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조사 금액의 적정 금액은?
※가을을 맞아 매주 축하 할 일.
※비사벌건설 고 강대순회장의 유언.
가을에는 선남선녀들의 결혼소식을 알리는 모바일 청첩장이 자주 카톡을 울리고 있습니다.
많은 경조사중에서 축의금을 얼마나 넣어야 할 지 누구나 한번쯤 고민을 해 보셨을 것 입니다.
축의금이란 축하하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내는 돈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축의금 적정 금액의 경우 딱 정해진 금액이나 구분이 되어있지 않아 많이 헷갈려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물론 지인들의 결혼식에 축의금을 많이내고 싶은 마음은 모두가 똑같은 마음 일 것 입니다.
그러나 축의금은 본인의 경제적 여건과 환경을 생각해서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 입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닌 지인의경우 예전에는 축의금을 5만원 내는게 보통이지만
요즘은 물가인상으로 결혼식 식사비용이 5만원을 넘는 결혼식장들이 있어 5만원을 낼 경우 오히려 적자인 경우도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지역 팔복동과 효자동의 모 웨딩홀들은 식대가 5만원을 훨 상회 하기때문에 5만원을 내고 식사를 하였을 경우 미안한 마음이 들 수도 있습니다
거기에 아는 지인까지 함께 동행하여 식사를 하게된다면 축하를 떠나 민폐를 끼치는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서울에 사는 어느 인터넷 게시판에 이런 글이 올라왔습니다.
글쓴이는 아는 선배가
"나에게 5만원 한 거 맞아?
"내가 너한테 서운하게 한 거 있어?라고 했다며
"바쁜데 시간내어 가서 축하 해 주었더니 한다는 소리가 이거였다고" 전해왔습니다.
이어서 예식장 밥값이 8만8천원이라는 것을 후에 알았지만 미리 알았더라도 5만원만 했을 것 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서울의 고급 호텔 예식장의 경우 20만원이 넘어가는 경우도 있어 축의금 금액이 난감할 때가 있습니다.
특히 요즘 우리 자녀들의 경우 서울에서 자리를 잡고 직장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 모바일 청첩장을 받는 경우 서울에서 예식을 하는 경우가 필자에게는 거의 50%를 넘고 있습니다.
그럴경우 특별한 경우가 아닌 경우 참석하지 않고 계좌로 보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또한 우리 지역에서 예식을 하더라도 밥 값을 줄여 준다고 일부러 가지않고 계좌이체를 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결혼식의 축의금에 대한 인식도 변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결혼식장이 수금하는 자리도 아니고 축하를 해 주려 오는 자리인만큼 밥값보다 축의금을 적게 낸다고 굳이 마음 상해하거나 속상해 할 필요
가 없습니다.
결혼식장에 참석하여 축하 해 준 것 만으로도 고마운 일입니다.
어떤 분은 예전의 상대 방 축의금 금액을 적어놓고 물가상승및 인플레이션은 무시하고 그 금액만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역과 예식장에 따라 상이하지만 통상 식비가 5만원이라 가정했을때 보통 모임의 지인일 경우 10만원이 보통이고
친한 친구이거나 친.인척인 경우에는 20만원~30만원을 넣는 경우가 다반사일 것 입니다.
하지만 경.조사비가 요즘처럼 어려운 경제상황일 때 참 부담스럽고 난감할 때가 많이 있습니다.
경.조사는 예고없이 수시로 날아오기 때문에 어떤분은 한 달에 100만원 이상을 지출 할 때도 많이 있다고 합니다.
어떤때는 평소에 왕래나 소통도 없는 친하지 않는 지인이 모바일로 경.조사 내용을 보내올 때도 있을 것 입니다.
이런 때는 난감하기도 합니다.
물론 전달하는 사람도 민망하기도 하겠지만 받는 사람 입장에서는
"이걸 나한 테 왜 보냈지"?ᆢ라는 생각이 들기도 할 것 입니다.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어 무조건 보내는 경우도 더러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굳이 가지않더라도 거기에 맞는 축하 "이모티콘"정도로 대신하면 될 것 입니다.
결혼은 "축하의 이모티콘"
조의는 "명복과 위로를 주는 이모티콘"등을 보내주는 것으로 대신하면 무시하고 넘어가는 경우보다 마음이 훨 자연스럽고 부담도 없을 것 입니다.
경.조사 내용을 전달 받았을 때
여성은 66%가 남성은 48%가 부담을 느낀다는 조사내용이 있습니다.
전주의 효자동에 모 장례식장에 방문했을 때 일입니다.
장례식장 입구에 준비된 조의금 봉투란을 보고 깜짝놀랐습니다.
누구를 보고 조문을 왔는지를 "쓰는 란" 이었습니다.
이는 아마도 지역이 좁다보니 슬픔을 당한 가족중에도 서로 아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생긴 방편일 것 입니다.
가족중에 서로 내 손님이라고 우기지않는 명확한 구분이되고 나중에 품앗이 할 때도 참고할 수 있어 좋은 생각일 수 있겠지만 왠지 구분을 짓는 다는게 씁쓰레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특히 두 분의 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실 때에는 장례비용을 제외하고 봉투에 이름을 보고 구분하여 가지는 경우도 있다합니다.
그러나 여기 특별한 두 분의 경우를 소개합니다.
몇년 전 전주 효자의 웨딩캐슬에서 필자와 가깝게 지내는 형님의 아들 결혼소식을 듣고 예식장을 찾았습니다.
하지만 축의금 접수를 받는 곳에서는 방문록 기록만 하게 하였고 일체의 축의금을 받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잘 포장된 선물을 감사의 답례표시로 축하객들에게 일일이 나누어 주는 것 이었습니다.
약속이라도 했는지 신랑 신부석 모두 축의금을 받지 않는 상황을 보고
많은 하객들은 그 배려와 따뜻한 선물에 감동을 받았습니다.
결혼식이 끝나고 다음 날 필자는 그 혼주 형님께 물어보았습니다.
"형님 왜 축의금을 받지않았습니까?"
그 형님은 "내 아들 결혼 잔치에 축의금을 받지 않고 하객들에게 베풀기로 마음을 먹은것은 오래전 형수님과 아들에게 약속한 사항이라며 그 내용을 사돈 댁에도 조심스레 말씀드렸더니 쾌히 승낙하였다는 것 이었습니다.
물론 경제적으로 여유도 있고 잘 사는 집안이었기에 그런 결단을 내릴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겠지만 쉽지않은 결정이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동안 사업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베풀기도 하였을 것이고 그 뿌린 씨앗을 거두어 들 일만도 하였지만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결혼식을 통해서도 보여주었습니다.
~~~~~~~~~~~~^^
전북 경제의 산 증인이자 건설산업에 크게 이바지한 전주의 모 건설사 회장님은 건강이 악화되자 자식들을 불러놓고 유언을 남겼습니다.
"내가 죽거든 조문객들에게 절대로 조의금을 받지말고 따뜻한 한끼식사를 꼭 대접 해 드리라는 유언을 남기셨습니다.
유가족들은 아버님의 유지를 받들어 장례식장에 조의함을 없애고 조의금을 일체받지 않았습니다.
이에 많은 조문객들은 준비해 간 조의금 봉투를 꺼냈다 다시 주머니어 집어넣는 뜻밖의 상황을 맞이했습니다.
조문을 마치고 돌아가는 인사들의 한결같은 이야기는
"참 훌륭한 분이시다며 떠날 때도 조문객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는 평소의 철학을 실천하는 회장님의 청렴결백한 성품을 떠오르기도 하였습니다.
이 분이 바로 비사벌건설 창업자이신 강대순 회장님이십니다.
1980~90년대에 도내굴지의 건설회사로 성장시키는 등 비사벌 그룹을 성공적으로 이끈 훌륭한 사업가였습니다.
비사벌건설에서 신축한 보금자리 아파트만 당시 1만여 세대가 넘었습니다.
당시 비사벌건설이 대전의 경성건설에 보증을 섰던것이 경성건설의 부도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갑작스런 상황을 맞이한 강대순 회장은 협력업체에게 최대한의 피해를 주지 않으려 가진 자산을 모두 내어놓고 피해를 최소화시키려 노력을 다하였습니다.
이는 국세청에서 장 기간에 걸친 세무조사에서 고스란이 나타났습니다.
광주지방 국세청 조사관은
"회장님 보통 회사는 어려워도 별도로 뒷 자금을 숨기거나 챙겨놓고 후일을 도모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회장님께서는 아무리 조사해도 이상한 점을 발견치 못했습니다"
"오히려 저희의 강도높은 조사가 부끄럽습니다"라는
국세청 조사반장의 세무조사 후 남긴 일화는 유명합니다.
강대순 회장은 전북대 국문과를 졸업하였고
비사벌건설 회장. 대한주택건설협회 전북지회 회장. 전라북도 씨름협회회장. 평통전주시 협의회장.
전주일보대표이사. 현재의 전북 중앙신문 명예회장과 전주시의회 의원을 역임하셨습니다.
지금은 자손들이 아버님의 성품을 이어받아 성실하
카페 게시글
*친목/자유게시판
ㅡ부조돈의 사연들.ㅡ
꼬막캐는엄니
추천 0
조회 26
23.11.27 10:21
댓글 1
다음검색
첫댓글 ㅡ꾸벅요 그러네
ㅡ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