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통증이란?
회전근개 손상
회전근개는 어깨를 감싸고 있는 4개의 근육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으로 이루어져 있고,
어깨 관절의 안정성과 다양한 회전 운동을 가능을 담당합니다.
회전근개손상이란, 이들 근육이 손상을 받고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하는데,
극상근 힘줄의 손상이 가장 흔하게 생깁니다.
원인 주로 극상근 파열이 많고, 힘줄이 견봉 상완골두 사이에서 물리적인 압박을 반복적으로 받아 서 점차적으로 파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무리한 사용 (헬스, 골프, 테니스등 )
· 퇴행성 변화 (오랜기간 동안 반복적 동작)
· 혈액순환 장애
· 외상 등
증상 · 팔을 위로 들 때 통증 발생하고 내릴 때 더 심한 통증
· 완전 파열인 경우 팔을 위로 들어 올릴 수 없게 됨
· 팔과 어깨의 움직임의 제한
· 어깨의 마찰음
충돌증후군
오구견봉궁과 상완골두 사이에 있는 구조물들(회전근개, 점액낭 등의 연부조직)이 반복적인 마찰을 받아 염증 및 손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대개 견봉과 상완골 대결절 사이의 충돌인 견봉하 충돌이 발생합니다.
원인 주로 반복적인 어깨사용으로 인한 주변 근육들의 약화와 위축으로 견봉하 공간이 좁아지고 반복적인 마찰이 일어나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구조적이상 (견봉쇄골관절, 견봉, 오구돌기의 기형)
· 반복적 어깨의 사용(회전근개의 약화와 위축)
· 회전근개의 칼슘침착
· 퇴행성 변화
· 외상
증상 · 팔을 들어 올리고 젖히면 통증
· 밤만 되면 통증이 심해진다.
· 목 디스크처럼 뒷목이 아프고 팔이 저린다.
· 팔을 움직이면 관절에서 소리가 난다.
어깨 통증 진단
관절의 가동범위 확인
간단한 운동 검사
단순 방사선 사진
초음파, MRI
증상확인과 이학적 검사를 통한 임상적 진단
어깨 통증 진단
관절의 가동범위 확인
간단한 운동 검사
단순 방사선 사진
초음파, M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