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3년 6월 26일 월요일(癸卯년 戊午월 乙卯일)
坤
□乙戊癸
□卯午卯
丙乙甲癸壬辛庚己
寅丑子亥戌酉申未
과거에 유행했던 일주론(日柱論)이라는 책에는 60갑자를 설명하고 있었다. 주로 갑목은 소나무 을목은 담쟁이라는 식의 물상과 음간은 맞지 않은 12운성 그리고 일지가 배우자궁이니 배우자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었다. 乙卯를 봄철의 담쟁이라서 쑥쑥 뻗어간다느니 甲子를 물에 둥둥 떠내려가는 나무, 또는 癸巳는 물이 불에 증발하여 말라버린다느니 하는 식의 설명도 있었다. 물론 甲辰은 청룡이고, 丁亥는 황금 돼지라고 하기도 했다. 나도 「새로운 12운성」 등 새로운 명리 이론을 정리하기 이전에는 그렇게 책을 쓰고 강의도 했었다. 그렇게 배웠으니까 그렇게 강의하고 책도 쓰고 그랬다.
과거 명리 책에는 庚子 일주나 甲午 일주를 상관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여자 사주에서 상관이 배우자 궁에 있으니, 남자가 어쩌고저쩌고 설명한다. 첫 단추가 중요하다. 저울의 눈금 즉 첫 단추를 제대로 끼우는 일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땅을 기름지게 관리한다면 어떤 식물을 심어도 잘 자랄 것이다.
십신은 천간끼리 정한다. 천간과 지지로 정하지 않도록 한다. 천간은 태어날 때 하늘이 준 마음 생각 태도 표정 몸짓 등이다. 천간은 하늘이 준 글자이고 지지는 태어나서 살아가야 할 환경이다. 생각은 현실과 맞부딪친다. 생각대로 현실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마음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생각을 지지 현실에 맞춰야 한다. 지지를 이길 수 있는 천간은 없다. 시장조사나 여론조사는 지지 현실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세상은 사람을 세뇌(洗腦)시킨다. 꿈은 이루어진다고... 뜻을 크게 가지라고... 야망을 품으라고... 우리 제품을 사고 우리 학교를 다니고 우리에게 배우면 꿈을 현실로 이룰 수 있다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이러한 말에 속고 살았던가? 천간 마음이나 생각은 날씨처럼 수시로 쉽게 변한다. 속고 속아도 또 속는다. 그리고 지지를 따르지 않고 실패한 후 변명한다. 자기 선택은 옳았는데 현실이 뒷받침 안 되었다고...노나는 노력했는데 동료가 배신했다고...
庚子가 상관이라고? 천만의 말씀이다. 子는 겨울이고 밤이다. 壬水와 丁火와 己土는 子에서 제왕이다. 庚子에서는 壬水 식신과 丁火 정관과 己土 정인이 제왕이다. 子는 더 응축 더 하강이 일어나는 때이다. 식신이냐 상관이냐 따진다면 庚子는 상관이 아닌 식신이 왕성하다.
다음으로 甲午를 살펴보자. 甲午가 상관이라고? 천만의 말씀이다. 午는 더 확산 더 상승이 제왕에 이르는 때이다. 甲午의 甲木은 丙火 식신과 戊土 편재와 癸水 정인이 제왕이다. 식신이냐 상관이냐 따진다면 甲午는 상관이 아닌 식신이 왕성하다.
坤
□乙戊癸
□卯午卯
丙乙甲癸壬辛庚己
寅丑子亥戌酉申未
일간이 乙木이다. 乙木은 담쟁이가 아니다. 乙木은 담쟁이처럼 주변 환경에 잘 적응하는 친화력을 의미한다. 일간은 십신을 정하는 기준이다. 일간이 변하면 다른 주(柱)에 있는 천간의 십신이 변한다. 일간이 乙木이니 월간 戊土는 정재가 되고, 연간 癸水는 편인이 되었다.
천간의 글자를 통제하는 글자는 지지이다. 일간 乙木도 지지가 변하면 다른 모습을 한다. 계절의 변화가 지지의 변화이다. 계절이 변하면 다른 옷을 입고 다른 행동을 한다. 일간 乙木은 월지와 일지에서 목욕 중 태(胎)다. 천간과 지지와의 관계는 12운성으로 알 수 있다. 기존 12운성표가 설득력을 잃은 것은 보이지 않는 음간을 무시했기 때문이다.
일간만 가지고 모은 것을 아는 체하면 안 된다. 일간도 72가지 종류가 있다. 월지와 일지만 따졌을 때 그렇다. 월간은 월지와 동주의 지지가 같다. 그래서 월간 戊土는 제왕 중 제왕이다. 이 팔자의 격은 더 확산 더 상승하는 정재격이다.
같은 팔자를 보고도 격을 다르게 말하는 경우가 많다. 다르게 말한다면 의견이 다른 것이 아니고 틀린 것이다. 격은 팔자에서 가장 강한 세력을 말한다. 연간 癸水 편인의 그릇도 살펴보자. 癸水 편인은 월지 午와 연지 卯에서 제왕 중 목욕이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라는 책을 새로운 명리학 이론에 근거해서 재해석해 본다.
****
酉월 乙木
八月 乙木 芝蘭禾稼均退。以丹桂為乙木。在白露之後 桂蕊未開 耑用癸水以滋桂萼。
酉월 乙木은 지란(芝蘭)과 화가(禾稼)가 물러가는 때이다. 단계(丹桂)로 乙木을 삼는다. 백로(白露)가 지나도 단계(丹桂)의 꽃이 우거지게 피지 않으므로 처음부터 癸水를 용(用)하여 꽃받침을 자윤(滋潤)한다.
해설) 酉월 乙木을 지란이나 화가나 단계의 식물에 비유했다. 백로가 지나도 꽃이 피지 않는 酉월 乙木을 살리려면 癸水로 수생목해야 된다고 한다. 甲木과 乙木은 나무가 아니다. 甲木은 酉에서 잉태하여 卯에서 제왕에 이른다. 甲木은 양간이므로 힘을 얻을수록 안에서 밖으로 나온다. 반면 乙木은 卯에서 잉태하여 酉에서 제왕에 이른다. 乙木은 음간이므로 힘을 얻을수록 밖에서 안으로 들어간다. 양간은 힘을 얻으면 밖으로 드러나고 음간은 힘을 얻으면 안으로 들어간다. 그래서 음간이 록왕으로 힘을 얻으면 깊이 들어가니 보이지 않는다. 가을에 지란이나 화가 또는 단계가 꽃이 피지 않으니 癸水로 수생목 한다는 말은 웃긴다. 乙木은 화초가 아니다. 乙木은 酉에서 제왕이므로 깊이 들어가서 보이지 않는다. 甲木은 소나무 乙木은 담쟁이라고 하지 않도록 한다.
若秋分後 桂花已開 卻喜向陽 又宜用丙 癸水次之 丙癸兩透 科甲名臣。
만일 추분(秋分) 이후라면 계화(桂花)가 피어 햇빛을 좋아하니, 응당 丙火를 먼저 쓰고 다음으로 癸水를 쓴다. 그래서 丙火와 癸水가 모두 투출(透出)하면 과거에 급제하고 유명한 신하가 된다.
해설) 추분 이후에도 乙木은 丙火와 癸水를 쓴다고 한다. 丙火와 癸水가 모두 투하면 과거급제하고 명신(名臣)이 된다고 한다. 천만의 말씀이다. 丙火와 癸水는 酉월에 사(死)로 본격적으로 퇴근을 준비한다. “가을은 金의 시절이니 木은 약해진다.” 이런 식으로 오행으로 설명하면 곤란하다. 庚金과 辛金, 甲木과 乙木을 구분해야 한다. 천간보다 지지, 팔자 원국보다 운의 역할이 더 크다. 팔자 원국에 있는 글자 몇 개로 단정해서는 안 된다.
或支成金局 宜暗藏丁 無丁制金 恐木被金傷。
혹 酉월 乙木의 지지에 금국이 있을 때 丁火가 암장되면 좋지만 丁火가 金을 억제하지 못하면 목피금상이 되어 乙木이 金에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해설) 어떻게든 맞춰보려고 몸부림을 친다. 酉월이면 이미 庚金이 제왕이니 구태여 금국을 따질 필요가 없다. 금국 또한 오행 기준이다. 원문은 金이 강하면 지장간의 丁火로 화극금 해야 된다고 한다. 만일 丁火로 화극금 하지 못하면 강한 金에게 일간 乙木이 금극목 당한다고 한다. 金이 강하면 관(官)이 강한 것이다. 관(官)이 강하면 관격(官格)이 된다. 목피금상(木被金傷)은 내용의 부실을 덮기 위한 포장이다.
若無水火 此人勞碌。或得癸水 為子得母 其人一生豐盈。
만일 水나 火가 없으면 몹시 고생한다. 이때 癸水를 만나면 자식이 어머니를 만나는 것과 같아 한평생 풍족하게 산다.
해설) 酉월 乙木 사주에 水나 火가 없으면 고생이 심하다고 한다. 다시 오행 기준이다. 酉월 乙木 사주에 癸水가 수생목하면 자식이 어머니를 만나는 것처럼 한평생 풍족하다고 한다. 酉월 乙木이 제왕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오로지 금극목만 생각하고 있다. 酉월 乙木은 약하니 癸水로 수생목해야 된다고 한다. 그러면 금극목이 금생수 수생목으로 통관이 된다고 한다. 통관(通關)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고 흐뭇했을지도 모른다.
或丙癸兩透 戊土雜出 亦主異路功名。
酉월 乙木의 사주에 丙火와 癸水가 모두 투출했을 때 戊土가 섞여 있으면 이도로 공명을 이룬다.
해설) 丙火와 癸水가 있을 때 戊土가 있으면 戊癸합이 되어 이로공명(異路功名)을 이룬다는 설명이다. 천간합 戊土와 癸水는 시소의 양쪽처럼 하나가 올라가면 다른 하나는 반드시 내려온다. 戊土가 강해지면 癸水는 약해지고, 癸水가 강해지면 戊土가 약해진다. 이것이 천간합이다. 戊癸합이 되어 글자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戊癸
□□□□
戊癸합이 있다. 명리 고전에는 戊土와 癸水가 합이 되면 없는 것처럼 된다고 한다. 근거는 대지 못한다. 그냥 외워서 쓰고 선생이 썼으니 또 따라서 쓴다. 운에서 戊土가 오면 癸水가 약해지고, 癸水 운이 오면 戊土가 약해진다.
生秋分後 有丙無癸 亦略富貴。若有癸無丙 名利虛花。若四柱不見丙癸 下格。
추분 후에 태어난 酉월 乙木의 사주에 丙火만 있고 癸水가 없으면 약간의 부귀가 있다. 그러나 癸水만 있고 丙火가 없으면 명리(名利)가 모두 허무하다. 만일 酉월 乙木의 사주에 丙火와 癸水가 모두 없으면 하격이다.
해설) 酉월 乙木에도 오로지 丙火와 癸水 타령이다. 丙火와 癸水는 酉에서 사(死)이다. 酉에서 제왕인 乙木이나 庚金, 酉에서 목욕인 壬水나 丁火나 己土의 언급은 없다. 무슨 일이든지 부분보다는 전체를 보는 힘을 길러야 한다.
추분후에 태어난 사주에 丙火만 있고 癸水가 없으면 약간의 부귀가 있다고 하고, 癸水가 있고 丙火가 없으면 명리(名利)가 허무하다고 한다. 丙火와 癸水가 모두 없으면 하격이라고 한다. 그럴 리가 없다. 원국만으로는 그릇의 종류와 크기만 알 수 있다. 벚나무에 벚꽃이 피는 이유는 봄이라는 운이 왔기 때문이다.
或癸在年月干 丙透時干 名為木火文星 定主上達。生於秋分後方佳
酉월 乙木의 사주에 癸水가 연간이나 월간에 나타나고 丙火가 시간에 투출(透出)하면 목화문성(木火文星)으로 높은 경지에 이르며 추분 후에 태어나면 더욱 아름답다.
해설) 여기서도 酉월 乙木은 癸水와 丙火이다. 팔자에 丙火와 癸水가 없는 사람은 난강망을 볼 필요가 없다는 식이다.
丙乙□癸
□□酉□
癸水가 연간이나 월간에 있는 이러한 사주는 높은 경지에 오른다고 한다. 높은 경지는 어느 정도인가? 가을 겨울이 되면 丙火가 필요할까? 丁火가 필요할까? 丙火는 亥子丑에서 절태양이다. 丁火는 亥子丑에서 록왕쇠이다. 亥子丑에서는 촛불이나 난로를 써야 한다. 힘없는 丙火를 쓰면 안 된다. 항상 힘있는 글자를 사용하면 좋다. 국영수에서 가장 잘하는 과목을 전공으로 삼고 직업으로 삼으면 좋다. 보통 잘하는 과목을 놓아두고 못하는 과목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어리석은 일이다. 못하는 과목은 타고난 재능이 아니므로 아무리 노력해도 한계가 있다.
或生上半月無癸 姑用壬水 不然 枯木無用 必作貧人。
혹 酉월 乙木이 상반월에 태어나고 癸水가 없으면 부득이 壬水를 써야 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고목(枯木)에 용(用)할 것이 없으니 반드시 가난하다.
해설) 酉월 상반월은 申월의 기운과 겹치고, 酉월의 후반부는 戌월과 겹친다. 가을에는 木이 약하니 水를 써서 수생목을 해야 한다는 말을 반복하고 있다. 癸水가 좋지만 癸水가 없으면 壬水를 써야 한다고 한다. 이런 설명은 癸水와 壬水의 차이를 모른다는 뜻이다. 癸水와 壬水는 음양관계이다. 음양은 반대로 운동한다. 壬水가 더 응축 더 하강하면 癸水는 더 확산 더 상승한다. 가을 나무는 고목이니 水가 없으면 반드시 가난하다고 한다. 가을 申酉戌에서 乙木은 록왕쇠로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니 계속 오발탄을 쏘고 있다.
又四柱多見戊己 下格。
또 酉월 乙木은 癸水가 필요한데 만일 사주에 戊己土가 많아 癸水를 제(制)하면 하격이다.
해설) 酉월 乙木은 癸水가 필요한데 이때 戊己土가 있어서 토극수하면 하격이라고 한다. 酉월에는 乙木이 제왕이라는 사실을 모르니 이런 설명을 반복하고 있다.
甲乙遇強金 魂歸西土 青龍逢兌旺 且貧且賤。
甲乙木이 강한 金을 만나면 혼(魂)이 서쪽으로 돌아가니 청룡(靑龍)이 태왕(兌旺)을 만난 격이 되어서 또한 빈천(貧賤)해진다.
해설) 甲乙木이 金을 만나면 빈천해진다고 한다. 金이나 태(兌)는 서쪽이고 청룡은 동쪽이다. 글이나 말로 전달할 때는 가능하면 쉬운 말을 써야 한다. 나는 이런 것도 안다는 듯이 어려운 말을 동원하면 안 된다. 상대방이 알아듣지 못하면 소음이나 낙서에 불과하다.
甲乙木이라고 하면 甲木과 乙木은 차이가 없는가? 金을 만난다고 하면 庚金과 辛金의 차이는 없는가? 甲乙木이 金을 만나면 금극목이 되니 빈천해진다고 한다. 木에게 金은 관성이니 金이 많으면 관격(官格)이 되지 않는가?
乙木生居酉 莫逢巳酉丑 富貴坎離宮 貧窮申酉守。
酉月 乙木이 巳酉丑 금국(金局)을 지으면 부귀는 감리궁(坎離宮)에 있고, 빈궁함은 申酉에 있다.
해설) 巳酉丑 금국은 말할 필요가 없다. 酉월은 庚金이 제왕이다. 庚金이 제왕이니 정관이 월지에서 제왕이다. 감(坎)은 水이고 리(離)는 火이다. 느닷없이 주역을 끌고 들어왔다.
酉월은 金이 강하니 금극목으로 木이 위태롭다고 전제하고 水를 써서 금생수 수생목을 하거나 또는 火를 사용하여 화극금으로 金을 극해야 한다고 한다. 乙木이 金에게 금극목 당할 때 申酉가 있으면 金이 더욱 강해지니 빈궁하다는 설명이다. 천간과 지지도 구분하지 못하고 그냥 오행만으로 설명하고 있다. 명리학에서는 오행보다는 천간과 지지를 사용해야 한다.
木逢金旺巳傷 再遇金鄉 豈不損壽。
木이 팔자에서 금왕(金旺)을 만나고 운마저 金으로 가면 온전하게 수명(壽命)을 보전하기 힘들다.
해설) 웃긴다. 木이 팔자 원국에서 금왕(金旺)을 만나고 운까지 金으로 가면 수명을 보전하기 힘들다고 한다. 다시 오행으로 돌아가서 설명하고 있다. 金이 강하면 관(官)이 강한 것이다. 물론 木도 甲木과 乙木으로 구분하고 金도 庚金과 辛金을 구분해야 한다.
아무리 팔자나 운이 좋아도 외부의 강한 통제가 있다면 할 수 없다.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거나 하천한 신분이라면 어찌 관(官)을 잘 사용하겠는가? 팔자로 모든 일을 알려고 하면 안 된다. 국가 권력이나 법이나 제도, 천재지변 등 거대한 환경 앞에서는 개인의 팔자는 먼지만도 못하다.
***
자격시험 접수는 7월 1일부터입니다.
새로운 12운성 명리학회 | 제 3회 새로운 12운성 명리학회 자격증(1급, 2급) 시험 안내 - Daum 카페

첫댓글 해설 첫번째 : 수생목"해댜" 》"하면"으로 고치면 좋겠습니다^~^
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