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26:1~11 부전자전
부전자전이라는 말이 있는데,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라는 뜻입니다. 아버지 아브라함이 애굽에서 아내를 누이라고 속였다가 봉변을 당할뻔 하였던 것처럼, 아들 이삭도 아내를 누이라고 속였다가 봉변을 당할 뻔 하였습니다. 결과론적으로 볼 때, 이삭이 솔직하게 자신의 아내를 아내라고 말했더라면, 위기를 당하지 않을 수 있었는데, 당시에는 치안이 좋지 않아서, 여자를 보쌈당하거나, 또는 남편을 죽이고 여자를 취할 수 있던 시기였기 때문에 이삭은 속임수를 썼다가, 아내가 위태로워질 뻔 한 것입니다.
1 아브라함 때에 첫 흉년이 들었더니 그 땅에 또 흉년이 들매 이삭이 그랄로 가서 블레셋 왕 아비멜렉에게 이르렀더니
-> 과거를 돌이켜 볼 때, 아브라함은 흉년 때에, 하나님께 묻지 않고 바로 애굽으로 내려갔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아내를 누이라고 속이고 봉변을 당할뻔 하였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기이한 도우심으로 많은 재산을 가지고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가나안 땅에 올라와서 전쟁을 치루고, 또 소돔과 고모라에서 너무나도 두려운 심판을 목격하여, 그랄 지방으로 갔을 때, 또 거기서 무서운 블레셋 사람들을 만나자, 아브라함은 다시 사라를 누이라고 속였다가, 또 거기서 하나님의 개입으로 아내를 되찾고 재산도 얻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일은 아브라함에게 잊을 수 없는 가족사로서, 자주 이삭에게 회자되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삭에게도 비슷한 일이 벌어지자, 일단 이삭은 아버지처럼 애굽과 그랄 사이를 두고 가까운 그랄로 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때 여호와께서 나타나셔서 그에게 개입하셨습니다.
2 여호와께서 이삭에게 나타나 이르시되 애굽으로 내려가지 말고 내가 네게 지시하는 땅에 거주하라
-> 하나님은 애굽과 그랄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이삭의 속마음을 아셨습니다. 그래서 애굽으로 가지 말고 내가 네게 지시하는 땅으로 가라고 하셨습니다. 지시하신 땅은 가나안 땅이었으므로, 그냥 이삭은 그랄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3 이 땅에 거류하면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게 복을 주고 내가 이 모든 땅을 너와 네 자손에게 주리라 내가 네 아버지 아브라함에게 맹세한 것을 이루어 4 네 자손을 하늘의 별과 같이 번성하게 하며 이 모든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니 네 자손으로 말미암아 천하 만민이 복을 받으리라
-> 하나님은 이삭의 아버지 아브라함에게 하셨던 약속을 상기시키셨는데, 이삭이 이 땅에 거류하면, 아버지 아브라함에게 맹세하고 약속하신 것들 곧, 창12장, 15장, 17장, 22장에서 하나님께서 맹세하신 것을 이루시겠다는 약속이었습니다.
그 맹세하셨던 약속하셨던 것은 무엇입니까. 창12:1~4 하늘의 별과 같은 번성과, 13:14~17 땅의 약속과, 15:6~7 15:18~21, 22:16~18 약속의 성취 등입니다. 이는 신약성경에서 히브리서에 의하면, 하나님의 변하지 않는 약속을 가리킵니다. 사람은 변하여도 역사를 통틀어 일관되게 지속적으로 맹세하시고 약속하시는 하나님의 일이었습니다. 그리고 신약성경을 볼 때, 약속의 성취는 비로소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이루어졌습니다. 이를 히브리서 기자가 드러내어 두 가지 사실 곧 약속과 맹세로서 하나님께서 보증하신 일이라고 확정짓고 있습니다.
히6:13~20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실 때에 가리켜 맹세할 자가 자기보다 더 큰 이가 없으므로 자기를 가리켜 맹세하여 이르시되 내가 반드시 너에게 복 주고 복 주며 너를 번성하게 하고 번성하게 하리라 하셨더니 그가 이같이 오래 참아 약속을 받았느니라 사람들은 자기보다 더 큰 자를 가리켜 맹세하나니 맹세는 그들이 다투는 모든 일의 최후 확정이니라 하나님은 약속을 기업으로 받는 자들에게 그 뜻이 변하지 아니함을 충분히 나타내시려고 그 일을 맹세로 보증하셨나니 이는 하나님이 거짓말을 하실 수 없는 이 두 가지 변하지 못할 사실로 말미암아 앞에 있는 소망을 얻으려고 피난처를 찾은 우리에게 큰 안위를 받게 하려 하심이라 우리가 이 소망을 가지고 있는 것은 영혼의 닻 같아서 튼튼하고 견고하여 휘장 안에 들어가나니 그리로 앞서 가신 예수께서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라 영원히 대제사장이 되어 우리를 위하여 들어 가셨느니라
5 이는 아브라함이 내 말을 순종하고 내 명령과 내 계명과 내 율례와 내 법도를 지켰음이라 하시니라
->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고, 바벨론에서 나오라는 말씀에 순종하였고, 할례를 받으라는 말씀에 순종하였고, 또한 아들 이삭을 바치라는 말씀에 순종하였습니다. 믿음의 여정은 순종으로 온전해집니다.
6 이삭이 그랄에 거주하였더니 7 그곳 사람들이 그의 아내에 대하여 물으매 그가 말하기를 그는 내 누이라 하였으니 리브가는 보기에 아리따우므로 그곳 백성이 리브가로 말미암아 자기를 죽일까 하여 그는 내 아내라 하기를 두려워함이었더라
-> 그러므로 이삭은 애굽으로 내려가지 않고, 그랄에 거주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삭이 목숨이 문제가 생길 때, 이삭은 아버지처럼 속임수를 썼습니다. 부전자전입니다.
8 이삭이 거기 오래 거주하였더니 이삭이 그 아내 리브가를 껴안은 것을 블레셋 왕 아비멜렉이 창으로 내다본지라
-> 그러나 당장에는 몰라도 이들 부부는 오래 거주하면서 서로가 부부임을 속일 수 없었습니다. 부부 간에 껴안다가 아비멜렉 왕에게 딱 걸린 것입니다.
9 이에 아비멜렉이 이삭을 불러 이르되 그가 분명히 네 아내거늘 어찌 네 누이라 하였느냐 이삭이 그에게 대답하되 내 생각에 그로 말미암아 내가 죽게 될까 두려워하였음이로라
-> 사실이 드러나자, 이삭은 본심을 얘기하였습니다. 자기가 죽기가 두려워서 그렇게 하였다는 것입니다.
10 아비멜렉이 이르되 네가 어찌 우리에게 이렇게 행하였느냐 백성 중 하나가 네 아내와 동침할 뻔하였도다 네가 죄를 우리에게 입혔으리라
-> 참으로 사람을 두려워하는 것이 큰 위기를 자초합니다.
11 아비멜렉이 이에 모든 백성에게 명하여 이르되 이 사람이나 그의 아내를 범하는 자는 죽이리라 하였더라
-> 아비멜렉은 과격한 왕이었으나 그러나 하나님이 그를 긍휼히 여기셨고, 아비멜렉이 모든 백성에게 명하여 이 부부를 보호하였습니다.
신약으로 볼 때, 아브라함과 사라, 또는 이삭과 리브가의 관계는 그리스도와 교회와의 관계입니다. 대개 연약한 것은 하나님께서 용서해주시고, 보호해주십니다. 심지어 이민족을 통해서도 보호해주십니다. 그 이유는 머리와 몸의 관계이기 때문입니다. 몸이 없는 머리, 또는 머리 없는 몸을 생각할 수 없습니다.
엡1:23 교회는 그의 몸이니 만물 안에서 만물을 충만하게 하시는 이의 충만함이니라
교회는 왕 제사장 선지자의 역할을 복음 안에서 감당합니다. 예수님을 볼 때, 세상에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섬기는 자로서 그렇게 합니다. 그러므로 교회는 무엇보다도 기도하는 곳입니다. 신약을 보면 위정자들을 위해서 기도하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교회는 자신의 약점을 알아서 대비해야 합니다. 죄는 되물림 되기 쉽습니다. 먼저 원죄가 아담 안에서 모든 사람에게 있습니다. 또 자범죄와 당대의 죄로 인하여 죄에 물들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예수를 믿는 것 뿐만 아니라, 잘 믿어야 합니다. 히브리서를 보면, 부지런함을 통해서 상속자가 되라고 말합니다.
히6:11~12 우리가 간절히 원하는 것은 너희 각 사람이 동일한 부지런함을 나타내어 끝까지 소망의 풍성함에 이르러 게으르지 아니하고 믿음과 오래 참음으로 말미암아 약속들을 기업으로 받는 자들을 본받는 자 되게 하려는 것이니라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