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상어目 Carcharhiniformes
귀상어科 Sphyrnidae
○ 홍살귀상어 : Sphyrna lewini (Griffith et Smith)
► 방 언 : 원통귀상어
► 외국명 : (영) Scalloped hammerhead, (일) Akashumokuzame (アカシュモクザメ)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430㎝, 체중 150kg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360㎝ 정도이며, 귀상어科 어류 중에서는 중간 정도 크기이다. 몸은 방추형이고 단면은 원통형이다. 머리가 망치처럼 좌우로 확장되고, 그 중앙부의 가장자리는 오목한 홈이 있다. 머리의 너비는 머리 길이의 2배이고 머리 앞쪽 외곽선의 굴곡은 자랄수록 뚜렷해진다. 눈은 좌우로 확장된 머리의 양 끝에 위치한다. 입가의 입술주름은 뚜렷하지 않고 양턱의 이는 모양이 같으며, 끝이 바깥쪽으로 향해 있다. 가장 뒤쪽 아가미구멍은 가슴지느러미 기저부 위에 위치하며, 제1등지느러미는 크고 역시 가슴지느러미 기저부 위에 위치한다. 제2등지느러미의 선단은 날카롭고 뾰족하며, 후단은 길어서 거의 미기각에 이르고, 그 기부는 뒷지느러미 기부보다 짧다. 뒷지느러미의 선단은 둥그스럼하다.등은 청동색 또는 밝은 회갈색, 배는 연한 색을 띤다. 새끼의 가슴지느러미와 제2등지느러미 상단, 꼬리지느러미 하엽의 후단은 어두운 색을 띤다. 각 지느러미는 희며, 등지느러미 바깥쪽 가장자리, 꼬리지느러미 상엽 및 하엽의 끝부분은 검다.
► 설 명 : 연안에서 수심 275m 내외의 대륙붕상에 서식하며, 어린 새끼의 경우 연안에 서식한다. 최대 수심 1,043m의 심해에서도 발견된다. 주로 대륙붕이나 섬 주변 해역에 있지만 외양으로 헤엄쳐 나가기도 한다. 때로는 10~40마리씩 무리를 지어 유영한다. 여러 종류의 어류, 갑각류, 두족류를 잡아먹는다. 또한, 소형 상어나 가오리도 포식의 대상이 된다. 홍어류는 꼬리에 날카로운 독침을 가지지만 본종에게는 통용되지 않는 듯 입이나 소화관 내에는 이 독침이 다수 발견되기도 한다. 특징적인 머리로 해저 부근의 가오리가 있는 장소를 찾아 파내고 가오리를 모래로부터 내쫓은 다음에 머리를 가오리에 박아 약하게 한 다음 다시 가오리를 해저에 T자형의 머리로 눌러 넣는 격으로 만든 다음 포식한다. 또한 머리는 망치처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T자 부분 전체를 상대에게 내리치는 형태로 사용한다고 한다. 홍살귀상어의 머리가 양 옆으로 넓어진 것은 시각과 후각 기관을 발달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한 결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다른 상어에 비해 시야가 넓고, 후각이 발달해 아주 희미한 냄새까지 맡을 수 있다. 또, 로렌치니 기관이라는 특수한 감각기관으로 수온, 수압 등 변화뿐만 아니라 인근에 있는 물고기의 미세한 전기 신호까지 감지한다. 로렌치니 기관은 다른 생물의 전류, 수압, 수온 지구 자기장 등을 감지하는 신체 기관으로 이탈리아 해부학자 로렌치니가 1678년 발견했다. 수명은 35년 정도이다.
산란기는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어 일본 남부해의 경우는 여름부터 가을 사이이며, 호주 해역의 경우는 10~1월이다. 태자는 자궁 내에서 노른자의 영양분을 사용하면서 커진다. 암컷은 9~10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쳐 12~38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갓 태어난 새끼의 크기는 40~50㎝ 정도이다. 하와이 등에서는 큰 상어가 들어오지 않는 섬의 얕은 여울 등에 새끼의 보육소가 있으며, 당분간은 거기에 머무르며 성장한다.
가끔 사람을 공격할 때도 있다. 상업적으로 유용 종이다. 샥스핀 등 식재료로 쓰이는 상어 지느러미는 동아시아 지역 등에서 고가에 거래되고 있다. 이에 수많은 상어들이 밀렵꾼 등에 의해 지느러미가 절단된 채 바다에 버려지는 실정이다. 지느러미가 잘린 상어는 유영능력을 잃어 결국 바다에서 죽는다. 홍살귀상어 역시 상어지느러미 사냥으로 희생돼 개체수가 급감한 어종 중 하나다. 연승에 걸리며, 어육은 적색을 띤다. 얇게 잘라서 찜이나 건제품으로 이용한다.
► 분 포 : 한국(전 연안, 제주도)과 일본(일본 북해도 이남)을 비롯하여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등 전 세계의 온대및 열대 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 연안에 분포하지만 특히 울릉도와 독도 인근 해역에 주로 서식한다.
► 비 고 : 당초엔 귀상어와 동일종으로 취급 받았지만 연구 결과 별개의 종임이 밝혀져 별도로 구분되었다. 홍살귀상어와 귀상어 모두 망치 모양 머리를 하고 있지만 홍살귀상어는 머리 한가운데가 움푹 파였고 귀상어는 볼록 튀어나와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 근연종으로 귀상어(Sphyrna zygaena)와 큰귀상어(Sphyrna mokarran)가 있다.
근연종인 가리비귀상어(whitefin hammerhead, 흰지느러미귀상어)와 매우 유사하다. 홍살귀상어의 영어 이름은 Scalloped hammerhead(가리비귀상어)여서 국명으로는 혼란을 초래한다.
► 위험성 : 이름처럼 약간 붉은 빛을 띄는 몸 색깔과 머리 앞쪽의 굴곡이 배면의 주둥이 앞쪽에 나 있는 패인 주름과 연결되어있어 쉽게 구분되며, 귀상어보다 조금 작아서 다 커도 300㎝ 이상 쯤 되지만 많게는 100마리 정도가 떼지어 사는 데다가 성질 또한 사나운 건 큰 귀상어랑 마찬가지라 매우 위험하다. 애초에 지상과 물 속은 움직임이 다르기도 하니 물 밖에서의 움직임만 생각하다가는 정말로 큰일난다. 참고로 큰꼬치고기는 길이가 100㎝ 정도인데도 그 악력 때문에 매우 위험한 어류이니 크기가 400㎝ 이상인 홍살귀상어의 위험성은 당연히 말할 필요도 없다. 근연종인 귀상어와 비슷하게 적극적으로 사람을 공격하지는 않지만 관찰에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