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민들레가 있는도시 원문보기 글쓴이: 그리움농원
제 목 | 출원인 | 특허등록번호 | 특허효능 |
강화약쑥 사자발쑥 주요성분 "유파틸린"의 신규용도 |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1012927410000 | 갱년기장애, 골질환, 심혈관계질환, 퇴행성뇌질환, 비만 |
쑥 추출물의 신규용도-자궁내막증 치료 또는 예방 |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 1020120035153 | 자궁내막증, 임신준비 |
강화약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 강화군 | 1009008750000 | 당뇨병 |
강화약쑥 알코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순환기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강화군 | 1008655140000 | 고지혈증,동맥경화,관상동맥,심근경색 |
강화약쑥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강화군 | 1008655130000 | 비만억제,다이어트 |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주)파인엠 | 1011389620000
| 알러지성 피부질환 |
간 해독 작용 증진을 위한 강화산 사자발쑥의 저온 복합추출방법 | 강화군,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1011389620000 | 간해독작용 숙취해소 |
사자발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 강화군 | 1011335490000 | 알레르기 질환 |
사자발쑥 정유를 함유하는 여성용 아로마 오일 조성물 | 주)파인엠,강화군 | 1007783680000 | 생리통, 혈액순환 |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 전화 주세요 010-9867-8488
강화약쑥 사자발쑥즙 품질 좋은 것 싸게 사는 방법
네이버 검색창
"강화도사자발쑥즙" 또는 "강화약쑥즙" 입력 하시고
가격비교 하신 다음 맘에 드는 제품으로 구매 하시면 됩니다.
품질은 거의 비슷하고 원재료 구매, 인건비와 광고비로 판매가격 차이가 많이 납니다.
강화도에서 직접 강화약쑥 사자발쑥 재배하고 제조.가공해서 판매하는 업체 제품이 가격도 저렴하고 좋습니다
쑥잎이 사자발 모양과 비슷하다고 해서 사자발쑥이라고 통칭
강화약쑥 사자발쑥에 대한 효능 과학적 접근방식 특허자료를 근거로 해석 합니다.
통상적인 민간요법과 방송을 통한 구전적 효능보다 특허자료를 통한 효능 숙지 하시고 많이 활용해 보세요
강화약쑥 사자발쑥의 생리활성물질과 약리활성
사자발쑥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cultivated Sajabal)의 성분으로는 유파틸린, 자세오시딘, 다우코스테롤, 세사민, 아포제닌, 유파폴린, 아르테
미신, 카로틴, 치네올, 아데닌, 콜린, 테트라데카트린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균작용, 기관지 확장작용, 모세
혈관작용, 혈액응고 억제작용, 항위염 및 항위궤양 효과가 알려져 있다
1)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
1.유파틸린(eupatilin) -
위염 및 위궤양 치료 효과(jang et al., 2003)
항염증 활성(lee et al., 2006;Kim et al., 2005b)
면역반응 억제(Lee et al., 2006)
혈소판 응집 억제 활성, 담즙산으로 유도된 간세포(Park et al., 2006)
위암세포 및 혈액암 세포의 apoptosis 유도활성(Seo &Surh, 2001)
비만세포 종양 억제 활성(Koshihara et al., 1983)
2.자세오시딘(jaceosidin)
유방암세포의 apoptosis를 유도(Kim et al., 2007)하고
유방암세포의 생장 억제(lee et al., 2006)
상피암세포 활성화 억제(Jeong et al., 2007)
인체 유두종 바이러스의 생장 억제(Lee et al., 2006)
3.유파폴린(Eupafolin)
항산화활성(Akaike et al., 2003;Miura et al., 2002)
HeLa cell에 대한 증식 억제 활성(Abe et al., 2002)
여러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Elema et al., 1989)
간 보호 작용(Oshima et al., 1984)
4.아피제닌(apigenin)
결장암세포에 대한 apoptosis 유도효과(Farah et al., 2003)
피부암세포의 성장과 전이 억제(Caltagirone et al., 2000)
암세포 침윤 억제(Lindenmeyer et al., 2001)
5.히스피둘린(hispidulin)
여러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Elema et al., 1989)
다양한 곰팡이에 대한 항균 활성(Tan et al., 1999)
간 보호 효과(Soicke & Elike, 1987; Oshima et al., 2004)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Bourdillat et al., 1988)
2)폐닐프로파노이드(phenylpropanoid)성분
1.9-Hydroxyeugenol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및 흡수에 관계하는 ACAT와 HMG-CoA reductase(Loevaas,2006)
2.세사민(sesamin)
간기능 개선 작용(Wang & Song, 2006)
항종양 활성(Yokota et al., 2007)
항염 활성(Lima et al., 2007)
허혈 개선((Ahmad et al., 2006)
암세포의 증식 억제(Hou &Huang, 2006)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Penalvo et al., 2006)
3)트리텔페노이드(Triterpenoid) 성분
1.우르솔닉산(Ursolic acid)
골수종세포의 증식억제(Pathak et al., 2007)
여러 암세포의 apoptosis 유도및 세포독성(Chinou et al., 2007)
2.Amyrin acetate
피부세포 유해 세균 및 대장균에 대한 저해 활성((Johann et al., 2007)
3.Friedelin
주름개선 효과 (Okabe et al., 2006)
4.Cycloartanol
암 예방 및 결핵균 생장 저해 활성 (Woldemichael et al., 2004)
4)세스퀴테르페노이드(Sesquiterpenoid) 성분
1.세스퀴테르펜 랙톤(Sesquiterpene lactone)
민간 치료약으로 이용 되어온 수많은 국화과 쓴맛을 나타내는 식물로부터 분리되어
다양한 생리 작용이 보고된 중요한 식물 천연 화합물군의 하나이다
항종양 활성(Jolanta et al., 2007)
위장세포의 보호작용(Valerrio-Daniel A R et al., 2007)
5)Sterol 성분
1.베타-시토스테롤
혈액암세포의 증식 억제 및 apoptosis(Moon et al., 2007)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Jayaprakasha et al., 2007)
강화약쑥 사자발쑥에 대해 궁금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010-9867-8488 연락 주세요
약쑥에 담긴 비밀
글 출처 일침명의 해 뜨는 나루-감사합니다
첫째, 쑥은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뛰어나다. 87세 된 할머니가 중풍으로 쓰러져 반신불수가 된 것을 쑥으로 치료한 적이 있다. 할머니는 평소에 혈압이 높아 최고 혈압이 180쯤 되었다고 한다. 품질 좋은 싸주아리쑥 잎을 차로 달여 조금씩 마시게 했더니 7일만에 혈전이 다 풀리고 회복되어 마음대로 걸어 다닐 수 있게 되었다. 그때 혈압을 재어보니 220이 넘었다. 계속 쑥을 달여 먹었으나 혈압은 더 낮아지지 않았다. 그러나 혈관이 몹시 튼튼해져서 다시는 중풍으로 쓰러지는 일이 없이 99살까지 건강하게 살다 돌아가셨다. 쑥은 혈관을 튼튼하게 하여 혈압이 높더라도 혈관이 터지지 않게 한다.
혈관의 상태는 눈을 보면 알 수 있다. 눈이 붉게 충혈되고 핏발이 자주 서는 사람은 중풍에 걸릴 위험이 높은 사람이다. 혈압이 높고 낮은 것하고는 큰 상관이 없다. 혈압이 높더라도 모세혈관이 튼튼하면 뇌출혈을 일으키지 않는다. 눈의 혈관은 뇌의 혈관과 거의 같다. 눈이 붉게 충혈될 정도면 이미 수백 수천개의 혈관이 터져 있는 상태인 것이다. 적어도 열개 이상의 핏줄이 터져야 겨우 눈으로 볼 수 있다.
눈이 충혈되었을 때나 핏발이 섰을 때 쑥잎을 달여서 마시면 얼마 지나지 않아서 핏발이 사라진다. 쑥은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더 이상 출혈이 일어나지 않도록 막아준다.
둘째, 쑥은 파혈작용이 몹시 강하다. 파혈작용이란 죽은 피나 어혈을 분해해서 몸 밖으로 빼내는 작용이다. 지방간과 간경화증에 쑥이 특효가 있는데, 쑥이 간에 쌓여 있는 어혈과 지방덩어리를 분해하여 간기능을 회복하여 주기 때문이다. 간은 벌집모양의 많은 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간기능이 나빠지면 간의 아랫부분에서부터 기름이 끼기 시작하고 간이 울퉁불퉁하게 부어올랐다가 나중에는 딱딱하게 굳는다. 쑥은 이 딱딱하게 굳은 어혈과 기름덩어리를 부수어 몸 밖으로 빼낸다. 간경화증환자가 쑥만 먹고도 나은 사례가 많다.
셋째, 청혈, 생혈작용이 강하다. 쑥은 피를 만들어내고 혈액이 온 몸으로 원활하게 흐르게 도와준다. 쑥은 혈액을 간과 골수에서 만드는데 도움을 주고 몸을 따뜻하게 하며, 기혈의 흐름을 순조롭게 하여 빈혈을 치료하고 예방한다. 쑥을 먹으면 혈액이 매우 깨끗해진다.
넷째, 몸을 따뜻하게 하고 생리를 조절하며 낮은 혈압은 올려주고 높은 혈압은 낮추어 혈압을 조절한다. 쑥은 빈혈, 생리통, 생리불순, 냉증 등을 치료하고, 생즙을 내어 먹으면 혈압을 떨어뜨리고 말려서 먹으면 낮은 혈압을 올려준다.
글 출처 일침명의 해 뜨는 나루(명지대학교 사회교육원 침구학 지도교수)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