참봉(參奉)) 송광재(宋光載)(증승지(贈承旨)) 송지윤(宋持潤)(증참의(贈參議)) 송신옥(宋臣玉)(증참판(贈參判)) 송종영(宋鍾永)(가선(嘉善)) 송인석(宋麟錫)(참봉(參奉)) 송홍유(宋弘有)(증참판(贈參判)) 송지련(宋持璉)(증승지(贈承旨)) 송권옥(宋權玉)(오위장(五衛將)) 송종명(宋鍾明)(오위장(五衛將)) 송응례(宋應禮)(봉사(奉事)) 송숙륭(宋淑隆)(판관(判官)) 송분(宋玢)(도첨의(都僉議)ㆍ시(諡) : 양의(良毅)) 송인(宋璘)(지중(知中)) 송교(宋郊)(흥의령(興宜令)) 송희(宋禧)(전서(典書)) 송계성(宋繼性)(부사(府使)) 송복원(宋復元)(지중(知中)) 송현수(宋玹壽)(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거(宋琚)(군수(郡守)) 송숙근(宋叔瑾)(군수(郡守)) 송규(宋奎)(내금(內禁)) 송상순(宋祥淳)(헌납(獻納)) 송복형(宋復亨)(주부(主簿)) 송휴(宋休)(현감(縣監)) 송인범(宋仁範)(사직(司直)) 송극륜(宋克倫)(우후(虞侯)) 송지번(宋之煩)(감정(監正)) 송대신(宋大臣)(통정(通政)) 송자확(宋自擴)(통정(通政)) 송일계(宋日繼)(동추(同樞)) 송지형(宋持亨)(감정(監正)) 송치옥(宋致玉)(가선(嘉善)) 송종신(宋鍾信)(증승지(贈承旨)) 송일호(宋鎰浩)(증호참(贈戶參)) 송영수(宋榮壽)(교관(敎官)) 송계양(宋繼陽)(지군사(知郡事)) 송원(宋瑗)(지군사(知郡事)) 송익손(宋益孫)(견무(見武)ㆍ정난공신(靖難功臣)) 송세인(宋世仁)(호군(護軍)) 송초(宋礎)(감찰(監察)) 송광엄(宋光淹)(도사(都事)) 송광연(宋光淵)(견문(見文)) 송인명(宋寅明)(견문(見文)) 송유재(宋儒載)(군수(郡守)) 송곤옥(宋崑玉)(견문(見文)) 송서(宋瑞)(우정승(右政丞)ㆍ시(諡) : 정경(正景)) 송인번(宋仁蕃)(시사(寺事)) 송지(宋祉)(부정(副正)) 송진생(宋辰生)(소윤(少尹)) 송만달(宋萬達)(견문(見文)) 송공손(宋恭孫)(견무(見武)) 송일(宋軼)(정국공신(靖國功臣)ㆍ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ㆍ시(諡) : 숙정(肅靖)) 송지한(宋之翰)(첨지(僉知)) 송인(宋寅)(여성위(礪城尉)ㆍ시(諡) : 문단(文端))
조선조 급제자 정록
송호(宋瑚)(태조(太祖) 2년ㆍ춘장진사(春場進士)) 송복(宋復)(태종(太宗) 2년ㆍ식년시(式年試)ㆍ진사(進士)) 송을개(宋乙開)(태종(太宗) 5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계(宋啓)(태종 14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삼(乙科三)) 송인창(宋仁昌)(세종(世宗) 14년ㆍ식년시(式年試)ㆍ진사(進士)) 송원창(宋元昌)(문종(文宗) 1년ㆍ증광시(增廣試)ㆍ정과(丁科)) 송극창(宋克昌)(단종(端宗) 1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송문림(宋文琳)(세조(世祖) 3년ㆍ친시(親試)ㆍ병과(丙科)) 송일(宋軼)(성종(成宗) 8년ㆍ친시(親試)ㆍ을과(乙科)) 송영(宋瑛)(성종(成宗) 16년ㆍ별시(別試)ㆍ갑과(甲科)) 송천희(宋千喜)(성종(成宗) 20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식(宋軾)(성종(成宗) 21년ㆍ별시(別試)ㆍ갑과(甲科)) 송세림(宋世琳)(연산(燕山) 8년ㆍ별시(別試)ㆍ일과(일과)) 송호의(宋好義)(중종(中宗) 2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세정(宋洗精)(중종(中宗) 9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호지(宋好智)(중종(中宗) 14년ㆍ현량과(賢良科)ㆍ병과(丙科)) 송겸(宋㻩)(중종(中宗) 15년ㆍ별시(別試)ㆍ갑과(甲科)) 송세형(宋世珩)(중종(中宗) 27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기충(宋期忠)(명종(明宗) 27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숙(宋璹)(선조(宣祖) 6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승희(宋承禧)(선조(宣祖) 9년ㆍ식년시(式年試)ㆍ갑과(甲科)) 송상현(宋象賢)(선조(宣祖) 9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언신(宋言愼)(선조(宣祖) 10년ㆍ알성시(謁聖試)ㆍ병과(丙科)) 송기(宋圻)(선조(宣祖) 16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유건(宋惟健)(선조(宣祖) 18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복흥(宋復興)(선조(宣祖) 23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송준(宋駿)(선조(宣祖) 27년ㆍ별시(別試)ㆍ갑과(甲科)) 송일(宋馹)(선조(宣祖) 28년ㆍ별시(別試)ㆍ갑과(甲科)) 송■(宋馬尃)(선조(宣祖) 32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극인(宋克訒)(선조(宣祖) 35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인급(宋仁及)(선조(宣祖) 38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송상인(宋象仁)(선조(宣祖) 38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송시길(宋時吉)(인조(仁祖) 1년ㆍ알성시(謁聖試)ㆍ을과(乙科)) 송행길(宋行吉)(인조(仁祖) 1년ㆍ개시(改試)ㆍ병과(丙科)) 송헌길(宋獻吉)(인조(仁祖) 9년ㆍ별시(別試)ㆍ을과(乙科)) 송협(宋協)(인조(仁祖) 24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시철(宋時喆)(효종(孝宗) 4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윤길(宋胤吉)(효종(孝宗) 4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상주(宋尙周)(현종(顯宗) 4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광연(宋光淵)(현종(顯宗) 7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정규(宋廷奎)(숙종(肅宗) 9년ㆍ증광시(增廣試)ㆍ갑과(甲科)) 송도석(宋道錫)(숙종(肅宗) 13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징은(宋徵殷)(숙종(肅宗) 15년ㆍ증광시(增廣試)ㆍ갑과(甲科)) 송우룡(宋遇龍)(숙종(肅宗) 15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송내백(宋來栢)(숙종(肅宗) 17년ㆍ증광시(增廣試)ㆍ갑과(甲科)) 송세갑(宋世甲)(숙종(肅宗) 17년ㆍ증광시(增廣試)ㆍ을과(乙科)) 송정명(宋正明)(숙종(肅宗) 25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성명(宋成明)(숙종(肅宗) 31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송정명(宋正明)(숙종(肅宗) 32년ㆍ중시(重試)ㆍ병과(丙科)) 송우성(宋遇聖)(숙종(肅宗) 34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진명(宋眞明)(숙종(肅宗) 40년ㆍ증광시(增廣試)ㆍ을과(乙科)) 송징현(宋徵賢)(숙종(肅宗) 45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인명(宋寅明)(숙종(肅宗) 45년ㆍ증광시(增廣試)ㆍ을과(乙科)) 송익장(宋翼長)(숙종(肅宗) 45년ㆍ증광시(增廣試)ㆍ을과(乙科)) 송징계(宋徵啓)(경종(景宗) 3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순억(宋洵億)(영조(英祖) 2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질(宋瓆)(영조(英祖) 4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수겸(宋守謙)(영조(英祖) 5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교명(宋敎明)(영조(英祖) 6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익휘(宋翼輝)(영조(英祖) 10년ㆍ춘당대(春塘臺)ㆍ병과(丙科)) 송창명(宋昌明)(영조(英祖) 12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덕중(宋德中)(영조(英祖) 16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송익보(宋翼輔)(영조(英祖) 16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송영중(宋瑩中)(영조(英祖) 21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문재(宋文載)(영조(英祖) 22년ㆍ알성시(謁聖試)ㆍ병과(丙科)) 송유(宋瑜)(영조(英祖) 28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창복(宋昌復)(영조(英祖) 29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악재(宋岳載)(영조(英祖) 33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문재(宋文載)(영조(英祖) 3년ㆍ중시(重試)ㆍ병과(丙科)) 송동윤(宋東胤)(영조(英祖) 38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송제로(宋濟魯)(영조(英祖) 39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송덕정(宋德鼎)(영조(英祖) 42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낙(宋樂)(영조(英祖) 44년ㆍ정시(庭試)ㆍ을과(乙科)) 송민재(宋民載)(영조(英祖) 47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순명(宋淳明)(영조(英祖) 48년ㆍ기로정시(耆老庭試)ㆍ병과(丙科)) 송문로(宋文輅)(영조(英祖) 49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준재(宋俊載)(영조(英祖) 50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익언(宋翼彦)(영조(英祖) 51년ㆍ정시(庭試)ㆍ을과(乙科)) 송재중(宋載中)(영조(英祖) 51년ㆍ정시(庭試)ㆍ을과(乙科)) 송철(宋㯙)(정조(正祖) 1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송익효(宋翼孝)(정조(正祖) 7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송택명(宋宅明)(정조(正祖) 10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제강(宋濟康)(정조(正祖) 16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면재(宋冕載)(정조(正祖) 18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익연(宋翼淵)(순조(純祖) 4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송규필(宋奎弼)(순조(純祖) 14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응룡(宋應龍)(순조(純祖) 15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태림(宋台霖)(순조(純祖) 19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상옥(宋尙玉)(순조(純祖) 23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지양(宋持養)(순조(純祖) 25년ㆍ알성시(謁聖試)ㆍ병과(丙科)) 송주헌(宋柱獻)(헌종(憲宗) 1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송규호(宋奎灝)(헌종(憲宗) 9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기호(宋騏浩)(철종(哲宗) 3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돈옥(宋敦玉)(철종(哲宗) 4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택훈(宋宅薰)(철종(哲宗) 6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철만(宋徹萬)(철종(哲宗) 10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송상순(宋祥淳)(철종(哲宗) 14년ㆍ제주목별과(제주목별과)ㆍ갑과(甲科)) 송기(宋淇)(고종(高宗) 4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익면(宋益勉)(고종(高宗) 7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송관옥(宋琯玉)(고종(高宗) 16년ㆍ식년시(式年試)ㆍ을과(乙科)) 송규회(宋奎會)(고종(高宗) 19년ㆍ증광시(增廣試)ㆍ병과(丙科)) 송백옥(宋伯玉)(고종(高宗) 19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종찬(宋鍾贊)(고종(高宗) 20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언회(宋彦會)(고종(高宗) 20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송주훈(宋柱勳)(고종(高宗) 22년ㆍ식년시(式年試)ㆍ병과(丙科)) 송영대(宋榮大)(고종(高宗) 22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종협(宋鍾協)(고종(高宗) 22년ㆍ정시(庭試)ㆍ병과(丙科)) 송필주(宋弼周)(고종(高宗) 26년ㆍ알성시(謁聖試)ㆍ병과(丙科)) 송주현(宋冑顯)(고종(高宗) 26년ㆍ알성시(謁聖試)ㆍ병과(丙科)) 송정섭(宋廷燮)(고종(高宗) 29년ㆍ별시(別試)ㆍ병과(丙科))
벌열(閥閱)
왕비(王妃) : 정순왕후(정순왕후)(조선조ㆍ단종비(妃)ㆍ송현수(宋玹壽)의 딸)
상신(相臣) : 송일(宋軼)(중종조ㆍ영의정(領議政)) 송인명(宋寅明)(영조조ㆍ좌의정(左議政))
공신(功臣) : 송거신(宋居信)(태종조ㆍ2차왕자란(王子亂) 4등공신(4等功臣)) 송익손(宋益孫)(단종조ㆍ계유정난(癸酉靖難) 3등공신(3等功臣)) 송문림(宋文琳)(성종조ㆍ성종즉위(成宗卽位) 2등공신(2等功臣)) 송일(宋軼)(중종조ㆍ중종반정(中宗反正) 3등공신(3等功臣)) 송세형(宋世珩)(명종조ㆍ위사(衛社) 3등공신(3等功臣)) 송강(宋康)(선조조ㆍ호성(扈聖) 3등공신(3等功臣)) 송시범(宋時範)(인조조ㆍ인조반정(仁祖反正) 3등공신(3等功臣))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