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세미라미스 공중정원> |
* 세미라미스 공중정원
BC 500년경 신(新)바빌로니아의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왕비 아미티스를 위하여 수도인 바빌론 성벽(城壁)에 건설한 기이한 정원으로 <공중정원(空中庭園)> <낚시뜰>이라고도 한다.
이름처럼 공중에 떠있는 것이 아니라 높이 솟아있다는 뜻이다.
지구라트에 연속된 계단식 테라스로 된 노대(露臺)에, 성토하여 풀과 꽃, 수목을 심어놓아 멀리서 바라보면 마치 삼림으로 뒤덮인 작은 산과 같았다고 한다.
한 층이 만들어지면 그 위에 수천톤의 기름진 흙을 옮겨 놓고 넓은 발코니에 잘 다듬은 화단을 꾸며 꽃이랑 덩굴초랑 과일 나무를 많이 심도록 한 이 파라미드형의 정원은 마치 아름다운 녹색의 깔개를 걸어놓은 듯이 보였다.
![]() |
<물을 끌어 올리는 원리> |
![]() |
이 피라미드와 같은 노단의 외곽은 공랑(控廊)의 형태를 가졌고 그 내부에는 크고 작은 많은 방과 동굴ㆍ욕실 등이 있었으며, 벽체(壁體)는 벽돌에 아스팔트를 발라 굳혀서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단부분을 둘러싼 평지에는 흙을 쌓아 올려 크고 작은 나무를 심어 놓았으며 이러한 노단이 마치 숲에 덮힌 작은 언덕과 같아 보인다.
그것이 바빌론의 평야 중앙부에 마치 하늘에 걸쳐 있듯이 높이 솟아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공중정원이라는 이름이 생겨난 것이다.
이 정원은 일명 현수원(懸垂園)ㆍ수하원(垂下園)이라고도 부른다.
* 기원
![]() |
바빌론은 현재 이라크의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 있었던 고대 도시로 기원전 626년경 아시리아가 멸망하면서 나보폴라사르와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수도로 이곳을 정하고 나라를 세웠던 곳이다.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바빌론의 왕이 되자 메디아 왕국의 키약사레스 왕의 딸 아미티스를 왕비로 맞았다.
산이 많아 과일과 꽃이 풍성한 메디아에서 자란 왕비는 평탄하고 비가 잘 오지 않는 바빌론에 마음을 두지 못한 채 항상 아름다운 고향의 푸른 언덕을 그리워하였다.
이 모습을 보고 안타깝게 여긴 왕은 왕비를 위하여 메디아에 있는 어떤 정원보다도 아름다운 정원을 바빌론에 만들었다.
* 발굴 및 복원
![]() |
바빌론의 발굴은 독일 동방협회에 의해 1899년에 처음으로 시작 되어 20세기에 들어설 때까지 계속되다가 마침내 최전성기의 궁전, 이슈타르문, 성벽등이 있는메소포타미아의 바빌론은 장엄함을 드러내게 되었다.
공중 정원에 대한 흔적은 찾아 볼 수 없지만 바빌로니아 왕국의 수도 바빌론의 페허는 오늘날까지도 그 모습이 남아있다.
이라크정부는 이 정원을 오늘날 다시 복원할 것을 추진중에 있으며, BC 4세기까지 약 1500년 동안 번창했던 바빌론은 오늘날의 바그다드 남쪽 약 95㎞ 지점인 유프라테스강변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