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상황이론 개념
상황이론은 모든 상황에 적잡한 하나의 리더십이 존재하지 않고
각각의 상황과 조건에 따라 적합한 각각의 리더십 스타일이 존재한다는 이론
리더십의 유호성은 리더의 행동유형과 환경요소에 의해 결정된다고 판단
피틀러의 상황적합이론
피틀러가 설계한 리더십의 상황모형은 먼저 리더십의 스타일을 분류하고
해당 조직이 처한 상황을 분석하여 현재의 상황에 적합한 리더십 스타일을 찾아내는 형태
리더십을 분류하기 위해 least preferred coworker(가장 같이 일하기 싫은 동료) 선택법을 통해
과업지향적 리더와 관계지향적 리더로 리더십 스타일을 구분하고
조직이 처한 상황을 구분하기 위해 리더-부하의 관계(호의적 태도,신뢰성) 과업구조(업무의 체계성),
지위권력(리더가 부하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도)을 변수로 하여 상황을 구분
피들러는 상황적합이론을 통해 리더십의 효과성은 리더의 개인적 요소와 상황적 요소의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된다 판단
상황의 호의성이 높거나 낮으면 과업지향적 리더십이 효과적이고
상황의 호의성이 중간이면 관계지향적 리더십이 표과적이라 주장.
에반스와 하우스의 경로 - 목표이론
경로-목표이론의 개념
오하이오 대학의 리더십연구와 브롬의 기대이론에 기바을 둔 리더십이론
리더는 부하가 바라는 보상을 받게 해줄 수 있는 경로가 무엇인가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개념
상황변수와 리더십의 유형
부하의 개인특성과 환경요인을 변수로 하여 상황을 구분하고
리더십의 유형을 지시적, 지원적, 참여적, 성취지향적으로 분류
상황변수
부하의 개인특성 : 통제의 위치, 능력, 경험, 욕구 등
환경요인 : 과업구조, 공식적 권한체계, 작업집단 등
리더십유형
지시적 리더십: 부하에게 과업을 명확하게 제시, 공식적 활동
지원적 리더십: 부하들에게 후원적 태도를 취함, 복지
참여적 리더십: 부하들을 의사결정과정에 포함시킴, 상담
성취지향적 리더십: 도전적 목표의 설정, 능력발휘 중시
경로-목표이론의 모형
상황변수와 리더십 유형을 브롬의 기대이론과 결합하여 부하에게 원하는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명확한 경로를 제시
리더십의 효과성을 증대시킬수 있다고 판단.
허쉬와 블랜차드의 리더십 상황이론(수명주기이론)
허쉬와 블랜차드는 피들러의 상황적합이론을 바탕으로 부하들의 자발적 참여 정도와 능력에 따라 리더십 유형 필요하다판단
리더십 수명주기이론에서 환경변수는 4단계로 구분된다
부하의 능력(성숙)수준(M1~M4)
리더의 유형은 지시형, 지도형(설득,코치), 지원형(참여), 위임형으로 분류
부하의 성숙수준이 가장 낮은 M1단계에서는 지시형리더십이
M2단계에서는 지도형리더십, M3단계에서는 지원형 리더십, M4단계에서는 위임형 리더십이 가장 효과적이라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