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를 읽고 / 정희연
60세만 되어도 장수했다며 마을 잔치를 열었는데 지금 그런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과학이 발달하고 세상이 바뀌어 옛말이 된 지 오래다. 100세 시대가 열렸고 내 나이 50 중반이니 20~30년은 일해야 할뿐더러 50년을 더 살아야 한다. 앞으로 어떻게 세상이 바뀔지 모를 일이다. 학창 시절 배운 짧은 지식으로 지금까지 잘 버텼지만 앞으로 통하지 않을 것 같다. 그래서 2016년부터 책을 읽었다. 교양을 쌓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으려는 독서다.
푸석푸석한 머리로 글이 들어오지 않았지만 무작정 읽었다. 몇 년간 자기계발서와 시를 접했다. 소설은 중간쯤 읽으면 앞부분이 생각나지 않아 엄두가 나지 않았다. 그러다 어느때 소설을 읽는 나를 보았다. 빠르게 한 권을 읽는 습관이 도움된 것 같았다. 그러다 '베르나르 베르베르' 작가에 빠져 <개미> 5권, <꿀벌의 예언> 2권, <신> 3권, <죽음> 2권을 읽고 ‘찰스 디킨스’ <위대한 유산> 2권, ‘연암 박지원’ <열하일기> 3권 등 장편만 찾았다.
<일상의 글쓰기>수업 중 교수님은 박경리의 <<토지>>를 추천했다. 20권이다. 토요일, 모종판에 상토를 고르고 수박, 오이, 호박 씨앗을 뿌렸다. 작년에 모종을 사다 심었는데 올해는 아내가 일이 많아지고 식구들도 늘어 그렇게 한 것이다. 어느새 도시 사람이 되었는지 장시간 노동을 하지 못하는 저질 체력이 되었다. 무안 도서관으로 갔다. 광주와 고향 사이에 있어 자주 들른다. <<토지>> 1,2,3,4권을 손에 넣었다. 새 책같이 깨끗하다. 다짐이 필요했다. 올해는 장편 소설 <<토지>> 20권, <<아리랑>> 12권, <<태백산맥>> 10권을 읽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인터넷에서 <<토지>>를 검색했다. 얽히고설키는 인물 관계도가 에이쓰리(A3)용지로 부족하다. 등장하는 인물만 해도 500명이 넘는다.
얼굴 가까이 얼굴을 묻는다. 그러고 떤다. 머리칼에서부터 발끝까지 사시나무 떨듯 떨어댄다. 얼마 후 그 경련은 멎었다.
“임자.” / “야.” / “가만히,”
이불자락을 걷고 여자를 안아 무릎 위에 올린다. 쪽에서 가느다란 은비녀가 방바닥에 떨어진다.
“내 몸이 찹제?” / “아니요.” / “우리 많이 살았다.”
내려다보고 올려다본다. 눈만 살아 있다. 월선의 사지는 마치 새털같이 가볍게, 용이의 옷깃조차 잡을 힘이 없다.
“니 여한이 없제?” / “야. 없십니다.” / “그라믄 됐다. 나도 여한이 없다.”
머리를 쓸어주고 주먹만큼 작아진 얼굴에서 턱을 쓸어주고 그리고 조용히 자리에 눕힌다.
무당의 딸이라는 이유로 결혼하지 못한 채 평생 아리게 살았다. <<토지>>는 우리의 역사를 되짚어 이야기를 전해 주고 있지만 서희, 길상, 강포수, 구천, 귀녀, 두만네, 봉순, 용이, 월선 그들이 처해 있는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자신의 처지를 말하고 있다.
주말이면 일부러 도서관을 찾았다. 길게 늘어져서 될 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두 세권까지는 인물 관계도를 보면서 내용을 이해하며 읽으려 애썼다. 다섯 권에 다다르니 전체를 헤아리는 것이 차츰 어려워지는 걸 느꼈다. 여덟 권을 접하면서 잡았던 끈을 놓아야 할 것 같았다. 사건에 사건이 더해지고 등장인물도 갈수록 많아졌다. 책이 이끄는 대로 그냥 따라갈 수밖에 없었다. 열 권에 이르니 앞과 뒤가 섞여 내용 파악이 갈수록 어려워졌다. 어떻게든 읽어야 하는데 앞길이 구만리다. 컴컴한 길을 아무런 생각 없이 가고 있다. 새로운 사람이 계속 보인다. 머리가 한계에 다다랐다. 이해의 범위를 넘어선 것이다. 열 다섯권 쯤일까, 어서 결론이 나오기를 바랄 뿐이다. 지쳤다. 열일곱 권에서 멈췄다. 이 삼일이 훌쩍 지나가 버렸다. 주말이 다가온다. 다시 힘을 내 본다. 아주 긴 시간과 함께 두 권이 지나갔다. 마지막 한 권이 남았다. 그래도 인물과 사건은 계속 더해진다. 빨리 마무리를 지었으면 좋으련만 마지막까지 긴장을 놓을 수 없다.
서두에서 맛보았던 깊은 감동이 책이 더해지고 등장 인물이 늘어남에 따라 조금씩 흐릿해졌다. 그렇게 <<토지>>와 26일을 함께 보냈다. 한 주를 더 보내며 서점, 유튜브, 박경리 문화관을 찾아 <박경리와 토지>를 공부했다. 경남 엠비씨(MBC)에서 ‘토지 완간 10주년 특별 대담’으로 제작한 3부작 다큐멘터리도 두 번 보았다. 그리고 한 달이 지났다.
박경리, 경남 통영, 평사리 최참판댁이 내게 새롭게 다가왔다. 장편소설 20권을 완독해 기뻤다. 그러나 그 기쁨은 허세였다. 소설은 데게 갈등을 다루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는지, 그러면서 인물이 어떤 인물과 갈등 관계에 있는지도 살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 시간이 조금 흐르면 다시 한 번 천천히 따라가 보려 한다. 1897년 한가위 경남 하동에서 시작한 <<토지>>는 간도, 일본을 거쳐 815 해방까지 이어졌고, 해방된 푸른 하늘에는 실구름이 지나가고 있었다.
첫댓글 우와, 저는 16권 째에 머물러 있는데 완독하시고 대단하세요. 저도 금방 따라 잡겠습니다.
적당히 읽고 그에 맞게 쓰려다 최상의 것을 바라는 교수님께 ‘딱’ 걸렸습니다.
대충이 통하지 않는 <일상의 글쓰기>입니다.
@정희연 글을 잘 쓰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