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 (006260) 엘앤에프와 전구체 공장 신설 예정 소식에 강세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와 양극재 기업 엘앤에프가 전북 새만금 산업단지에 배터리 핵심 소재인 전구체를 생산하는 합작공장을 연내 착공할 것으로 알려짐. 약 1조원을 투자해 2025년부터 공장을 가동할 계획으로 전해짐.
▷거래소는 동사에 대해 새만금 전구체 공장 신설 관련 투자 보도에 대한 조회공시 요구(답변시한 금일 18시).
이수화학 (005950) 中 JV 지분 매각 속 친환경 신사업 투자재원 확보 등에 상승
▷신사업 투자 재원 확보 목적으로 Great Orient Chemical Pte.Ltd 지분 전량(40,164,434주)을 671.25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예정일:2023-07-31) 공시.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언론을 통해 "이번 지분 매각은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을 위한 것으로, 향후 친환경 중심의 사업구조를 확립하고 미래 성장에 투자를 집중하겠다"고 밝힘.
▷국제유가 급등 속 석유화학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포스코인터내셔널 (047050) 실적 모멘텀 강화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NH투자증권은 동사 에 대해 2분기 실적은 매출액 8조9,771억원(-19% y-y), 영업이익 2,901억원(-10% y-y)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충족할 것으로 전망. 이는 미얀마가스전 Cost Recovery, 철강판매 호조 등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동사는 호주 Senex Energy 인수(50.1%), 포스코에너지 합병으로 생산-저장-발전을 아우르는 LNG사업 통합 시너지 및 친환경사업 확대 도모하고 있는 가운데, 2023년 영업이익은 합병효과로 1조685억원(+11% y-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6,000원 -> 45,000원[상향]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 파리 에어쇼에서 누리호·UAM 공개 예정 소식 등에 소폭 상승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은 언론을 통해 오는 19∼25일 프랑스 파리 근교 르부르제 공항에서 열리는 파리 에어쇼에 참가해통합 전시관을 운영한다고 밝힘. '스페이스 존'에서는 육상·해상·공중의 전장 상황을 저궤도 통신위성 네트워크로 실시간 공유하는 '초연결 방산 솔루션'의 청사진을 공개하며, 지난달 실용위성을 궤도에 안착시키며 3차 발사에 성공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모형도 전시할 예정.
▷아울러 '에어모빌리티 존'에는 한화시스템과 미국 오버에어가 공동 개발하는 UAM 기체 '버터플라이' 모형을 선보이며, 한화시스템은 올해 말 UAM 시제기 제작을 완료하고, 내년 초부터 미국에서 무인 비행 시험에 들어갈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버진갤럭틱, 이달말 첫 상업 우주여행 추진 소식 등에 우주항공산업 관련주들이 상승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종목]: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국전력 (015760) 2분기 실적 개선 및 하반기 흑자전환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은 매출액 19.3조원(+24.3% YoY, 이하 YoY), 영업이익 -1.1조원(적자지속)을 예상한다며, 영업이익의 경우 시장 기대치(매출액 20조원, 영업이익 -2.2조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2분기 전력판매단가가 전년동기대비 26.8% 상승이 예상되는 가운데, 에너지 가격 하향 안정화 효과로 연료비와 구입전력비가 전년동기대비 각각 3.9%, 17.9% 감소하며 적자 축소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
▷아울러 올해 2분기까지 점진적으로 오른 전기요금이 연말까지 유지되는 가운데, 비용 감소 효과가 더해지며 하반기에는 기다렸던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이에 3분기 1.8조원, 4분기 1.5조원 수준의 영업이익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중립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2,000원[제시]
제이엘케이 (322510) AI기반 뇌졸증 솔루션 개발에 따른 실적 호조 기대감 등에 급등
▷교보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동사가 주목 받는 것은 바로 뇌 질환관련 뇌졸중 AI 솔루션 분야인데, 지난해 인정비급여 제품 AI 의료기기 사업화에 성공하면서 병원에서 솔루션 요청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힘.
▷아울러 동사는 뇌졸중관련 총 11개의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초급성에서 예후예측까지 전주기적인 분석을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며, 특히 CT에서 MR/뇌경색에서 뇌출혈, 응급실 입원, 치료, 퇴원, 재활에 이르는 뇌졸중 전영역을 아우르는 패키지 'MEDIHUB STROKE'를 개발하면서 해외로의 영역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판단한다고 밝힘.
메디콕스 (054180) 전기차 배터리 충전 인프라사업 진출 기대감 등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에너지 사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에너지 전문기업 고미에너지딜리버리와 공동사업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을 계기로 동사는 충전소 및 에너지 특화 통합 관리형 플랫폼 구축을 통해 에너지 에코시스템을 갖추고, 전기차 배터리 충전 인프라 사업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라고 언급. 고미에너지딜리버리는 글로벌 비즈니스 솔루션 기업 '고미코퍼레이션'의 자회사로, 국내 4대 정유사 및 공급처에서 석유 등 전통 에너지와 각종 친환경 에너지 제품을 공급받아 전국에 유통하 고 있다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지난 5월 최대주주가 소니드로 변경된 후 메디콕스는 에너지 유통 및 전기충전소 인프라 사업에 대한 진출을 모색해 왔다"며 "이차전지 충전 인프라 사업 부문 역량을 강화해 소니드가 구축 중인 이차전지 유통사업 밸류 체인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힘.
더블유씨피 (393890) 고객사 다변화 기대감 등에 상승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에는 고객사 다변화가 기대되어 실적 및 밸류에이션 매력도, 수주 모멘텀까지 다 갖췄다고 분석. 특히, 국내 셀 기업들은 미국 내 생산 시, 높은 비용에 대한 부담이 여전한 상황이며, 따라서 셀 기업들은 미국 내 소재 공급망을 Dual-Vender 이상으로 가져가 각 소재 별 단가를 낮추고자 하는 니즈가 높고, 이에 분리막 기업들도 고객사 다변화가 본격화될 수 밖에 없으며 장기 공급 계약도 기대해볼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
▷아울러 2024년부터는 헝가리 공장 본격 양산이 시작되면서 큰 폭의 외형성 장이 기대되며, 분리막 특성 상, 높은 고정비로 인해 2023년 대비 영업이익률은 낮아질 수 있으나, 주요 고객사의 안정적인 가동률로 인해 연간 20% 대의 영업이익률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4,000원 -> 100,000원[상향]
컴투스/컴투스홀딩스 제노니아 출시 기대감 등에 상승
▷컴투스홀딩스는 언론을 통해 자사가 서비스하고, 컴투스에서 개발 중인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제노니아’를 오는 27일 국내 출시한다고 밝힘. 제노니아는 기존 시리즈 팬들과 MMORPG 장르 팬들의 기대감을 동시에 받으며 사전 예약 190만명을 돌파했다고 언급.
[종목]: 컴투스, 컴투스홀딩스
CJ 바이오사이언스 (311690)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치료제 임상 1·2상 승인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치료제 CJRB-101의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제1/2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공시. 이번 임상은 진행성·전이성 암 환자에서 CJRB-101과 미국 MSD의 면역항암제 '펨브롤리주맙'을 병용 투여했을 때 안전성과 예비적 유효성을 평가하는 1·2상 연구로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등에서 임상을 진행할 예정.
핑거스토리 (417180) 올해 점진적 실적 개선세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유안타증권은 전일 동사에 대해 올 한해 점진적인 실적 개선세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이는 ‘무툰’ 가입자수 확대 기조, 20%를 상회하는 결제 전환률, 재결제 비율 상승 추세 때문이라고 분석. 특히, 대표 플랫폼 ‘무툰’의 가입자 수는 2020년 80만, 2021년 94만, 2022년 108만, 1Q23 기준 118만명으로 전분기대비 10만명 증가해 더욱 가파른 유입세를 기록 중이며, 누적 기준 2회 이상 결제를 진행한 유료 회원수는 현재까지 약 20만명 수준으로 높은 결제 전환률을 유지하고 있고, 헤비유저(10회 이상 결제) 수도 4.5만명에 달해 가입자 수 확대에 따른 실적 개선세 지속 가능할 전망. 아울러 분기별 재결제 건수(1Q20:98,736건 → 4Q22: 139,309건)도 확대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
▷또한, 안정적인 플랫폼 운영 실적을 기반으로 자체 IP 확보를 통한 중장기적 성장 전략을 이어갈 전망. 특히, 외부 스튜디오와의 제작 협업을 통해 일정 부분 IP를 확보하는 전략을 시작으로 인하우스 제작 시스템을 구축(스튜디오 M&A 등)해 자체 제작 콘텐츠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며, 자체 IP 확보를 통한 가입자 수 확대 및 2차 판권 수익과 부가 수익 창출 비즈니스 확대가 장기적인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분석.
로체시스템즈 (071280) 삼성디스플레이와 250.2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와 250.2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7.30%) 규모 공급계약(제조장비) 체결(계약기간:2023-06-14~2024-08-12) 공시.
셀바스AI (108860) AI융합 제품화에 따른 지속적인 매출원 확보 및 신사업을 통한 중장기 성장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한국IR협의회 기업리서치센터는 동사에 대해 AI융합 제품화에 따른 지속적 매출원 확보와 신사업을 통한 중장기 성장 모멘텀이 기대된다고 전망. 특히, 표준화된 제품의 고객군 확대와 SI성 매출의 표준 제품화 노력으로 올해도 AI융합 제품 매출액은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기대. 아울러 AI의료, AI교육, AI메타로빌리티(메타버스, 로봇, 모빌리티) 분야를 3대 혁신 도메인으로 설정하고 사업 영역을 확장 중이며, 이를 위해 최근 유상증자 발표했고, 유입되는 자금을 통해 적극적인 성장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예상.
▷한편, 2023년 매출액 610억원(+19.8%YoY), 영업이익 54억원(+8.7%YoY), 영업이익률 8.9%(-0.9%pYoY)로 추정. 현재 동사의 2023년 PER은 96.8배로 2020년 이후 평균 35.4배 대비 높은 상황이며, 현재 주가는 AI산업 성장에 대한 높은 기대가 선반영된 수준이라고 설명.
엔켐 (348370) 합작법인 이디엘을 통해 새만금 리튬염 양산공장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새만금 프로젝트를 위해 설립된 합작법인 이디엘을 통해 새만금개발청, 전라북도, 군산시, 한국농어촌공사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새만금에 총 사업비 6,005억원을 투자해 연간 생산량 5만톤 규모의 리튬염(LiPF6) 생산공장 건립을 골자로 한 이번 투자협약은 이차전지 소재의 국산화 및 총 700여명의 신규 인력 채용도 뒤따를 전망. 총 3단계로 추진되는 이번 새만금 리튬염 프로젝트는 오는 2024년 말까지 2만톤 규모의 리튬염 생산능력(CAPA) 확보를 시작으로, 추가 증설을 통해 2025년 2만톤, 2026년 1만톤을 더해 총 5만톤 규모로 최종 완공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