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자가 닦아야 할 세 가지 - 삼학(三學)
삼학(三學)은 불교 수행자가 닦아야 할 기본적인 세 가지 공부방법으로 계학(戒學), 정학(定學), 혜학(慧學)를 말한다. 일체의 법문(法門)은 모두 삼학으로 귀결된다.
계(戒)는 악을 저지르지 않고 선을 닦는 계율(戒律), 정(定)은 심신을 고요히 하고 정신통일을 하여 마음이 산란하지 않게 하는 선정(禪定), 혜(慧)는 번뇌를 파하고 진리를 증득(證得)하는 지혜를 가리킨다.
삼학은 이상(理想)을 추구하는 마음의 구조를 삼분(三分)한 것이다. 의사적(意思的)인 면을 계(戒)로 하고, 감각적인 면을 정(定)으로 하며, 지식적인 면을 혜(慧)로 한 것으로 해석한다.
○ 계(戒)는 심신(心身)을 조정하는 것이며, 심신에 대해 좋은 습관을 들이는 것이다. 그릇됨을 막고 악을 고치는 것이 계의 본래 뜻이다.
○ 계에 의해 몸과 마음이 조정되면 다음에는 마음을 통일하는 정(定)이 생긴다. 정을 얻기 위해서는 조신(調身)·조식(調息)·조심(調心), 즉 신체와 호흡과 정신을 조정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는 넓은 뜻에서 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 혜(慧)는 도리를 명석하게 분별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이다. 불교의 최종적인 목적은 깨우침의 지혜를 얻는 것이며, 혜는 가장 넓은 의미에서의 지혜이다.
‘팔정도’라고 하는 덕목도 모두가 계.정.혜 삼학으로 연결이 된다. 팔정도에서 정견, 정사는 ‘지혜’에 해당하고, 정어, 정업, 정명, 정정진은 ‘계’에 해당하고, 정념, 정정은 ‘정’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계.정.혜가 팔정도가 되고, 팔정도가 바로 중도(中道)가 되는 것이다.
고통과 향락에 떨어지지 않는 중도가 ‘계.정.혜’로 실천이 되며, ‘계.정.혜’는 바로 팔정도로 세분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이 모두 불교의 실천 방법이 된다.
“네 나이 스물아홉에 출가하여 해탈의 도를 구했노라.
내가 해탈한지 지금 벌써 오십년이 되었다.
그 중에 계정혜의 실행을 내가 홀로 늘 생각하였노라.
지금 설법의 요점도 바로 그것이다.
이 외에 수도자는 있을 수 없다.“
<장아함경>
[출처] 수행자가 닦아야 할 세 가지 - 삼학(三學)|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