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의자왕과 의직(義直)의 이름, 우리말 옳다의 어원
백제의 마지막 왕 이름은 한자로 의자(義慈)라고 기록되어 있다. 당시에는 한글이 없었으니 한자로 표기할 수밖에 없었다. 이름의 실제 발음이 [의자]였기 때문에 義慈라 표기한 것일까? 아닐 것이다.
부르기는 [의자]라 하지 않고 [옳지]라고 불렀을 것이다. [옳지]라는 이름의 뜻은 ‘올바른 사람’이다. 한자 義가 “옳을 의”이다. [-지/-치]는 일종의 접미사 비슷한 것이다.
조선 세종 때 간행된 <사리영응기>란 책에는 ‘올마디, 오을미, 오마대, 올미동이’ 같은 이름이 많이 실려 있는데, 바로 여기서 비롯된 이름들이라 할 것이다. 고구려의 을지문덕(乙支文德)은 울지문덕(蔚支文德)이라고도 했던 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을지/울지”도 역시 같은 [옳지]일 가능성이 있다.
구 분 | 해 설 |
몽골어ГОЛ[골] | ◾ГОЛ [골] : 콣다⟶홇다⟶옳다/콣⟶콜⟶골 ◾ГОЛ [골] : (명사)가운데, 중심/(명사)~ы нь барих (ⓐ길 가운데로 가다. ⓑ(파생적 의미로) 정직함을 지키다. ⓒ중심을 지키다.)/(명사)절반, 가운데. ◾голд[걸드] : 가운데, 중간 |
우즈벡어o‘rta [오르타] | ◾우즈벡어 o‘rta [오르타] : 옳다 ◾o‘rta [오르타] : (형용사) (markaz) 한가운데의, 중간의, 중앙의/(형용사) (o`rtacha)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보통의, 평범한/(형용사) (orasida) ~의 사이에(서) |
터키어 orta | ◾터키어 orta : (명사)가운데, 중간, 중심, 중앙/(형용사) 가운데의, 중간의, 중심의, 중앙의, 중위의, 중류의, 보통의, 중급의 |
백제 의자왕 때의 충신 義直(의직)은 실제이름이 [옳곧]이었을 것으로 추찰된다. 한자 直이 “곧을 직”자다. 고대한국어에는 자식이나 새끼를 뜻하는 [곧/굳]이란 말이 있었다. 지금은 사어가 되어 쓰이지 않지만 일본에는 여자이름에 [-코]라는 접미사로 남아있다. 그러니까, 이직(義直)이라 표기된 이름은 실제로는 [올곧이]라고 불리던 이름이었다는 말이다.
의(義)는 ‘옳다’는 뜻을 그대로 옮겨 적은 훈차(訓借)표기요, 직(直)은 ‘곧다’는 뜻을 적은 차용한 훈차표기처럼 보이지만, 실제 뜻은 ‘곧다’는 뜻을 나타낸 것이 아니라 ‘자식, 새끼’를 나타낸 것이므로 사음훈차(似音訓借)에 속한다.
신라에는 義文(의문)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의문(義文)으로 표기된 그의 실제 이름은 [옳미]였을 것이다. 한자 文을 당시에는 크게 2가지로 썼던 편이다. 하나는 ‘큰/클(big)’의 뜻과 음으로 썼으며, 다른 하나는 ‘귀인, 임금’을 뜻하는 [-미]란 음으로 쓴 것이다. 淵蓋蘇文(연개소문)을 [이리카수미]라 했다는 점을 참고하면 짐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