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청망청(興淸亡淸)의 유래
연산군이 폐위된 후에 신조어가 하나 나타났다. '흥청망청'이란 말이다.
지금도 방탕한 사람을 묘사할 때 자주 쓰는 말이 흥청망청이다.
그래서 아직까지도 적지않은 사람들이 흥청을 마치 연산군이 방탕한 유희에 사용한 일종의 노리개로 알고 있다.
그러나 흥청은 노리개가 아니고 관기(官妓)였다. 관기는 말 그대로 관청에 적을 두고 있는 기생을 말한다.
조선시대의 관기는 미모와 재주가 출중하여 관비(官卑) 중에서 발탁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원래 충원하는 통로가 따로 있었다.
관기는 전문 예인으로서의 기예를 갖추었기 때문에 삶의 행태뿐만 아니라 사회적 평가도 관비와는 차원이 달랐다. 관기와 대칭되는 사기(私妓)는 권문세가(權門勢家)에 적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기능만 기생일뿐 실제로는 실제로는 사비(私卑)일뿐이었다.
따라서 기생은 곧 관기를 의미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관기중 상의원(尙衣院)에 적을 두고 침선을 배운자는 '상방기생'(尙房妓生)이라 불렀다.제생원(濟生院)에 적을 두고 침구와 진맥을 배운자는 '약방기생'(藥房妓生)이라 불렀다. 이들 말고도 장악원(掌藥院)에 적을 두고 소리와 춤 등을 배운 이른바 '여악'(女樂)이라는 관기가 따로 있었다. 이들이 흥청의 본류다.
이들 관기 중 왕비까지 진맥할 수 있는 약방기생이 가장 높은 대우를 받았다. 그러나 장악원에서 엄격한 훈련을 거쳐 왕이 참여하는 잔치에 나가는 여악 역시 자부심이 대단했다.
여악이 되려면 우선 정악원에 들어가 가무와 예절을 익히고 글을 배워야 한다. 여악은 크게 서울 출신의 '경기'(京妓)와 지방 관아에 적을 둔 '향기'(鄕妓) 중 재색을 겸비해 서울로 뽑혀 온 '선상기'(選上妓)로 이루어져 있었다.
장악원에 소속된 여악들은 요즘말로 바꾸면 여성만으로 이루어진 궁궐전속의 '의전용 가무악대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여악의 역사는 아주 오래 되었다. 고려시대의 여악은 팔관회를 비롯한 각종행사에 동원되었다.
조선에서도 고려 때의 관기제도는 그대로 유지 되었다. 태종과 세종, 성종 때 잠깐 여악을 폐지하자는 주장이 있었으나 현실적인 이유로 실현되지 못했다.
가장 큰 이유로는 중국사신을 비롯하여 외국 사신을 접대할 때 여악이 절실히 필요했던 점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이것 말고도 여악이 존재할 이유는 얼마든지 있었다. 궁중에서 행해지는 각종행사는 물론 공신과 원로대신들의 노고를 치하하는 잔치에서도 여악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조선의 여악은 대한제국이 멸망하기 1년전인 1909년이 되어서야 폐지되었다.
연산군 때의 여악은 음률에 대한 조예등을 기준으로 크게 장악원에 소속된 흥청(興淸)과 지방관아에 소속된 운평(運平)으로 나눌 수 있다. 운평은 예비흥청집단으로서의 성격이 강했다. 이밖에도 전문 악기연주자 집단인 광희(廣熙)가 있었으나 여악과는 성격이 달랐다.
실록에서 사관은 연산군대에 흥청과 운평에 소속된 여악의 숫자가 무려 1만명에 달했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사실일까?
연산군 이전에 이미 각현에 20명, 군에 40명, 목,부에 60-80명, 감영에 100-200명의 관기가 있었다는 자료를 근거로 추측해 보면 연산군 때에는 대략 전국에 2만명에 가까이 존재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사관의 주장이 사실일 경우 전국에 있는 관기 중 2분의 1이 흥청과 운평이 되었다는 결론이 나온다. 설령 연산군이 여악을 대규모로 확충했다고 해도 과연 이런 일이 가능할까? 흥청은 예외없이 모두 장악원 소속인데 반해 운평은 일부가 장악원에 소속된 경우도 없지않으나 대부분 각 지방 관아에 속했던 점을 감안할 때 이는 과장되었다. 설령 이렇듯 대규모의 여악을 설치했다하더라도 대다수의 운평은 이름만 운평이었을뿐 지방관아 소속의 보통 관기일 뿐이었다.
사관은 연산군이 엄청난 숫자에 달하는 운평등의 생활를 조달하기 위해 이들의 '기둥서방'들에게 각가지 이유를 들어 수탈을 자행했다고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연산군이 여악을 선발할 때 기둥서방을 두고 있는 이른바 '유부기'(有夫妓)는 선발하지 말도록 전교한 사실과 아주 다른 악의저ㅏㄱ인 왜곡이다.
유부기는 기둥서방을 두고 관아 소속의 관기노릇을 하면서 일반인을 상대로 기생업을 한 관기를 말한다. 조선시대 기둥서방이 될 수 있는 사람은 대궐의 별감(別監)과 포도청군관, 의정부 사령, 의금부 나장(羅將), 궁가(宮家)의 청지기 들에 한정했다.이들 가운데 왕을 모시고 있는 대전의 별감이 기둥서방으로 가장 인기가 높았다. 이에 반해 무부기(無夫妓)는 유부기와 달리 기둥서방 대신에 '기생어미'를 두고 있는 관기를 말한다. 기생어미는 자기 대신 기적에 올라간 수양녀 등의 후견인 역할을 하면서 이들에게 몸을 의지해 여생을 보내는 퇴기를 말한다. 기생어미는 대부분 향기였다.
연산군이 무부기만을 대상으로하여 여악을 충원하도록 명한 것은 유부기는 음악에 전염하기도 어렵고 기둥서방을 통해 궁중의 일이 누설될까 우려했기 때문이다.
연산군의 이러한 전교는 흥청들을 전문 예인집단으로 훈련시켜 관리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었다. 기둥서방들에게서 막대한 숫자의 운평들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했다는 사관의 주장은 왜곡한 억지이다.
흥청은 반정세력이 주장하는 것처럼 연산군 자신의 음락(淫樂)을 즐기기 위해서 설치한 기구가 아니었다. 흥청과 운평은 연산군이 거창한 이름을 붙여서 그렇지 조선 5백년 내내 존재한 장악원 소속의 여악을 확대개편한 것이다. 연산군이 흥청 등을 둔 시점은 갑자사화가 사실상 마무리 된 뒤였다. 연산군은 갑자사화 이후 신권세력의 위협이 완전히 사라지자 마침내 태평성세가 도래했다고 판단해 흥청을 둔 것이다. 실록을 보면 연산군이 흥청등을 이용한 행사는 주로 왕권의 권위와 위엄을 보여주기 위한 의전용 행사였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사관은 연산군이 자신의 방탕을 위해 흥청등을 유흥의 도구로 이용했다고 왜곡해 놓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