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8장
知其雄, 守其雌, 爲天下谿. 爲天下谿, 常德不離, 復歸於嬰兒. 知其白, 守其黑, 爲天下式. 爲天下式, 常德不忒, 復歸於無極. 知其榮, 守其辱, 爲天下谷. 爲天下谷, 常德乃足, 復歸於樸. 樸散而爲器. 聖人用之, 則爲官長. 故大制不割.
그 수컷된 바를 알아차리고, 그 암컷된 바를 지키면, 천하가 되돌이키고 되돌아가는 시내를 일삼게 된다. 천하가 되돌이키고 되돌아가는 시내를 일삼으면, (무위無爲가) 늘 그러한 덕스러움德이 떠나가지 않게 되고, (유위有爲가 부드러운) 어린아이를 되돌이키게 되며, 그것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 흰 바를 알아차리고, 그 검은 바를 지키면, 천하가 모범으로 삼는 바를 일삼게 된다. 천하가 모범으로 삼는 바를 일삼으면, (무위無爲가) 늘 그러한 덕스러움德이 어긋나거나 벗어나지 않게 되고, (무위無爲가 큰) 무극無極을 되돌이키게 되며, 그것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 영화로운 바를 알아차리고, 그 욕된 바를 지키면, 천하가 되돌이키고 되돌아오는 골짜기를 일삼게 된다. 천하가 되돌이키고 되돌아오는 골짜기를 일삼으면, (무위無爲가) 늘 그러한 덕스러움德이 오롯해지게 되고, (무위無爲가 질박한) 통나무를 되돌이키게 되며, 그것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무위無爲가 질박한) 통나무가 흩어진 다음에 그릇이 일삼아지게 된다. (따라서) 성인은 (통나무) 그것을 일삼고, 따라서 (통나무로써 천하를) 다스리고 자라나게 하는 바로 삼는다. 따라서 (무위無爲가) 큰 (성인의) 다스림은 (일부러 일삼아) 나누지 않는다.
知雄守雌, 懦, 弱, 不爭也. 知白守黑, 愚, 沌, 無知也. 知榮守辱, 恬, 澹, 寡欲也.
암컷된 바를 알아차리고, 수컷된 바를 지킨다는 말은 (유위有爲를) 약해지게 하고, 연해지게 하며, 다투지 않는다는 뜻이다. 흰 바를 알아차리고, 검은 바를 지킨다는 말은 (유위有爲에 대해) 어리석어지게 하고, 어두워지게 하며, (일부러 일삼아) 알아차리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게 한다는 말이다. 영화로운 바를 알아차리고, 욕된 바를 지킨다는 말은 (유위有爲를) 조용해지게 하고, 잠잠해지게 하며,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바를 줄인다는 뜻이다.
谿, 谷, 言能卑下, 而爲物所歸也. 式, 言能含容, 而爲人所則也. 離, 去也. 忒, 差也. 足, 全也. 嬰兒, 言其柔也. 無極, 言其大也. 樸, 言其質也. 質者, 道之體.
(천하의) 시내가 되고, 골짜기가 된다는 말은 자신을 낮추어 (무위無爲의) 아래에 자리하게 함으로써, 세상 사람들이 되돌아오는 바를 일삼는다는 뜻이다. 모범이 된다는 말은 (무위無爲를) 머금고 품음으로써, 세상 사람들이 모범으로 삼는 바를 일삼는다는 뜻이다. 리離는 떠나간다는 말이다. 특忒은 어긋나거나 벗어난다는 말이다. 족足은 오롯해진다는 말이다. 어린아이는 그 (유위有爲가) 부드러운 바를 비유한다. 무극無極은 그 (무위無爲가) 큰 바를 뜻한다. 통나무는 그 (무위無爲가) 질박한 바를 비유한다. (무위無爲가) 질박한 바는 도道의 체(體; 自然)이다.
樸散而爲器, 言道, 生天地萬物也. 林氏曰, 大樸, 旣散, 而後有器. 卽形而上, 謂之道, 形而下, 謂之器. 聖人, 以形而上者用形而下者.
박산이위기樸散而爲器는 도(道; 自然)가 천지만물을 낳는다는 뜻이다. (따라서 송宋나라 유학자) 임희일(林希逸, 1193~1271)은 일컬었다. “(무위無爲가) 큰 통나무가 흩어진 다음에 그릇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된다. 형이상形而上, 그것을 일컬어 도(道; 自然)라 하고, 형이하形而下, 그것을 일컬어 그릇이라 한다. 성인은 형이상인 바로써, 형이하인 바를 일삼는다.”
今按, 用者, 用樸也. 所謂復歸於樸是也. 官長, 官天地, 長萬物, 而爲道, 器之主也. 大制不割, 言以道制物, 無宰割之迹也.
따라서 (성인용지聖人用之의) 용用은 (무위無爲가 질박한) 통나무를 일삼는다는 말이다. (무위無爲가 질박한) 통나무를 되돌이키고, 그것으로 되돌아간다는 말이다. 관장官長은 (성인은 도道로써) 천지를 다스리고, 만물을 자라나게 한다는 말로서, 도(道; 自然)가 그릇(器; 天下)의 주재자가 되는 바를 일삼는다는 뜻이다. 대제불할大制不割은 (성인은) 도道로써 천하를 다스리고, (따라서 성인은 일부러 일삼아) 주재하거나 분할하는 자취를 가지는 바가 없다는 뜻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