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천을귀인
일간 | 甲戊庚 | 乙己 | 丙丁 | 壬癸 | 辛 |
천을귀인 | 丑未 | 子申 | 亥酉 | 卯巳 | 午寅 |
천을귀인은 하늘의 길신이며 사주에 있으면 고위직에 오른다.
(2) 천관귀인
일간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천관귀인 | 未 | 辰 | 巳 | 酉 | 戌 | 卯 | 亥 | 申 | 寅 | 午 |
사주에 천관귀인이 있으면 국가에 공을 세우고 고위직에 오른다.
(3) 태극귀인
일간 | 甲乙 | 丙丁 | 戊己 | 庚辛 | 壬癸 |
태극귀인 | 子午 | 卯酉子 | 辰戌丑未 | 寅卯 | 巳申 |
사주에 태극귀인이 있으면 복의 기운이 모이고, 귀격과 서로 부합되면 고위직에 오른다.
(4) 삼기귀인
삼기귀인 | 천상삼기 | 지하삼기 | 인중삼기 |
천간 | 甲戊庚 | 乙丙丁 | 壬癸辛 |
삼기란 해와 달과 별의 기운이 돕고 보살펴 주는 귀인이다. 사주에 세 글자가 모두 있어야 작용하며, 두 글자가 있으면 운에서 한 글자가 들어와야 길하게 작용한다.
(5) 월덕귀인
월덕은 월지 삼합의 기운을 받으므로 복덕이 있다. 가령 丙은 寅午戌 火국의 기운을 받는다.
(6) 월덕귀인
월지 | 寅午戌 | 亥卯未 | 申子辰 | 巳酉丑 |
월덕귀인 | 丙 | 甲 | 壬 | 庚 |
월덕합 | 辛 | 己 | 丁 | 乙 |
월덕귀인과 합이 되는 천간으로서 월덕귀인의 복덕을 불러오는 길신이다. 가령 寅午戌월에는 丙이 월덕귀인이고 이와 합하는 辛이 월덕합이 되며 사주에 있으면 배우자의 덕을 받는다.
(7) 천덕귀인
월지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천덕귀인 | 丁 | 申 | 壬 | 辛 | 亥 | 甲 | 癸 | 寅 | 丙 | 乙 | 巳 | 庚 |
천덕귀인은 하늘의 복덕을 불러오는 길신이다.
가령 寅午戌 火국에서 寅에는 음화인 丁을 배당하고 戌은 양화인 丙을 배당하여 火국의 기운을 돕는다. 午는 자체로 강하므로 申子辰 水국의 생지인 亥로 火국의 강한 기운을 억제하며 조화를 돕는다. 나머지도 이와 같다.
(8) 천주귀인
천주귀인은 하늘의 주방이며 먹을 복이 있는 귀인으로서 식신의 록에 해당한다. 사주에 있으면 부귀하게 산다. 가령 甲일간의 丙식신의 록은 巳이며, 丙일간의 戊식신의 록은 역시 巳이다. 나머지도 이와 같다.
(9) 복성귀인
천간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복성귀인 | 寅 子 | 亥 丑 | 戌 子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丑 |
甲의 식신은 丙으로서 복성인데 월두법과 시두법으로 보면 丙寅과 丙子에 丙복성이 임하므로 寅과 子가 복성귀인이 된다. 乙의 식신은 丁으로서 복성인데 丁丑과 丁亥에 丁복성이 임하므로 丑과 亥가 복성귀인이 된다. 나머지도 이와 같다.
(10) 삼원
삼원은 天地人천지인으로서 천간이 천원이며 지지가 지원이고 지장간이 인원이다. 가령 甲子는 甲이 천원이고 子는 지원이며 子중 癸水는 인원이다.
(11) 십간록
십간록이란 천간이 왕성하게 활동하는 지지이며 이를 천간의 건록이라 부른다.
(12) 역마
역마란 말이 할 일을 마치고 늙고 병들어 마구간에서 쉬는 곳이다. 가령 寅午戌 火국의 생지인 寅과 충으로 대립하는 지지인 申이 역마이다. 나머지도 이와 같다.
(13) 천사
천사란 해당 계절에서 가장 길일을 말하며 마치 죄인이 사면을 받는 것과 같은 길함이 있다. 가령 봄에는 戊寅일이 천사이다.
(14) 화개
화개는 삼합의 과정을 모두 이루고 뒤로 물러난 것으로서 온갖 풍상을 겪으며 경험과 노하우가 풍부하지만 이미 권력을 잃고 홀로 은거하고 수행하는 상태이다. 승도나 술사에게 많고 아무도 찾지 않아 고독하게 된다.
(15) 십간 학당
십간학당은 총명하고 학문에 통달한다는 신살로서 일간의 장생지에 해당한다.
(16) 십간 식록
십간의 식신은 먹을 복이 있다고 하여 식록이라고 한다.
(17) 금여
금여란 금마차로서 부귀하게 된다는 길신이다. 가령 甲의 록은 寅이고 두 자리 앞에 있는 辰이 금여이다. 나머지도 이와 같다.
(18) 공록
戊와 丙의 록은 모두 巳이므로 戊辰과 丙午의 사이에 巳록을 함께 공유하고 있는 것이며 己와 丁의 록은 모두 午이므로 己未와 丁巳의 사이에 午록을 함께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공록은 이 네 가지 간지에만 있다.
(19) 교록
일주 | 甲申 | 庚寅 | 乙酉 | 辛卯 | 丙子 戊子 | 癸巳 | 壬午 | 丁亥 己亥 |
교록 | 庚寅 | 甲申 | 辛卯 | 乙酉 | 癸巳 | 丙子 戊子 | 丁亥 己亥 | 壬午 |
가령 甲申생이 甲寅을 만나고 庚寅생이 甲申을 만나면 甲의 록은 寅이 있고 庚의 록은 申에 있는 것이다. 서로의 건록을 가지고 있으므로 호환하며 왕래한다.
(20) 암록
가령 甲일간의 건록은 寅인데 亥를 만나면 합하므로 암록이라고 한다. 나머지도 이와 같다.
(21) 협록
일간 | 甲 | 乙 | 丙戊 | 丁己 | 庚 | 辛 | 壬 | 癸 |
협록 | 丑卯 | 寅辰 | 辰午 | 巳未 | 未酉 | 申戌 | 戌子 | 亥丑 |
가령 甲일간의 건록은 寅인데 丑과 卯이 있으면 그 사이에 건록이 있다고 하여 협록이라고 한다. 나머지도 이와 같다.
(22) 원성
원성은 일간의 장생이며 아기가 태어나 집안에서 보호받는다는 뜻이 있다. 가령 甲일생의 장생은 亥이므로 亥가 원성이다.
(23) 제좌
제좌는 납음오행의 제왕이 있는 곳이다. 가령 甲子시이면 납음으로 金에 속하고 金의 제왕은 酉이므로 酉가 제좌이다. 나머지도 이와 같다. 대개 자녀운이 좋다고 판단한다.
무공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