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6월 12~16일) 코스피지수는 전주보다 0.58% 떨어진 2625.79에 마감했다. 이 기간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기관은 각각 2611억원, 1686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기관은 4144억원을 순매도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지수는 0.48% 오른 887.95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 외국인이 2705억원, 242억원을 사들였다. 반면 기관은 1833억원을 팔아치웠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동결로 긴축 부담이 낮아지면서 국내 증시는 일단 2600선을 지켜냈다. 지난 14일 연준은 기준 금리를 5.00∼5.25%로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금리 동결은 일시적인 조치로, 향후 물가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고 부연했다.
연준이 공개한 점도표에는 올해 말 금리 예상치(중간값)가 5.6%로 제시됐다. 이는 3월 전망치(5.1%)보다 0.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오는 하반기 추가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점도표는 FOMC 위원들의 금리 인상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다. 연준이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했지만, 긴축 사이클이 끝나간다는 기대감이 더 크게 반영됐다. 하지만 반대로 이야기하면 연준 위원들이 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언급하면, 시장은 다시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
이번 주(19~23일) 주목해야 하는 일정으로는 22일 열리는 영국중앙은행(BOE)의 통화정책회의가 있다. 영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회의다. 영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4월 8.7%로 13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시장 참여자들은 BOE가 기준금리를 연 4.50%에서 4.75%로 인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같은 날 미국 5월 컨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 발표도 앞두고 있다. 23일에는 유로존 6월 마킷 PMI(구매자관리지수), 미국 6월 마킷PMI가 발표된다. 미국, 중국 휴장일도 있다. 19일은 노예해방을 기념하는 준틴스 연휴로, 미국 증시가 열리지 않는다. 22~23일에는 중국 증시가 단오절 연휴로 휴장한다.
◇ 코스피 조정 장세, 언제까지 이어질까...외국인 수급 ‘주목’
지난 12일 코스피지수가 2650포인트를 찍은 후 조정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추가 상승 기대감이 높은 상황이다. 증시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와 내년의 이익 방향성이 상승 랠리 지속을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실적발표 기간이 시작되고, 하반기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반영되면 주가는 재차 오를 수 있다”며 “단기적인 주가 조정이 나올 시 하반기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업종의 비중을 늘리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심 업종으로는 반도체, 헬스케어, 조선, 인터넷, 풍력·원전, 방산·항공우주 등을 꼽았다.
특히 반도체 업종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 많다. 최유준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반도체는 AI 모멘텀이 동력이 돼 올해 세 번째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며 “반도체 업황 회복에 대한 방향성이 명확해지고 있지만, 속도 조절은 감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외국인 투자자 수급도 주목해야 한다. 외국인은 지난해 10월부터 코스피시장에서 19조원을 순매수했다. 지분율 기준으로 보험, 미디어, 기계, 증권, 반도체 업종에서 비중을 늘렸다. 코로나19 당시 비중을 줄였던 반도체, 조선, 자동차 업종에도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연초 랠리에는 ‘핫 머니’ 성격을 지닌 유럽계 자금이 영향력을 미쳤다. 핫 머니란, 투기적 이익을 좇는 단기성 자금을 의미한다. 3~5월에는 뮤추얼펀드와 연기금 성격의 미국 자금, 기타 국가의 영향력이 커졌다. 기타 국가 중에서는 국부펀드인 노르웨이와 중동에서 매수세가 유입됐다. 통상 국부펀드는 장기적 관점으로 시장에 접근기에 수급 안정성에 기여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 연구원은 “국부펀드는 주식시장의 속도보다 방향성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어, 이들 자금의 유입은 증시 수급 안정성에 긍정적이다”며 “코스피지수가 52주 신고가를 경신한 이후에도 국부펀드 자금이 유입된 게 확인되면, 반도체 업황 회복을 강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마냥 낙관할 수는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연준의 추가 긴축 가능성 등이 갑자기 불거질 수 있다. 악재에 따라 최대 10% 내에서 조정이 나타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최 연구원은 “과거 신고가 경신 후 현저한 악재가 아니면 주가 조정은 10% 이내, 주가 부담이 덜한 초기 국면에서는 5% 내에서 정리됐다”며 “최근 코스피지수 기준으로 시스템 성격의 악재가 아니라면 2350선에서, 단순한 시장의 잡음 정도라면 2490선에서 지지력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중국 정부가 꺼낸 경기 부양책은?...미·중 갈등 속 자리 찾는 한국 기업
중국 정부가 대대적인 경기부양책을 내놓고 있다. 경기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부진하기 때문이다. 실물 지표도 기대치를 밑돌고 있다. 5월 소매 판매, 1~5월 고정자산투자, 5월 산업생산 지표 모두 기대치를 밑돌거나 겨우 부합했다.
중국 런민은행은 지난 15일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10개월 만에 인하했다. MLF는 기준금리의 ‘가늠자’로 꼽힌다. MLF 금리는 2.75%에서 2.65%로 0.1%포인트 낮아졌다. 이에 오는 20일 발표될 LPR 1년물(MLF+가산금리)도 사실상 0.1%포인트 낮아지게 된다.
추가적인 부양책이 나올 수도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현지 시각) 현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대규모 인프라 지출과 다주택 투기 허용과 같은 부양책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동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경기 개선 속도가 1분기 대비 둔화하며 정책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며 “6월 중국 증시가 5월 부진에서 벗어난 근본적인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의 정책 완화에 대한 의지가 강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정책 기대감으로 중국 증시 반등이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시장 참여자들은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의 방중 일정도 주목하고 있다. 블링컨 장관이 오는 16~21일 중국과 영국 런던을 순차 방문할 예정이다. 미국과 중국은 첨단기술 산업, 군사 측면에서 대립하고 있다. 양국 관계가 우호적으로 바뀔 순 없겠지만, 발언 정도에 따라 증시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한국은 미국과 중국의 공급망에 동시에 속한 국가다. 미·중 관계가 한결 나아진다면 국내 주식시장에 미치는 리스크가 다소 해소될 수 있다. 다만 일부 업종은 IRA(인플레이션 감축법)로 인한 한국 업체의 수혜가 줄어든다는 점이 부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난 14일 중국 이차전지 기업이 미국 내 공장 건설을 승인받았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후 국내 이차전지 기업들의 주가가 줄줄이 하락했다. 아직 미국이 이차전지 공급망에서 배제하려는 집단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다. 중국 기업의 미국 진출이 늘어나면, 국내 이차전지 기업에 비슷한 불확실성이 또다시 반영될 수 있다.