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년 9월이면 평창군 봉평은 메밀꽃이 한창입니다.
올해로 14회째로 소설가의 문학을 기리며 열리는 제32회 효석백일장이 개막됩니다.
09.07~09.16 일까지 '메밀꽃과 함께하는 문학이야기'를 주제로 10일 동안 열리지요.

민속 공연과 마당극, 백일장 입선작 전시 등의 문화예술공연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는,

可山) 이효석(1907~1942)은 전주이씨 안원대군 후손으로,
아버지 이시후(李始厚)와 충주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
1남 3녀 중 장남으로 1907년 2월 23일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에서 태어났지요.


효석문화제의 백미인 메밀꽃밭이 끝이 없을 정도로 펼쳐져 장관을 이루고 있습니다.
메밀밭 사이로 난 길을 따라 걸으며 사진을 찍고 원두막에서 잠시 쉬는 여유를 가지죠.
봉평은 축제장이 아니더라도 곳곳이 메밀밭 입니다.

효석문화제를 대표하는 마을 30만㎡를 하얗게 물들인 메밀꽃이 꽃망울을 활짝 터뜨려 ,
축제장을 찾는 관광객들이 흡사 소설 속에 빠져드는 듯 한 느낌을 갖게 합니다.
메밀꽃밭에서는 연주도 하고....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문장으로 채워진 이효석님의 소설의 향기를 펼쳐 놓으니,
옛날 나귀 타고 돌아다니던 장꾼들의 소금땀 냄새를 추억하며 섶다리를 건너 갑니다.


전통장터 이곳저곳 기웃거리며 구경하다가 시장기가 돌면 ,
메밀 중심의 식도락을 즐깁니다



메밀국수를 시작으로 전병, 무침, 묵, 묵말이, 마지막엔 메밀차로 입가심을 하지요.

식후엔 효석문화제 공연을 감상 합니다.
공연장에 들러 나름대로 시골스런 맛이 물씬 풍기는 서정적 축제를 봅니다.
공연의 대부분은 문학과 시 등을 낭독하거나 낭송하는 것을 중심으로
관내 단체나 학생들의 백일장, 풍물경연, 장기자랑 등이 중심축을 이루고 있지요.


축제장 곳곳에 옛스런 프로그램인 각설이,당나귀 타기,등... 이효석 탐방길을 따라가 봅니다.
단 한번의 첫사랑을 이루었던 허생원과 성처녀의 추억의 장소 물레방아간에 들어가면,
타임머신을 타고 옛날로 돌아온듯 착각을 느끼게 되지요.

효석문화제는 생각만큼 역동적이거나 즐거운 축제는 아니지만.
나름대로 이효석선생을 생각하며 그가 작품에 떠올렸던 메밀꽃밭을 거닐며 ,
잠시나마 문학소녀(청년)가 되어 시간여행을 하면 바람직 하겠지요

물레방아간에서 나와 좀더 안쪽으로 걸으면 이효석 문학관이 나옵니다.
불과 36세에 요절한 강원도의 천재 작가 이효석의 고향인 봉평 !

깊숙한 산골에서 어찌 경기고보, 경성제대출신의 한국 문학 대표작가가 나왔는지...
덕분에 후손들은 이효석 선생님의 후광을 많이 보는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효석문화제가 유망축제로 거듭나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